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TED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8초

CPTED 사업으로 인한 근린의 물리적 환경변화가 빈곤지역 주민들의 범죄두려움과 동네만족도, 동네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부산 사하구 감천2동을 대상으로 - (The Effects of Neighborhood Physical Changes caused by CPTED Project on Resident's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verty Area - Focused on the Gamcheon 2-dong, Saha-gu, Busan -)

  • 박주현;이경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1호
    • /
    • pp.105-11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environment change on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project implemented in Gamcheon 2 Dong on the fear of crim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poor.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pecifically the SPSS AMOS 25 program.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was enhanced by the improvement in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level of the target area through the installation of major CPTED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reduction in the neighborhood disorder due to the CPTED project enhanc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neighborhood attachment in the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walking environment caused by the CPTED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as the degree of neighborhood disorder decreased, the neighborhood satisfaction increased and the local people's attachment level increased.

CPTED 전략에 근거한 주거지역의 안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 부산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Research on Safety Design of Residence Based on CPTED Strategy -focused on Gamcheon cultural village in Busan, Korea as an example-)

  • 장닝;조정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93-104
    • /
    • 2021
  • 세계경제의 지속적인 발전과정에서 도시의 거주환경 변화와 조성에 대한 문제는 줄곧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기울이는 주제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거주지역에 존재하는 안전 취약점을 찾아 CPTED 이론 하에 실제에 부합되는 실행 가능한 개선방안과 기획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필요한 문헌을 수집하였다. 둘째, 현장조사를 진행하여 현지 주민과 관광객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로부터 존재하는 안전 취약점들을 정리하였다. 셋째, 이에 대응하는 개선방안과 건의사항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로부터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CPTED 이론의 6가지 원리를 기초로 하여 연구대상인 감천문화마을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대해 조사 및 종합하였다. 둘째, 현장 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가장 심각한 안전 문제 6개(안전손잡이, 조경, 출입구 통제, 표지판, 빈 공간, 감시)를 객관적으로 분석하였고 안전계단 증가, 자동 출입구 설치, 통행시야 확대, 표식 통일, 휴식장소 구축 등 방면에서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지역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 무질서의 매개효과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Social Security Network on Safet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regional disorder -)

  • 강현;김현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77-99
    • /
    • 2018
  •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며,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수도권지역에 거주자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임의표집법(Random Sample)을 통하여 3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24부를 제외한 총 276부를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CPTED'는 '무질서'와 '안전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으나, '지자체 안전교육'은 '안전생활 만족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무질서'는 '안전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CPTED'와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만 지역무질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지역사회의 안전교육에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며, 지역사회의 CPTED 지역주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안전망으로써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지자체 또한 지역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사회 안전망으로써의 효과가 선행적으로 입증되어야만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안전망과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 Study on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Infringement Considering CPTED

  • Lim, Heon-W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06-117
    • /
    • 2021
  • The aim is to find cyber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PTED in order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cybercrime prevention. For this, the six applied principles of CPTED were used as the standard. A new control item was created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items of ISO27001. A survey was conducted on former and current investigators and security experts.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Kronbar alpha coefficient value was 0.947, indicating the reliability of the statistical value.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t was reduced to six factors. The following are six factors and countermeasures. Nature monitoring blocks opportunities and strengthens business continuity. Access control is based on management system compliance, personnel security. Reinforcement of territoriality is reinforcement of each wife and ethics. Establishment of security policy to enhance readability, security system maintenance. Increasing usability is seeking ways to utilize, periodic incentives. For maintenance, security education is strength and security-related collective cooperation is conducted. The differentiation of this study was to find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crime in the psychological part of the past. However, they approached to find in cyber measures.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o bring the concept of physical CPTED to the cyber concept.

중국 공동주택의 범죄 예방을 위한 디자인과 소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me Prevention Design and Consumer Perception (CPTED) of Multi-Family Housing in China)

  • 콩더신;이동훈;박해림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63-76
    • /
    • 2024
  • 공동주택은 사람들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중요한 장소이자 소통 공간으로서 그 주거 환경의 좋고 나쁨이 주민의 행복감과 안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기반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CPTED)이 필요하다. 하지만, 중국의 범죄 관련 데이터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고 있어 중국의 학자들은 정확한 범죄 데이터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로 인해 범죄예방 측면에서 범죄예방디자인의 이론 구축과 적용이 늦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각 요소의 중요도,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개선 방안 등 세 가지 측면을 연구하여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 원칙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공공의 안전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주택 소비자의 범죄예방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연구 보고서와 선행문헌을 통해 중국 범죄예방디자인의 현황 및 개발 동향을 조사했다. 또한, 중국 소비자의 공동주택에 대한 범죄예방디자인 인식과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각 요소의 중요도 와 인식개선 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에 기반한 설문 조사와 통계 패키지인 SPSS의 신뢰도 분석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의 인지 상황, 각 요소의 중요도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실제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연구에서는 범죄예방디자인의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 솔루션을 도입하고 주민들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교육과 정보 확산을 통해 지역사회의 안전을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공동주택의 범죄예방디자인에 대한 인식도와 각 요소의 중요도 및 개선 방안은 향후 중국 지역을 기반으로 한 공동주택 범죄예방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CPTED를 활용한 도시순찰로봇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of Urban Patrol Robots Using CPTED)

  • 김해도;전진우;이종국;박교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순찰로봇이 도시 환경을 주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CPTED 및 문헌 연구를 통해 순찰 경로를 선정하였으며, 발생 가능한 위험 요소에 대한 위험성평가를 실시하였다. 로봇과 함께 도보를 사용하는 시민은 로봇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며, 위험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또한 도시환경의 경우 돌발적 상황 및 환경관리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현재 순찰로봇 안전평가를 하기 위하여 순찰로봇과 관련된 기업들은 ISO 13482 국제표준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개인 서비스 로봇의 안전 관련 국제 표준이며 순찰로봇의 특징과 주행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순찰로봇이 주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안전관리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순찰로봇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초기연구 목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제안 - 부산시 주거지역 골목길 사례를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Making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 Focusing on Alleys in the Residential Area of Busan -)

  • 강승영;안수미;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50-159
    • /
    • 2014
  • Recently, violent crimes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became serious social issues. In addition, compared to the past, the crime methods have become more diverse and intricate, which results in larger damages. For those reasons, the public are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crimes and it is detrimental to the quality of life in general. Currently, safety in alleys and other residential spaces is protected only by mechanical and managerial functions such as CCTV and police patrol. Safe environment from crimes can be achieved only if there are environmental and spatial plans such as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spatial planning that can prevent crimes through environmental elements, by researching the spatial planning and current status of alleys and residential spaces from the viewpoint of CPTED. To do so, first, a review checklist was created based on five principles of CPTED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northern districts of Busan with high crime rates. Second, the problems were analyzed through the field surveys and checklist was classified based on five principles of CPTED to propose improvements for each item. Also, a computer graphic simulation was used to suggest a design proposal. We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the basic environmental design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CPTED will have the effect of creating crime-free and safe spaces in alleys and residential environment.

주거지역 방범환경 조성을 위한 국내 법.제도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omestic Legislative System for Crime-Safe Environment in Residental Area)

  • 최재은;김세용;정윤남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5-160
    • /
    • 2009
  • Safety of residents could be considered and then increased when we plan, design, and operate a city. In Korea,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currently being applied to new towns. However, it is not systemized and neither efficient, for there are no constraint provisions, and the foreign cases are not specifically customized to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untry. This means, the introduction of CPTED is an indispensable fact, but there are limits to the budget aids and actual application, for there is no legal base to support it.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find the limits from analyzing related laws and regimes,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applied cases, and to deduct improvement plans based on examined foreign cases. In this Study, the supporting system of foreign CPTE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was analyzed around the cases of England and U.S.A, and based on that information, the present condition and limits of CPTE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f Korea were dedu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ere no constraint provisions to apply the design guidelines to actual planning, and there were limits on backup aid and actual application due to the lacking of analyzing the relevant area. Also, an acceptable framework must be arranged by the revision of laws and ordinances to compel the system, and link it with the CPTED certification system which will revitalize the whole system.

  • PDF

CPTED 설계요소에 대한 공동주택주민의 만족도 인식: CPTED 적용수준별 집단과 거주기간, 범죄예방노력의 교호작용효과 (Satisfaction Realization of Apartment House Inhabitants for CPTED Design Element: To with Group by CPTED Application Level, Reciprocal Action Effect of Crime Prevention Effort)

  • 최현식;박현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22호
    • /
    • pp.231-258
    • /
    • 2010
  • 본 연구는 공동주택 주민의 거주기간, 범죄예방노력을 배경변인으로 하여 만족도 분석과 세분화된 집단의 상호작용을 통해 주민인식 관점에서 범죄로부터 안전한 생활공간 구현과 범죄의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CPTED의 설계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요인분석결과 도출된 전체 집단(Total group)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이며, 꽤 수용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2차 설계집단(Group1)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이며, 기계적 접근통제, 기계적 감시는 꽤 수용 할 만한 수준이고, 나머지 6개차원에서는 적절한 수준을 나타났다. 1 2차 설계집단(Group2)은 8개 요인의 만족도지수는 모두 0 이상으로 제시되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차원에서 꽤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Two-way ANOVA를 분석한 결과는 거주기간에 따른 집단의 환경설계의 만족도 차이는 CPTED의 8개 모든 차원에서 1 2차 설계집단의 만족도가 높으며, 거주기간에 따른 만족도는 자연적 접근통제, 자연적 감시의 2년 미만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집단과 거주기간간 교호작용효과는 조직적 접근통제와 자연적 접근통제의 1 2차 설계집단 보다 2차 설계집단에서 2년 미만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나머지 2개의 하위집단에서 1 2차 설계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범죄예방노력에 따른 집단별 만족도 차이는 CPTED의 8개 모든 차원에서 1 2차 설계집단의 만족도가 높으며, 범죄예방노력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2차 설계집단에 '상'집단에서 만족도가 높으며, 교호작용효과는 기계적 접근통제, 조직적 접근통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에서 1 2차 설계집단 보다 2차 설계집단의 '상'집단에서 높으며, 1 2차 설계집단에서 '중'과 '하'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