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 intake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8초

사료의 ME가와 단백질 수준이 백세미의 생산성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Diet on the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st of White Semibroiler Chickens)

  • 조중호;엄재상;유명상;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56
    • /
    • 2007
  • ME가와 단백질 수준이 백세미 육계의 생산성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육계 초이 및 전기 사료를 T1로 하여 전기(starter) 및 육성기(grower) 사료로 각각 이용하였고, T1 사료의 ME가와 조단백 함량을 하향 조정한 세 처리구 등 총 4가지 사료(전기: T1; ME 3,040, CP 21.40%, T2;ME 2,950, CP 20.62%, T3; ME 2,950, CP 19.90%, T4; ME 2,900, CP 18.50% 그리고 후기: T1; ME 3,070, CP 20.86%, T2; ME 3,000, CP 19.70%, T3; ME 3,000, CP 18.70%, T4; ME 2,920, CP 18.00%)를 실용 산란계 암컷(Hy-Line)과 육용 종계 수컷($Ross^{(R)}$)을 인공 수정하여 부화시킨 백세미 초생추 360수(4처리, 6반복, 반복당 15수)에 공시하여 5주간의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증체량은 T1구가 다른 세 처리구에 비해 가장 높았고 사료 섭취량 또한 T1구가 가장 높았다. 사료 전환율도 T1구가 가장 좋았다. 생산 지수에서도 T1이 153으로 T2: 112, T3: 108 그리고 T4: 101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경제성 분석에서도 T1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우수하였으며 kg 증체당 사료비가 가장 낮았다. 그 다음으로 T4, T3, T2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백세미의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기존의 육계 사료를 급여 시 생산성이 가장 높았으며, 사료의 ME가와 조단백질 함량을 하향 조정할수록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nd Stage of Maturity of Mottgrass (Pennisetum purpureum) on its Chemical Composition, Dry Matter Intake, Ruminal Characteristics and Digestibility in Buffalo Bulls

  • Sarwar, M.;Mahr-un-Nisa, Mahr-un-Ni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35-1039
    • /
    • 1999
  • Four ruminally cannulated buffalo bulls were fed mottgrass diets using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reatments were arranged factorially and consisted of mottgrass fertilized with 0 for Kg nitrogen (N) per acre and harvested at 40 and 60 days of age. Nitrogen fertilization improved the concentrations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ADF) in early-cut mottgrass (ECM) but, the acid detergent lignin (AD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late-cut mottgrass (LCM). The crude protein (CP) contents of the mottgrass decreased with advancing maturity, but N fertilization increased CP at both maturities. The intake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OM), CP, NDF and ADF were higher by buffalo bulls fed ECM than those fed LCM. The ruminal pH increased in first 6 hours post feeding in animals fed N fertilized mottgrass and may be due to higher concentration of ruminal ammonia. The digestibilities of DM, OM, CP, NDF and ADF were higher by buffalo bulls fed ECM than those fed LCM. However, the application of N fertilizer did not affect the digestibilities of these nutrients.

Application of Rumen Undegradable Protein on Early Lactating Dairy Goats

  • Lee, Mei-Chu;Hwang, Sen-Yuan;Chiou, Peter Wen-Shy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49-1554
    • /
    • 2001
  • The application of rumen undegradable intake protein (UIP) on lactating dairy goats was studied. Thirty 2-year-old lactating dairy goats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dietary treatments begun from the third week to the fourth month postpartum.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into three, low (32% CP), med (35% CP) and high (38% CP), iso-nitrogenous (16% CP) and iso-energetic ($NE_L$ 1.68 Mcal/kg) UIP levels. Results showed that feed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 groups. The milk yield in the High UIP group (3.17 k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d (2.95 kg) and low UIP (2.45 kg) groups (p<0.05). The milk compositions, milk fat, milk lactose and milk solids-non-fat (SNF)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treatment groups. The milk protein howev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low UIP than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 milk urea-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low UIP than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The mean serum aspartate amino transferase (AST), urinary-N and total protein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the high and the med UIP groups than in the low UIP group.

Mineral Status in Cattle Fed Rice Straw and Para Grass Combined with Different Levels of Protein Derived from Cassava Foliage

  • Sath, K.;Pauly, T.;Holtenius,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59-64
    • /
    • 2013
  • Eight male cattle of the Local Yellow breed with an average live weight of 121 kg and an average age of 18 month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sun-dried cassava (Manihot esculenta) foliage supplementation on mineral metabolism in growing cattle fed rice straw and para grass as basal diet. Rice straw ad libitum and para grass (Brachiaria mutica) at 1% DM of BW comprised the basal diet. The study was arranged as a $4{\times}4$ double Latin square design, with cassava foliage contributing 0, 0.8, 1.6 or 2.4 g CP/kg BW. The cassava foliage intake was lower than the planned levels. DM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cassava foliage supplementation, with the largest intake observed at the two highest levels of cassava foliage supplementation. Rice straw intake showed the opposite pattern, with lower intake at higher cassava foliage supplementation. No refusals occurred for para grass in any of the treatments. Ca, P, Mg, K, S and Mn intak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intake of cassava foliage, but Na intake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Faecal excretion of Ca, Mg, S and Mn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assava foliage intak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 K and Na excretion in faeces. There was a significant diet effect on Mg, S and Mn digestibility. Mg and Mn digesti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assava foliage supplementation, while S digestibility decreased. Ca, P, K and Na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die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treatment on P retention, with the highest value observed for supplementation with 1.6 g CP/kg BW cassava foliage. Ca and Mg showed similar trends, with the highest retention again for supplementation with 1.6 g CP/kg BW cassava foliage. There were weak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nitrogen retention and the macro minerals Ca, P and Mg. Furthermore, retention of all these minerals was positively correlated. Mineral losses in urine were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 with the exception of P excretion, which was affected by treatment. In conclusion, cassava foliage is a good Ca source which compensates for the low Ca content in rice straw and para grass, but P deficiency appears to be exaggerated in cattle with higher cassava intake. The results suggest that under these conditions growing cattle on a high cassava intake would benefit from P and S supplementation.

유색육용계의 성장과 혈액성상에 사료단백질 및 에너지가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Energy, Protein on Growth and Blood Composition of Cross Bred Chicks)

  • 정용대;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91-302
    • /
    • 2008
  • 국내에서 사육되는 유색육용계 성장에 적합한 에너지와 단백질 수준을 구명하여 사료 급여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두 차례의 사양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유색육용계 1일령 암, 수컷 1,404수를 사용하였고, 펜당 26수씩 배치하였다. 사료내 에너지 수준은 사육전기 5주간 3,000, 3,100 kg/kcal이며, 단백질 함량은 $0{\sim}2$주에 20, 21, 22%를 급여하였으며, $3{\sim}5$주에 18, 19, 20, 21, 22%로 처리하였다. 조사 항목은 체중, 사료 섭취량을 측정하여 생산성을 계산하였으며, 실험 종료시 혈액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1 : $0{\sim}2$주간 사료 ME 함량 차이에 따른 생산 능력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으며 CP 함량 차이에 기인한 증체량과 사료 섭취량도 차이가 없었지만 사료 요구율은 CP 21, 22% 처리구에서 CP 20% 처리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실험 개시후 $3{\sim}5$주간에 사료 ME 3,100 kcal/kg 처리구에서 ME 3,000 kcal/kg 처리구에 비하여 사료 요구율은 개선되었다(P<0.05). 이 기간에 사료내 CP 22% 처리구는 낮은 수준의 처리구보다 증체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사료 요구율은 CP가 높은 수준의 사료를 급여시에 낮은 수준의 CP 처리구에 비하여 개선되었지만 사료 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 기간에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ME와 CP간 상호 작용하였다(P<0.05). 전 실험기간 5주간에 사료 요구율은 ME 3,100 kcal/kg 처리구에서 ME 3,000 kcal/kg 처리구보다 개선되었으며, CP (20)18%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P<0.05). 증폐량은 CP (22)22% 처리구에서 CP (21)21%, (20)18% 처리구보다 증가하였으며, ME와 CP간에 상호 작용은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에서 나타났다(P<0.05). 혈중 알부민, 총콜레스레롤 함량은 ME 3,100 kcal/kg 처리구에서 ME 3,000 kcal/kg 처리구보다 증가하였지만 중성지방은 감소되었다(P<0.05). 한편 총콜레스테롤은 CP (22)21 처리구에서 CP (22)20, (20)18% 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시험 2 : $0{\sim}2$주간 증체량은 ME 3,000 kcal/kg 처리구에 비하여 ME 3,100 kcal/kg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CP 22% 처리구에서 CP 20%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CP과 ME는 상호 작용을 보였다(P<0.05). 사료 요구율은 CP 21, 22% 처리구에서 CP 20% 처리구보다 개선되었으나(P<0.05), $3{\sim}5$주 및 전체 사육 기간에 처리구간에 생산성은 차이가 없었다. 혈액 성상도 처리구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지만 ME와 CP 처리구간 총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상호 작용은 <.0001 수준에서 인정되었다. 따라서 교잡육용계 생리에 적합한 사료내 단백질 수준은 $0{\sim}2$주령에 22%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급여하고, $3{\sim}5$주의 단백질 수준은 21, 20% 수준으로 급여가 생산성의 극대화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사료내 에너지는 부분적으로 처리구간에 생산에 차이를 보였지만 일관성이 없었으므로 에너지 수준을 세분화하여 급여하는 추후의 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DN/CP 비율이 젖소 12~14개월령 육성우 영양소 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DN/CP Ratio on Nutrient Intake, Body Weight Gain, Blood Characteristics of Dairy Heifers from 12 to 14 Months of Age)

  • 김겸헌;황원욱;김현진;김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15-123
    • /
    • 2016
  • 본 연구는 수정 전 단계인 생후 12~14개월령의 육성우에게 급여하는 사료의 적정 영양소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자 에너지와 단백질의 비율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및 증체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T1 (TDN/CP 비율, 5.0:1), T2 (TDN/CP 비율, 4.5:1) 그리고 T3 (TDN/CP 비율, 4.0:1)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분 중 회분은 T1이 11.07%로 T3 (9.6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며, TDN/CP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 내 회분 함량도 증가되었다. 초기 체중과 상관없이 증체량은 실험 개시 후 30일째 사료 내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60일째에는 T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p<0.05). TDN 비율이 감소하거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질수록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실험 종료 시의 혈중 GPT는 T1과 T3 (112.6, 88.3 u/l)가 T2 (50.9 u/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hosphorus는 T1 (46.3 mg/dl)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HDL cholesterol은 T2 (145.2 md/dl)가 T1 (121.0 mg/dl)과 T3 (132.3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T3 (40.6 mg/dl)가 T1, T2 (20.7, 29.0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BUN 농도를 비롯한 그 외의 혈액 분석항목들에서는 처리구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섭취량과 증체율에서는 TDN/CP 비율이 4:1이 가장 좋았으나 체지방 축적이 과잉될 가능성이나 혈액대사 수치를 함께 고려한다면 이 시기에서는 4.5:1의 비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료 급여원과 영양수준이 홀스타인 육성우의 성장 및 양분 섭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evels of Nutrient on the Growing Performance and Nutrient Intake of Holstein as Influenced by Source of Roughage)

  • Sang Gi Yun;Hyeun Shup Kim;Woo Sung Kang;Jong Hwangb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9-144
    • /
    • 1993
  • 홀스타인 암소 육성우에 옥수수사일리지와 볏짚을 급여하면서 영양수준을 80, 100 그리고 12%(NRC 요구량 대비)로 급여할때 육성우의 중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성우 30두를 각 처리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로 공시히여 체중 400kg까지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사일리지 및 볏짚급여시 육성기 최대 일당중체량은 각각 체중 200과 250kg 일때였다. 2. 체중이 증가할수록 DM, CP 및 TDN 요구량은 증가되었으며 체중 250~300kg 일때 이들 영양소 요구량이 가장 높았다. 3. 체중 250~300kg일때 체중(X)과 DM, CP, TDN 섭취량(I)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DMI = 8.0168X - 0.0209 (r=0.7986$^{**}$) CPI = 101428X - 0.0145 (r=0.5787$^{**}$) TDNI = 6.7620X - 0.3702 (r=0.6877$^{**}$)

  • PDF

Determination of Protein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of Elk Doe

  • Kim, Kwan-Woo;Lee, Jinwook;Kim, Dong-Gyo;Lee, Eun-Do;Lee, Sung-Soo;Kim, Do Hyung;Lee, Sang-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7-181
    • /
    • 2020
  • Data on the crude protein requirements of elk doe are nonexistent and the data are essential for their managemen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rude 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elk doe. Three female elk deer were used in 3 × 3 Latin square design with three diets containing three levels of crude protein (CP) that contained low crude protein (approximately 12%), medium crude protein (15%), and high crude protein (18%). Each three elk doe trials included a 14-day preliminary period and a 5-day collection period. Crude protein intake was 4.83, 6.26, and 9.00 g/d for 12%, 15%, and 18% of CP level, respectively. Crude protein balances were 1.04, 1.41, and 4.14 for 12%, 15%, and 18% of CP level, respectively. The maintenance requirement for CP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P intake and CP balance were 3.70 g/BW0.75.

Reproduction-Nutrition Relationship in Dairy Buffaloes. I. Effect of Intake of Protein, Energy and Blood Metabolites Levels

  • Qureshi, Muhammad Subhan;Habib, Ghulam;Samad, Hafiz Abdus;Siddiqui, Muhammad Mohsin;Ahmad, Nazir;Syed, Mirajuddi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330-339
    • /
    • 2002
  • Fifty one Nili-Ravi dairy buffaloes in their last two months of gestation were selected. After parturition, rectal examination of reproductive organs was carried out until the occurrence of the first oestrus (PEI). Milk samples were analyzed for milk progesterone levels (MPL). Ovulation (POI) was confirmed by rectal palpation and MPL. Feed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tnightly and analyzed. Body condition score (BCS) was recorded on a scale of 0 to 5. Crude protein (CP) intake varied among different seasons and correlated positively with serum urea levels, POI (p<0.01) and PEI (p<0.05). Excess CPI was lower in the group showing oestrus as compared to those remaining as anoestrus (p<0.05). The dietary ratio of crude protein - metabolizable energy (CP:ME) in the oestrus animals was narrow and constant, while the anoestrus animals had a widely fluctuating one. In normal breeding season (NBS) calvers, mean serum urea level (SUL) was lower than the low breeding season (LBS) calvers. SU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I and POI (p<0.01). Up to six months postpartum, SUL were constantly higher in anoestrus than oestrus buffaloes. Mean metabolizable energy (ME) intake was lower in the NBS calvers than the LBS calvers (p<0.01). BCS and postpartum ovulation interval were correlated with ME intake (p<0.01). Prepartum ME intake was higher in oestrous as compared to anoestrous animals (p<0.05). Higher and lower ME intakes were associated with anoestrus, while a moderate energy intake was associated with a PEI of less than 75 days. Buffaloes with poor BCS belonged to the LBS calving group and most of the NBS calving buffaloes had good BCS. BC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EI (p<0.01) and was higher in oestrous buffaloes than anestrus. It was concluded that excess intake of crude protein, associated with higher serum urea levels and low energy intake, associated with poor body condition, are the key factors for low reproductive efficiency. It may be corrected by adopting a proper feeding strategy.

비육기 흑염소의 유지를 위한 조단백질 요구량 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rude Protein Requirement for Maintenance of fattening Black Goat(Capra hircus coreanae))

  • 윤영식;장세영;성혜진;당옥교;정우령;박재현;문상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6-182
    • /
    • 2017
  • 본 연구는 단백질 균형시험에 의한 흑염소의 1일 유지 단백질 요구량을 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평균체중 $31.78{\pm}4.54$의 8개월 령의 비육기 수컷 흑염소 6두를 공시하였고, $3{\times}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처리구별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을 달리하여 흑염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험 기간은 2014년 10월 12일부터 2014년 11월 21일까지 40일간 이천의 흑염소 농장에서 진행하였다. 사료의 조단백질 수준은 처리구별로 13%(T1), 16%(T2), 19%(T3) 이며 TDN은 66%로 하여 배합한 TMR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1일 사료급여량은 체중의 1.5%를 오후 5시경에 급여하였다. 처리구별 건물섭취량은 T1구가 925.14g/d, T2구가 966.67g/d, T3구가 936.08g/d으로 T2구에서 가장 높았고, 일당증체량은 T2구가 167.13g/d으로 T1과 T3구의 각각 109.26g/d, 118.98g/d 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건물 소화율은 T1과 T2과 T3구 각각 73.68%, 71.81%, 73.77%로 처리구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단백질 소화율은 T3구가 82.42%로 T1과 T2구 각각 72.73%, 65.72%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지방 소화율은 처리구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ADF 소화율은 69.13%로 T1구에서 가장 높았다(p<0.05). CF와 NDF 소화율은 46.88~59.76%, 63.29~73.73%의 범위로 처리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조단백질 섭취량은 T1과 T2과 T3구에서 각각 128.78g/d, 154.57g/d, 181.23g/d로 사료 내 단백질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대사 체중 당 CP 섭취량과 CP 축적량과의 관계식에서 CP 균형이 0이 되는 X축 절편은 $1.63g/BW^{0.75}$이었다. 본 연구결과 8개월 령 수컷 흑염소에게 필요한 유지 조단백질 요구량은 $1.63g/BW^{0.75}$이며 흑염소의 사양표준 설정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유지 단백질 요구량에는 성장단계 및 사양방법, 성별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그러한 요인들을 기준으로 한 흑염소 단백질 연구가 단계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