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불안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경남도민의 COVID-19 감염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불안, 건강신념을 중심으로 (Gyeongnam Inhabitants' Effects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Focus on Anxiety and Health Belief)

  • 김선주;김은영;양혜련;채여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9-3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adults residing in Gyeongsangnam-do by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health belief and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a website, an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86.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uring July 2020.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of adult residing in Gyeongsangnam-do were perceived barriers(��=-3.68, p<.001), perceived benefits(��=3.39, p=.001), perceived susceptibility(��=2.83, p=.005), sex(��=2.59, p=.010).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y variables for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was 35.0%(F=17.61, p<.001).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promote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there is needed to reduce obstacles for carrying out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and develop multi-faceted promotional strategies for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코로나19 감염경험 유무에 따른 여성 암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female cancer survivors based on COVID-19 Infection Experience)

  • 김미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29-138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감염 경험 여부에 따른 여성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는 여성암 생존자 137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월 24일 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한 결과 코로나19에 감염경험이 있는 군은 나이(𝛽=.20, p<.05), 우울(𝛽=-.29, p<.01), 불안(𝛽=-.39, p<.001)과 사회적 지지(𝛽=.35, p<.001)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F=26.932, p<.001). 반면 코로나 19 감염경험이 없는 군에서는 나이(𝛽=.22, p<.001), 불안(𝛽=-.54, p<.001)과 코로나19 예방행위(𝛽=.25, p<.001)가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F=64.937, p<.001). 코로나19 고위험군인 여성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다.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뉴스 의제 분석: 코로나 19 관련 감정을 중심으로 (Analysis of News Agenda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Focused on COVID-19 Emotions)

  • 유소연;임규건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1호
    • /
    • pp.47-64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퍼진 코로나 19 상황은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 등 많은 부분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진과 대중은 불안, 우울, 스트레스 등 심리적인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한다. 장기적인 부정적인 감정은 사람들의 면역력을 감소시키고 신체적인 균형을 파괴할 수도 있으므로 코로나 19로 인한 심리적인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감정과 관련된 뉴스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키워드를 분류하고, 키워드 사이의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단어들의 관계를 시각화하였다. 코로나 감정과 관련된 기사의 키워드에 나타난 단어들의 빈도수를 확인하고 이를 워드 클라우드로 분석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 코로나 19 감정과 관련하여 '중국', '불안', '상황', '마음', '사회', '건강'과 같은 단어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데이터 간 연결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키워드 중심성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적인 핵심어는 '심리'와 '코로나 19', '블루', '불안'이라는 단어가 높은 연결 중심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사의 헤드라인에 나타난 주요 핵심어 사이의 동시 출현 빈도 네트워크를 그래프로 시각화한 결과, '코로나-블루' 쌍이 가장 굵게 표시되었고, '코로나-감정', '코로나-불안' 쌍이 비교적 굵은 선으로 표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코로나와 관련된 '블루'는 우울증을 의미하는 단어로, 코로나와 우울증은 이제 관심을 가져야 할 키워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화한 코로나 19 상황에서 신체적인 방역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방역에도 힘써야 할 이 시기에 보건 정책담당자가 빠르고 복잡한 의사결정 과정에 도움이 되고자 미디어 뉴스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더욱더 쉬운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의 COVID-19에 관한 지식, 건강신념 및 불안이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횡단적 연구 (Nursing students'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s on COVID-19: A cross-sectional study)

  • 사혜원;김영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4-29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related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levels, and preventive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preventive behavior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 total of 192 nursing students from March 4, 2021 to March 25, 2021.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identify nursing students' knowledge, health beliefs, anxiet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regarding COVID-19.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 t-test,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level was 15.08±1.70 out of 5, and their health belief level was 3.72±0.32 out of 5. These scores were considered high. Their anxiety score was 3.29±3.84 and considered very low.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benefits (r=.29, p<.001) and cues to action (r=.28, p<.001). Factors influencing COVID-19 preventive behaviors by multiple regression were identified as health beliefs and living arrangements (F=8.95, p<.001, Adjusted R2=14.3%).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health beliefs and living arrangements could b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health behavior in nursi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ppropriate education and widespread awareness campaigns aimed at potenti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bout the prevention of new emerging diseases.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related Knowledge & Preventive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 양승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65-76
    • /
    • 2022
  • 본 연구는 일 간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지식 및 예방적 건강행위,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시 소재 일 간호대학 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2022년 4월 15일부터 2022년 5월 10일까지 실시하였고, SPSS/WIN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실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는 코로나19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불안정도는 학년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예방적 건강행위와 지식, 자기효능감, 불안, 지각된 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은 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불안은 지각된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대책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신종 감염병(COVID-19) 환자 간호의 행위 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behavioral beliefs to care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 (COVID-19) patients)

  • 박윤진;이선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22-528
    • /
    • 2021
  • 본 연구는 신종 감염병 확산과 관련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불안 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행위 신념과 통제 신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들이 행위 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에 소재한 의료기관에서 COVID-19환자를 직접 간호한 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방법은 SPSS 22.0을 사용하여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불안, 행위 신념, 통제 신념을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불안, 행위 신념, 통제 신념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으며, 제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확인하였다. 행위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는 평균 24.20±20.58, 불안은 48.31±6.61, 행위 신념은 평균 -1.00±17.12, 통제 신념은 3.41±11.66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행위 신념과는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4.71, p<.001), 불안과도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2.248, p<.05). 통제 신념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행위 신념을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심리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COVID-19 사태로 인한 장애근로자의 일자리 변화 탐색 (Exploring Job Changes for Disabled Workers Due to COVID-19)

  • 강영숙;김병철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77-187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 사태에 따라 장애근로자의 일자리 변화에 미치는 경험 탐색을 목적으로 2020년 장애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데이터와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탐색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인해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근로 형태의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COVID-19이후 장애인의 고용안정 정도가 나빠졌다. 셋째, 비임금근로자의 경우 COVID-19로 사업체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넷째, COVID-19로 인해 퇴사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COVID-19로 구직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자료분석 결과를 볼 때, COVID-19로 인해 장애인의 경제적 활동에 많은 제약을 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해결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국내 장애인들의 노동시장에 대한 불안정성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65세 이상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motional Chang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who Experienced COVID-19 Social Situation)

  • 이나윤;강진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71-17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회적 사태를 경험한 노인들의 정서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J 시에 거주 중인 65세 이상 노인 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1개의 구성요소와 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정서적 변화로 노인들은 코로나-19를 경험하면서 확산에 대한 불안함, 확진자 및 사망자 증가 소식에 대한 두려움, 외출 자제 등으로 인한 우울과 답답함, 종식에 대한 기대감을 경험하였다. '기술적 방역'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심리적 방역'이 없으면 노인들의 불안은 커질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두려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술적 방역'뿐 아니라 노인들에게 '심리적 방역'인 정서적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노인들이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음압격리병실이 있는 부서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코로나19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 on COVID-19 Infection Control Practice of Nurses who Work in Working Sites with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 박민지;이윤미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6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 control practices of nurses i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150 nurses working in three hospitals with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Results :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subject's COVID-19 infection control practice include Being married (𝛽=.18, p =.016), working in a ward with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𝛽=.44, p <.001), working in an ICU with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s (𝛽=.27, p =.010), COVID-19 infection control attitude (𝛽=.28, p =.001), anxiety for COVID-19 (𝛽=.30, p <.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COVID-19 infection control practice was 24.6% (F=8.67, p <.001). Conclusion : It is expected that strategies that utilize positive attitudes which believe that COVID-19 disease may be overcome by COVID-19 infection control practice will help improve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infection control practice.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During the Initial Phase and Third Wave of the COVID-19 Pandemic: Exploring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the Prolonged Pandemic

  • Choi, Huiyoung;Lee, Wangjun;You, Myoungsoon;Chang, Jhin Goo;Hong, Minha;Kim, Hyun-Soo;Lee, Su Young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0-91
    • /
    • 2022
  • Objective :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has deteriorated because of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on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and its determinants. Methods : Two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employees working in a hospital that received COVID-19 patients from the early phase of the pandemic in South Korea. Data on demographics, perceived threat, workplace evaluation,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status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General Health Questionnaire-20 in the initial phase (February 2020) and during the third wave of COVID-19 (December 2020) for 467 and 545 workers, respectively.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in the two phases was compared, an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during the third wave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 psychiatric high-risk group increased from 2.8% in the initial phase to 11.4% during the third wave. The perceived threat, workplace evaluation, and resilience of respondents deteriorated. Risk factors for mental health during the third wave included the perceived threat items of job stress, loss of control, and considering resignation. Protective factors included presence of children, workplace satisfaction, and hardiness in resilience. Conclusion :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deteriorated as the pandemic progressed. General stress and tension such as job stress, loss of control, considering resignation rather than COVID-19-specific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Therefore, care for work stress itself can be helpful to maintain the mental health of hospital workers. Also, governance to improve workplace satisfaction or hardiness in resilience can be a potential protective factor for hospital workers' mental health during the prolonged pan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