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Social Distancing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1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드라이브 스루 카페를 활용한 도시공원 디자인 제안 (A Proposal of Urban Park Design Using DT Cafe in Post-COVID Era)

  • 길수연;신해민;최주현;김유선
    •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 /
    • 제45호
    • /
    • pp.31-4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방역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유지하되, 그 이전의 삶을 향유할 수 있는 공간을 재탄생 시켜야 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드라이브 스루를 활용한 도시공간 디자인 뉴노멀 계획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동인구가 높고 드라이브 스루가 가능한 공간이 있는 곳으로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카페와 오륜기를 상징하는 5공간의 공원을 디자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올림픽의 오륜기의 색인 파랑, 노랑, 검정, 초록, 빨강을 이용해 카페의 이름인 CUPPY(Cup+Coffee)에 하나씩 입혀 카페 로고를 표현했다. 올림픽의 5대륙(Europe, Asia, Africa, Oceania, America)을 나누어 5개의 공간으로 공원 안이 구성되어 있으며, 드라이빙 루트도 5개의 공간에 맞춰 오륜기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살아가기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변화와 적응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 시대마다의 뉴노멀은 달랐고 달라야만 했던 것 같이 코로나 사태 이후의 도시공원 디자인의 뉴노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로 도시공원 디자인에 좋은 예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더 다양한 환경에 적용한 계속적인 제안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사무직 남성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하여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office male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서정효;김희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2-42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office worker males in the COVID-19 pandemic by apply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9 male office workers at companies located in S, G and S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dow 25.0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prior related behaviors (r=.58, p<.001), perceived benefits of action (r=.41, p<.001), self-efficacy (r=.53, p<.001), social support (r=.39, p<.001), self-esteem (r=.47, p<.001) and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r=.67, p<.001)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the commitment to a plan of action (𝛽=.35, p<.001), self-esteem (𝛽=.27, p=.005), prior related behavior (𝛽=.26, p<.001), health status (good) (𝛽=.20, p=.001) and self-efficacy (𝛽=.14, p=.047). These variables explained 63.0% of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Conclu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ubject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disease due to reduced outdoor activity time and irregular eating habits due to the strengthening of social dista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are an important concept that can maintain health and prevent diseases. To improv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en engaged in office work,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a health promotion behaviors program considering those variables.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festyle Change Experiences of Undergraduate Due to COVID-19)

  • 강진호;박아름;한승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89-297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생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3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심리적 변화 경험, 환경적 변화 경험, 행동적 변화 경험이었다. 심리적 변화 경험으로는 매일 매스컴을 통해 확진자 소식 및 사망자 소식 등을 접함으로 불안과 공포 우울의 감정을 느꼈으나, 완치자 증가 소식 등을 접함으로 안도감과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환경적 변화 경험으로는 감염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학업 운영 변화를 경험하였다. 행동적 변화로는 마스크 구매 행렬 및 개인위생 관리 철저를 경험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로부터 본인을 보호함과 동시에 타인에 대한 배려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코로나-19 초기 참여자들은 관망자에서 적극적인 행동자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실천함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심리적·행동적 중재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연쇄적 변화의 구조 모형 (A Structural Framework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equential Cha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고동우;서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7권4호
    • /
    • pp.351-389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에 처한 사람들이 심리적 수준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결과적으로 어떤 심리적 변화를 겪고 있는지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구조적 틀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팬데믹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잠정적인 분석의 틀을 설정한 후, 이를 확인하고 수정하는 방향의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 성인 6명으로부터 인터뷰 자료를 구하였고, 근거이론의 절차를 부분적으로 차용한 내용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해석하고 정리하였다. 최종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심리적 적응과 변화 과정의 패러다임 구조 모형을 확장, 도출하였다. 이 패러다임 구조 틀은 '원인적 조건 ⇨ 중심 현상 ⇨ 연쇄적 결과'로 이어지는 심리학적 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고, 개인의 심리적 특성 범주를 '중개 조건'으로 추가한 패러다임 형태로 묘사되었다. 팬데믹 위기와 사회적 거리두기 및 결정적 사건 등이 '원인적 조건' 범주에 해당되고, '중심 현상' 범주는 긍정/부정/복합적 심리 경험을 포함하고, '연쇄적 결과' 범주에는 가치관/행동양식 변화 등이 분류되었다. 중개조건 중 '맥락조건'으로서 직장과 가족관계 특성이 확인되었고, '조절적 중개 조건'으로서 공동체책임의식, 여가능력 및 긍정심리자본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분석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이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역별 이슈를 통한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Local Community Food Issues in the Context of COVID-19: Focusing on Social Big Data through Regional Issues)

  • 최홍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46-558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살펴보았으며, 온라인 공간에서 생산된 소셜 빅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된 후 지역별 홈페이지와 온라인 커뮤니티인 카페에서 확산한 먹을거리 관련 이슈를 분석했다. 다음으로는 언론 뉴스, SNS, 포털 등에서 확산하는 먹을거리 관련 이슈의 내용을 살펴봤다. 그 결과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비해 여타 지역 홈페이지에 먹을거리 관련 게시물이 더 많았지만, 온라인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등록된 온라인 커뮤니티에 먹을거리 관련 이슈가 더 많았다. 지역별 온라인 커뮤니티의 먹을거리 관련 키워드는 지역사회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주로 포함하고 있었다. 언론 기사, SNS, 검색포털 이슈에는 지역사회 먹을거리 관련 정책, 정보, 상품 등의 소비과정에서 논의될 수 있는 내용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지역사회 단위로 특화한 정보 공유체계는 발견되지 않고, 온라인 커뮤니티가 현실적인 먹을거리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소셜미디어를 통해 지역별 먹을거리 정책의 성과검증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Forecasting of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of Korea

  • Goo, Taewan;Apio, Catherine;Heo, Gyujin;Lee, Doeun;Lee, Jong Hyeok;Lim, Jisun;Han, Kyulhee;Park, Taesu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1호
    • /
    • pp.11.1-11.8
    • /
    • 2021
  • For the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redictive modeling, in the literature, uses broadly susceptible exposed infected recoverd (SEIR)/SIR, agent-based, curve-fitting models. Governments and legislative bodies rely on insights from prediction models to suggest new policies an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enforced policies. Therefore, access to accurate outbreak prediction models is essential to obtain insights into the likely spread and consequences of infectious disea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future COVID-19 situation of Korea. Here, we employed 5 models for this analysis; SEIR, local linear regression (LLR), negative binomial (NB) regression, segment Poisson, deep-learning based long short-term memory models (LSTM) and tree based gradient boosting machine (GBM). After prediction, model performance comparison was evelauated using relative mean squared errors (RMSE) for two sets of train (January 20, 2020-December 31, 2020 and January 20, 2020-January 31, 2021) and testing data (January 1, 2021-February 28, 2021 and February 1, 2021-February 28, 2021) . Except for segmented Poisson model, the other models predicted a decline in the daily confirmed cases in the country for the coming future. RMSE values' comparison showed that LLR, GBM, SEIR, NB, and LSTM respectively, performed well in the forecasting of the pandemic situation of the country. A good understanding of the epidemic dynamics would greatly enhance the control and prevention of COVID-19 and other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with increasing daily confirmed cases since this year, these results could help in the pandemic response by informing decisions about planning, resource allocation, and decision concerning social distancing policies.

Exploratory Investigation for Some Universities' E-Learning Systems during Covid-19 Pandemic

  • Fatima Rayan Awad, Ahmed;Thowiba E., Ahmed;Rashid A., Saeed;Elmustafa Sayed, Ali;Ghada Elnour Elterafi, Abdelrhman;Somia Yousif Ahmed, Abutiraim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2호
    • /
    • pp.160-170
    • /
    • 2022
  • COVID pandemic has reshaped the world as it has been known to us and the educa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affected by it. Due to social distancing, quarantines and isolations have made it impossible for the knowledge transition to the masses using conventional methods. For cope with pandemic, the only other way available for some of the fortunate countries is the use of E-learning having somewhat the sam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study of the preparedness of the learning system in some Sudanese universities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Crit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current developing scenario, usage of the facilities available in open-source platforms, and the interaction of the universities folks with e-learning systems. The impact of such measures has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in this paper for Sudan which is already deprived of a proper education system. The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interact of the staff and the students with the system was acceptable where more than 85% of those enrolled to the system were interact properly and efficiently. The lecturers conducted through the platform were attended with more than 75% of the students. We also found that most of the lecturer were avoid to exam students by utilize the platform; where only 45% of the uploaded courses were conducted exams over Moodle platform. As Moodle is an open source and still need to be improved to be used for high examination credibility.

코로나19 사태에서 국가의 정보통신기반 구축·보호 책임에 대한 시론적 고찰 (A Preliminary Study on State Responsibility for Establishment and Protection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in COVID-19 Pandemic)

  • 박상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9-54
    • /
    • 2020
  • 코로나19 사태는 정보통신의 기초가 되는 바탕 또는 토대인 정보통신기반의 필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된다는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주로 법학적 관점의 문헌 조사와 규범적 고찰을 통하여 코로나19 사태에서 정보통신기반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정보통신기반 구축·보호에서 국가의 책임을 구현하는 제도적 방안이 무엇인지를 총론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정보통신기반은 코로나19 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전환의 주요 관건이다. 이에 따라 국가는 정보통신기반의 구축과 보호에 대한 책임이 있다. 국가의 정보통신기반 구축·보호 책임에서 제도적 방안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법률적 차원의 대응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반 구축·보호에 관한 국가목표규정을 형성하는 헌법적 차원의 대응도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관련 개별 법령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의 기본 전제와 방향성을 제시한다.

IoT 스마트 스트레스 케어를 위한 생체신호 기반의 실시간 HRV 측정 (Development of Real-time HRV measurement Application based on vital signs for IoT smart stress care)

  • 송호준;박도영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40-45
    • /
    • 2021
  •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하여 우리의 일상은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이로 인한 사회적거리두기와 같은 공중보건 조치로 인하여 COVID-19의 확장을 줄이는 데는 필수적이나, 동시에 우울증, 불안장애, 우울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등에 노출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한 Smart Watch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한 ECG와 PPG 측정을 통하여 HRV 데이터 및 스트레스 지수 확인이 가능한 Application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Application의 경우 실시간으로 Heart Rate를 측정하여 표시 하였으며, 걸음 수와 칼로리, 총 운동 거리를 측정하여 기본적인 운동정보를 전달하였고, 측정하기 프로그램으로 혈압, 심박수, HRV 데이터를 블루투스 기반으로 원활히 전달 하였다. 이를 통해 스스로 정신건강 관리를 할 수 있는 IoT 스마트 스트레스 케어 Application이 스트레스 및 우울 외상 장애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Managing Mental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Recommendations from the Korean Medicine Mental Health Center

  • Hyo-Weon Suh;Sunggyu Hong;Hyun Woo Lee;Seok-In Yoon;Misun Lee;Sun-Yong Chung;Jong Woo Kim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02-130
    • /
    • 2022
  • Objectives: The persistence and unpredictability of coronavirus disease (COVID-19) and new measures to prevent direct medical intervention (e.g., social distancing and quarantine) have induced various psychological symptoms and disorders that require self-treatment approaches and integrative treatment interven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Korean Medicine Mental Health (KMMH) center developed a field manual b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and preexisting manuals. Methods: The working group of the KMMH center conducted a keyword search in PubMed in June 2021 using "COVID-19" and "SARS-CoV-2". Review articles were examined using the following filters: "review,"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 conducted a narrative review of the retrieved articles and extracted content relevant to previous manuals. We then created a treatment algorithm and recommendations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Results: During the initial assessment, subjective symptom severity was measured using a numerical rating scale, an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low- or moderate-high risk. Moderate-high-risk patients should be classified as having either a psychiatric emergency or significant psychiatric condition. The developed manual presents appropriate psychological support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ollowing dominant symptoms: tension, anxiety-dominant, anger-dominant, depression-dominant, and somatization. Conclusions: We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mental health proble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developed a clinical mental health support manual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When symptoms me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 mental disorder, doctors of Korean medicine can treat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manual for the corresponding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