• 제목/요약/키워드: CRE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35초

단삼통맥탕(丹蔘通脈湯)과 단삼생맥산(丹蔘生脈散)이 고지혈증 및 Hypoxia로 유발된 뇌손상과 세포손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nsamtongmek-tang and Dansamsengmek-san on Hyperlipidemia and Brain & Cell Damage by Hypoxia)

  • 김용진;유병남;김윤식;설인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07-131
    • /
    • 2006
  • Background and Aims: Dansamtongmek-tang (DSTMT) and Dansamsengmek-san (DSSMS) have been used for many year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acute stage of cerebrovascular disease,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Oriental medicine, but the effects of DSTMT and DSSMS on hyperlipidemia and safety for cell damage are not yet well-known.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STMT and DSSMS on hyperlipidemia. Methods: In vivo test: after administering DSTMT and DSSMS to SHR and ICR occurred hyperlipidemia for 3 weeks, we analyzed body weight, cholesterol levels. TG, HDL-chol, LDL-chol, LDH in plasma, brain, liver and kidney tissue, and DNA by RT-PCR. In vitro test: after administering DSTMT and DSSMS to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in hypoxia, we observed cell cohesion by light microscope, analyzed the inflow of Ca2+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nd DNA by RT-PCR. Results: DSTM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triglyceride and increased the levels of HDL-cholesterol in SHR,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LDL-cholesterol and body weight and increased the levels of HDL-cholesterol in ICR. DSSMS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total cholesterol levels, LDL-cholesterol, LDH and cardiac risk factor (CRE) in SHR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LDH and CRF in ICR. DSTMT had an effect on protecting cells from damage by inhibiting production of p53 mRNA, and in DSSMS, by inhibiting production of p53 mRNA and p21 mRNA after hypoxia. DSTMT effectively blocked off Ca2+ at low density, but DSSMS effectively blocked off Ca2+ at high density. Both DSTMT and DSSMS had an effect on inhibiting lipid metabolism by blocking off production of apo B mRNA.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STMT and DSSMS might be usefully applied for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suppression of brain damage.

  • PDF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in Children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Esophageal Anomalies)

  • 곽주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 적: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의 안전성, 효과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들을 평가하였다. 방 법: 1993년부터 10년 동안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은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 겸자구를 통해 삽입하여 내시경 직시 하에서 시행되었으며 최초로 사용되는 풍선의 크기는 식도의 내경과 협착 부위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먼저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후, 유도 철선을 따라 풍선 카테터를 삽입시켰다. 풍선을 협착 부위에 위치시키고 서서히 확장하면서 목표하는 크기로 풍선이 팽창되면 1분 동안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감압하여 1분 이상의 휴식을 가졌다. 확장 후 합병증이 없으면 풍선의 직경을 1 mm 간격으로 늘리면서 추가 확장하였다. 결 과: 남아가 3명, 여아가 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세였다. 8명의 환자에서 27회(환자 당 평균 3.2회)의 확장이 시행되었다. 기저 질환의 종류는 선천 성 식도 폐쇄에 대한 수술 후 발생한 식도 협착이 3예, 식도윤이 2예, 그 외 식도 무이완증, 빙초산에의한 부식성 식도염 그리고 고압성 식도 하부 괄약근이 각각 1예였다. 6~15 mm 직경의 풍선을 사용하였고, 최초 풍선의 크기는 협착의 형태와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식도 천공과 심한 호흡 곤란이 각각 1예 있었다. 6예(75%)에서 시술 후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보였다. 결 론: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은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 PDF

Bacillus pumilus TX703 유래 Xylanase 유전자(xynK)의 Cloning과 염기서열 분석 (Molecular Cloning and Analysis of Nucleotide Sequence of Xylanase Gene (xynk) from Bacillus pumilus TX703)

  • 박영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8-199
    • /
    • 2002
  • Xylanase를 생산하는 내열성 Bacillus pumilus TX703의 chromosomal DNA로부터 xylanase 유전자를 cloning하여 그 염기배열 순서를 결정한 다음 이로부터 유전자 발현에 관련된 구조를 분석하였다. Xylanase 유전자의 cloning을 위해 제한효소 HindIII로 절단한 B. pumilus TX703의 chromosomal DNA와 pUC19을 ligation시켜 E. coli DH5 $\alpha$에 형질전환시킨 후 형질전환체 중에서 xylanase 활성을 나타내는 재조합 plasmid pXES106을 분리하였다. 재조합 plasmid pXES106은 pUC19의 HindIII 부위 내에 2.24 kb의 외래 DNA가 삽입되었고, 이 plasmid DNA를 분리하여 E. coli DH5 $\alpha$에 재형질전환시킨 결과 vector 내에 xylanase 유전자가 cloning되었음을 확인하였다. Cloning된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분석한 결과 이 유전자의 총 크기는 2,187 bp였고 이는 409개기 아미노산을 coding 하는 open reading frame 1,227 bp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염기배열은 ATG개시 codon으로부터 각각 193과 216 base 상류에 TTTAAT의 -10 box와 TCGAAA인 -35 box로 추정되는 염기배열이 존재하였고 -10 box로부터 7 bp하류에 전사개시점인 A가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개시 codon으로부터 432 bp 상류에 공통염기배열과 14개의 염기 중 11개의 염기가 일치하는 TGATGGCGTCGGCA의 catabolite responsive element (CRE)가 존재하였다. B. pumilus TX703의 xylanase와 아미노산배열의 유사성이 가장 높은 xylanase는 Hordeum vulgare의 isozyme X-I이었고 본 xylanase는 208번째와 322번째에 glutamic acid 잔기를 가지고 있어 Clostridium thermocellum, Dictyoglomus thermophilum, Thermotoga neapolitana 등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glutamic acid 부위가 xylanase의 활성부위라 여겨진다.

자궁경부암에서 방사선량과 방광합병증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Radiation Dose and Late Complication of Bladder in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하성환;정웅기;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77-385
    • /
    • 1993
  • 1979년부터 1986년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되어 외부방사선 및 강내 방사선 치료를 받은 55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방광합병증과 장사선량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환자 550명중 468명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 82명은 수술후에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이들 82명중 43명은 수술절제연 양성으로, 31명은 원발질환의 재발로, 8명은 stump cancer로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Grade 2와 3를 포함하는 방광합병증의 발생률은 5년에 $2.5\%$였다. 합병증이 생긴 환자군의 방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7487{\pm}768$ cGy이었으며, 이는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7150{\pm}808$ cGy보다 많았고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p<0.01). 방광합병증의 정도에 따른 방사선량의 차이는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었다(p>0.05). 전체 합병증의 발생률은 방광에 조사된 방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6,500 cGy 이하에서는 5년 합병증 발생률이 $5.0\%$이었으며 8,000 cGy 이상 조사된 환자군에서는 $27.7\%$이었다. 방광합병증에 영향을 줄수 있는 요인들을 Cox의 방법에 의해 다변량 분석한 결과 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ovoid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합병증 발생률이 적었다(p<0.05). 골반전체에 조사된 방사선량도 통계적 유의성에 근접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방사선량이 많아질수록 합병증 발생률은 증가하였다. TDF와 CRE 단위로 분석하였으며 선량과 합병증의 관계는 cGy 단위의 결과와 같았다.

  • PDF

NCI-H460 폐암 유발 누드마우스 모형을 이용한 난담반의 항암 효과 연구 (Anticancer Effects of Egg White Combined-Chalcanthite on NCI-H460 Tumor Regression Model)

  • 최은아;김정근;김경순;최정은;조종관;이연월;유화승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2-277
    • /
    • 2010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of Egg white combined-Chalcanthite (InSan 4, IS4) in xenografted nude mice with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 We cultured NCI-H460 cell lines and xenografted them on nude mice. These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with dose of 45 mg/kg IS4 orally, group with dose of 90 mg/kg IS4 orally, and the control group. They had been raised and treated for 28 days. We checked their body weight, tumor weight and volume twice a week, and their absolute organ weight, microhistological observation and biochemical blood analysis at the final day by sacrificing them. We also calculated their tumor inhibition rate (IR), mean survival time and percent increase in life span (% IL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all of the IS4 treated mice have tumor regression, dosage-depende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umor weight and volume of high dose treated mice were smallest. IR increased in IS4 in a dose-dependent manner. Mean survival time and percent increase in life span (% ILS) in high-dose IS4 treatment group were the highest of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chemical blood analysis, alanine phopsphatase (ALP), Calcium, creatinine (CRE), alanine 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transaminase (AST) levels. The urea nitrogen (UN) level result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S4 45 and 90 mg/kg (IS4 45 mg/kg, IS4 90 mg/kg, p<0.01). IS4 may have potential anti-tumor effect in a solid tumor induced by NCI-H460 without remarkable side effects.

반복매매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오피스 벤치마크 가격지수 개발 및 시험적 적용 연구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ffice Price Index for Benchmark in Seoul using Repeat Sales Model)

  • 류강민;송기욱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2호
    • /
    • pp.33-46
    • /
    • 2020
  • As the fastest growing office transaction volume in Korea, there's been a need for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accurately diagnose the office capit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perimentally calculate to the office price index for effective benchmark indices in Seoul.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used a Case-Shiller Repeat Sales Model (1991), based on actual multiple office transaction dataset with over minimum 1,653 ㎡ from Q3 1999 to 4Q 2019 in the case of 1,536 buildings within Seoul Metropolitan. In addition, the collected historical data and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tools were treated with the SAS 9.4 and ArcGIS 10.7 programs. The main empirical results of research ar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oul office price index was estimated to be 344.3 point (2001.1Q=100.0P) at the end of 2019, and has more than tripled over the past two decades. it means that the sales price of office per 3.3 ㎡ has consistently risen more than 12% every year since 2000, which is far above the indices for apartment housing index, announced by the MOLIT (2009). Second, between quarterly and annual office price index for the two-step estimation of the MIT Real Estate Research Center (MIT/CRE), T, L, AL variab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 (Beta) all of the mode l (p<0.01). Third, it was possible to produce a more stable office price index against the basic index by using the Moore-Penrose's pseoudo inverse technique at low transaction frequency. Fourth, as an lagging indicators, the office price index is closely related to key macroeconomic indicators, such as GDP(+), KOSPI(+), interest rates (5-year KTB, -). This facts indicate that long-term office investment tends to outperform other financial assets owing to high return and low risk pattern.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are practically meaningful to presenting an new office price index that increases accuracy and then attempting to preliminary applications for the case of Seoul. Moreover, it can provide sincerely useful benchmark about investing an office and predicting changes of the sales price among market participants (e.g. policy maker, investor, landlord, tenant, user) in the future.

전해환원수 음용이 마우스의 혈액과 장기조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on Blood and Organ Tissues of Mice)

  • 정한석;김동희;윤양숙;등영건;장병수;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21-328
    • /
    • 2008
  • 본 연구는 전해환원수 음용에 대한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사망률 확인, 체중 비교, 혈액의 생화학적 변화, 염증, 면역세포의 비교, 내부 장기의 형태적 변화, 장기의 무게 변화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하여 전해환원수가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전해환원수를 급이한 실험군에서 사망, 행동 및 외형 이상 유무 관찰 결과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체중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군에서 혈액의 생화학적요소인 $K^+$, $Cl^-$, $Ca^{2+}$, GPT, GOT, CRE 및 ALP에서는 유의한 수준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Na^+$와 BUN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감소되었다. 혈액 내 면역세포를 비교한 결과 호염기구, 호산성구 및 단핵구 등은 큰 차이가 없으며, 실험군에서 호중구는 감소하였고, 림프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위, 소장, 심장 및 간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모든 장기에서 병리적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전해환원수는 생체에서 큰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 안전한 물임을 알 수 있었고 국내에서 전해환원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기 때문에 전해환원수의 안전성을 입증하기 위한 기초자료 마련 및 제공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 목지예;강현주;조정근;전인화;김현수;박지민;정승일;심재석;장선일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9-47
    • /
    • 2011
  • Objective: The roots, leaves, flowers, stems and seed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are often used in treatment of human diseases such as hemorrhage, blood congestion and inflammation. Focusing our attention on natural and bioavailable sources of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ion, we undertook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used as a folk medicine in Korea. Methods: The extracts of the leaves, stems, flowers, seeds and roots from C. japonicum var. ussuriense wer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water or 80% ethanol. Total flavonoids and polyphenols were measured by a colorimetric assa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 was analyzed by the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nd Griess reagent assay. An oxidative product of nitric oxide (NO), was measured in the culture medium by the Griess reaction. The level of prostaglandin $E_2$ ($PGE_2$)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were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otal flavonoid and polyphenol amounts of the leaves (CLE) and flowers (CFE)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seed extract (CSE), stem extract (CSTE) and roots (CRE). CLE and CFE also showed the high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NO-like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se water extract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80% ethanol extracts.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LE o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CL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levels of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in dose dependant. Furthermore, the levels of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s were markedly suppressed by the treatment with CLE extract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E water extract has a higher an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these properties may contribute to the oxidative and inflammatory related disease care.

참굴(Crassostrea gigas)의 BTG1 유전자의 특성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BTG-1 Gene from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 정인영;오정환;송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8-407
    • /
    • 2017
  • BTG1 (B-cell translocation gene 1)은 APRO family (anti-proliferative protein family)에 속하며, 이들은 공통의 생물학적 기능은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굴의 gill cDNA library를 random sequencing을 통한 EST 분석과정에서 BTG1 clone을 확보하였으며,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굴의 BTG1은 182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zebrafish와 57%, human과 56%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사람이나 설치류와 달리 ORF (open reading frame) 내에 intron이 존재하지 않았다. Genomic DNA walking을 통해 굴의 BTG1의 predicted promoter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 AP-1 element와 SRE (serum response element) 부위가 존재하였으며, 5'flanking region에 cAMP response element (CRE) 부위가 확인되었다. 굴의 BTG1의 조직별 유전자발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real-time PCR을 수행하였으며, 6 개 조직 모두에서 BTG1의 유전자발현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heart와 mantle에서 높은 수준의 mRNA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Human cytomegalovirus 증식에 미치는 cAMP의 영향 (Effect of cAMP on the Replication of Human Cytomegalovirus)

  • 지용훈;윤주현;이찬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2-78
    • /
    • 1993
  • Human cytomegalovirus (HCMV) 의 immediate early(IE) 유전자의 promoter/enhancer 부위에 cAMP response element가 있다는 것으부터 caMP 가 HCMV 의 증식에 관여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8-bromoadenosine 3', 5'-cyclic monophosphate (BrA) 와 papaverine 같은 세포내 cAMP 농도를 변화시키는 약제를 사용하여 HCMV 의 증식, DNA 합성 및 IE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HCMV 증식과 DNA 합성은 papaverine 에 의해 억제된 반면, BrA 는 HCMV 의 증식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고 DNA 합성은 오히려 촉진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CMV IE promoter 에 의해 작동되는 CAT 유전자를 함유한 plasmid pCMVIE/CAT 을 세포내로 transfection 시켰을 때, papaverine 을 처리한 세포에서는 CAT 효소 활성도가 감소한 반면 BrA 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증가하였다. HCMV 에 감수성이 없는 HeLa 세포에서는 CAT 활성도가 감소성 세포인 HEL 세포에서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Vero 세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들 비감수성 세포인 HEL 세포에서 보다 높게 나타난 반면 Vero 세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 들 비감수성 세포에서의 CAT 활성도는 BrA 를 처리하여 주었을 때 모두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cAMP 는 HCMV 증식과 IE 유전자 발현에 어느 정도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