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NS tumor

Search Result 68, Processing Time 0.102 seconds

Diagnostic and Prognostic Relevance of Bone Marrow Microenvironment Components in Non Hodgkin's Lymphoma Cases Before and After Therapy

  • Soliman, Amira 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273-5280
    • /
    • 2016
  • Objective: To evaluate stromal cells of the bone marrow microenvironment (BMM) in bone marrow trephine biopsy (BMTB) specimens, with a focus on fibronect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and L-selectin in Non-Hodgkin's lymphoma (NHL)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80 de novo NHL patients, 64 with B-cell lymphomas 80%, (follicular cell lymphoma (FCL) in 32, chronic lymphocytic leukemia/small lymphocytic lymphoma (CLL/SLL) in 12, and diffuse large cell lymphoma in 20) and 16 with T-cell lymphomas (20%) all diagnosed as T-Lymphoblastic lymphoma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rapy. For comparison, 25 age and sex matched BM donors, were included as a control group. BMTB material and BM aspirates were taken for morphological assessment of stromal cells, the plasma of these samples being examined for $TNF{\alpha}$ and L-selectin by ELISA, and fibronectin by radial immunodiffusion (RID). Results: BM stromal cells comprising reticular macrophages and fibroblasts were elevated in 53.3% of NHL cases at diagnosis, while BM fibronectin levels were decreased and BM $TNF{\alpha}$ and L-selectin were higher than in controls (p<0.05). In NHL cases, elevated values of BM $TNF{\alpha}$ and BM L-selectin were associated with signs of aggressive disease, including >1 extra nodal sites, detectable B symptoms, high grade, BM and CNS invasion, and a high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p<0.05). Conclusion: BMM components, $TNF{\alpha}$, L-selectin and fibronectin, in NHL can be useful in evaluating disease activity, extent and response to treatment and as prognostic markers according to the IPI.

Exploring amygdala structural changes and signaling pathways in postmortem brains: consequences of long-term methamphetamine addiction

  • Zahra Azimzadeh;Samareh Omidvari;Somayeh Niknazar;Saeed Vafaei-Nezhad;Navid Ahmady Roozbahany;Mohammad-Amin Abdollahifar;Foozhan Tahmasebinia;Gholam-Reza Mahmoudiasl;Hojjat Allah Abbaszadeh;Shahram Darabi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1호
    • /
    • pp.70-84
    • /
    • 2024
  • Methamphetamine (METH) can potentially disrupt neurotransmitters activiti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cause neurotoxicity through various pathways. These pathways include increased production of reactive nitrogen and oxygen species, hypothermia, and induction of mitochondrial apopto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ong-term effects of METH addiction on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amygdala of postmortem human brains and the involvement of the brain-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CREB/BDNF) and Akt-1/GSK3 signaling pathways. We examined ten male postmortem brains, comparing control subjects with chronic METH users, using immunohistochemistr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measure levels of CREB, BDNF, Akt-1, GSK3,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Tunnel assay, stereology, and assays fo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lutathione disulfide (GSSG),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The findings revealed that METH significantly reduced the expression of BDNF, CREB, Akt-1, and GPX while increasing the levels of GSSG, ROS, RIPK3, GSK3, and TNF-α. Furthermore, METH-induced 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on in the amygdala, with ROS production mediated by the CREB/BDNF and Akt-1/GSK3 signaling pathways.

척수 혈관모세포종의 임상 분석 (Clinical Analysis of Spinal Cord Hemangioblastoma)

  • 이대규;최우진;김동윤;이철희;정천기;김현집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1호
    • /
    • pp.1291-1299
    • /
    • 2001
  • Objectives : The authors presen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4 patients treated for spinal cord hemangioblastoma (SCH) between Dec. 1986 and Mar. 200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functional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extent of surgical removal of SCH. Methods : Eleven patients were male and three patients were female. Their mean age was 37.2 years that ranged from 19 to 62 years. Preoperative magnetic resonance(MR) imaging of the spine was performed in all cases, and preoperative angiography in eleven cases. They were followed from 15 months to 161 months(median follow-up period, 47 months), and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neurological symptoms and functional outcomes with radiological features, especially on MR imaging. Results : Six patients were accompanied by von Hippel-Lindau disease, and three of them had multiple CNS tumors. Thirteen patients had intramedullary tumor, and the remaining one had extradural. Syringomyelia around the tumor was observed in ten cases. All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moval, and gross total removal(GTR) was achieved in ten cases. Preoperative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four cases. In four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preoperative embolization, intraoperative loss of blood was minimal and GTR was possible. One patient developed a transient swallowing difficulty postoperatively without permanent postoperative neurological deficits. In three of four patients in whom GTR was not possible, their functional outcomes were worsened postoperatively. The functional status at discharge was improved in seven patients, stationary in four patients, and worse in three. At the last follow-up(15-161 months), one of four patients who had been stationary at discharge showed improvement but, the rest did not show any change. All patients who showed neurological improvement were patients with GTR, and the patients with GTR had significant better outcome than those without GTR(p=0.015). Conclusion : Surgical treatment, and especially, GTR is consider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spinal cord hemangioblastoma. Preoperative embolization may prevent intraoperative bleeding and improve surgical outcome.

  • PDF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뇌신경세포 생성인자 및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on Brain Nerve Growth Factor, Inflammation-Related Factor in Obese High School Girls)

  • 서정표;허준회;김현준;박장준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59-168
    • /
    • 2020
  • Purpose : To provide data on exercise prescription for obesity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girl's high school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exercise program for lifestyle improvement and prevention of lifestyle-related disease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n brain nerve growth factor and inflammatory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factor and brain neuron cell production factor and inflammatory factor changes by complex exercise.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obese students with a body fat percentage of 30 % or higher after obtaining body fat percentage of high school girls in C-city. Among them, 2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f this study and did not participate in special exercise and diet therapy within the last 6 months were radio-sampled into groups of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but attendance rate was low and The final exercise group (9) and control group (9) were measured, except for one student who did not respond. Results : Analysis of the range of variation in body composition, BMI, lean body mas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C, TG, HDL-C, and LDL-C as variables of blood lipids, TC and TG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in interactions. HDL-C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interactions, an increase in exercise group,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control group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BDNF interaction, an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and a decrease in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NGF tended to increase in both exercise and control groups. IL-6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ing (p<.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01) in the exercise group, and TNF-α interacted with timing (p<.05),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12-week compound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basal fitness or CNS factor, but not enough to actually improve brain function. Fat mass and obesity are also affecting vascular inflammatory factors.

다양한 Plugging 형태를 이용한 감마나이프의 선택적 빔 차폐 방법 (Selective Beam Shielding Method of Gamma-Knife Unit Using Various Plugging Patterns)

  • 장건호;임영진;신동오;최두호;홍성언;임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439-448
    • /
    • 1993
  • Leksell 감마나이프(B-형)가 1992년 3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병원에 설치되었다. 선택적 빔 Plugging방법을 이용하여 정상 민감 조직에 대한 저선량 분포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치료 부위에 더 좋은 선량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저선량에 대한 여러가지 선량 분포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으며, 사용중인 KULA프로그램의 선량 분포 곡선을 평가하기 위해 필름을 이용한 방사선량 계측을 실시하였고, RFA-3자동 밀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992년 3월부터 1993년 2월까지 1년동안 100명의 환자중 17명의 환자에 선택적 빔 차폐 방법이 적용되었다. 고선량 영역에서는 측정값과 프로그램에서 제공된 선량 분포가 잘 일치하였다. 뇌하수체 선종의 치료시 치료 부위가 클 경우에는 본 연구 방법의 적용이 매우 중요시 되었으며, 반면에 치료 영역이 작을 경우에는 적절한 헬맷의 선택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 환자의 중요 민감 장기의 방사선 선량 평가에서는 뇌간에 3~12 Gy, 시신경 교차에 3~11.2 Gy이었다. 중추신경계 영역의 최적화된 치료를 위하여 다양한 Plugging형태를 임상에 적용하는 것이 방사선에 민감한 정상 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됨을 알았다.

  • PDF

담배 니코틴에 의한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종양괴사인자(TNF-α)의 발현 억제작용 (The Inhibitory Effect of Nicotine on TNF-α Expression in Human Fetal Astrocytes)

  • 손일홍;이성익;양현덕;한선정;석승한;이재규;김재현;박주영;문형인;이성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1-257
    • /
    • 2007
  • 니코틴은 사람 대식세포에서 interleukin 2 (IL-2)와 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가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이러한 억제작용은 cytokine 유전자 발현 중 전사단계에서 전사인자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난다. 이러한 니코틴의 면역반응 억제작용은 아프타성궤양 및 궤양성대장염, 알레르기성폐 포염, 건초열 등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만일 중추신경계에서도 위와 같은 니코틴의 면역억제 작용이 일어난 다면 다발성경화증과 같은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치료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는 중추신경계의 여러 면역반응 매개질환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이미 알려진 니코틴의 cytokine 생성억제가 사람 중추신경계의 성상세포에서도 일어남을 확인하고 그 억제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 하여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니코틴과 IL-1β를 처리한 다음 TNF-α mRNA의 발현 정도와 NF- κB의 활성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람 태아 성상세포를 0.1-20 μg/ml의 니코틴으로 처리해 본 결과 1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세포독성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2.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 IL- 1β를 처리하면 2시간만에 TNF-α mRNA가 최대로 발현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3. 사 람 태아 성상세포를 1 및 0.1 μg/ml의 니코틴으로 전처리한 후 IL-1β로 자극한 군에서는 IL-1β 단독 처리군에 비해 TNF-α mRNA의 발현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경우에는 8시간 이후부터 TNF-α mRN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12시간에 최대로 감소하였다. 또한 0.1 μg/ml의 니코틴을 처리한 군에서는 24시간에 가장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성상세포에 IL-1β로 처리한 군에서는 강력한 NF-κB의 활성 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니코틴을 전처리하고 IL-1β 자극한 군에서는 NF-B의 활성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정농도 이상의 니코틴은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내나 적정한 농도와 시간 경과후 니코틴은 사람 태아 성상세포에서 IL-1β에 의해 유도되는 TNF-α의 발현 감소를 유도하며, 이는 NF-κB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두개내 배아종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 예비적 결과 (Efficacy of Neoadjuva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for the Histology-confirmed Intracranial Germinoma - Preliminary Report)

  • 노영주;김학재;허대석;신희영;김일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02
  • 목적 : 두개내 배아종은 방사선치료 단독으로도 완치율이 높은 종양이나 방사선치료로 인한 부작용의 감소를 위해 현재 서울대학교 병원에서는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를 하고 있으며 이 환자들의 치료 성적과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에서 2001년까지 치료를 받은 두개내 배아종으로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2명은 BEP (bleomycin, VP-16, cisplatin) 항암치료, 5명은 9921A (cisplatin, cyclophosphamide, VP-16, vincristine) 항암치료, 1명은 EP (VP-16, cisplatin) 항암치료를 받았고 5명은 두개척수조사, 1명은 두개방사선조사, 12명은 종양 부위에만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원발 종양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39.6에서 54 Gy였다. 결과 : 남자는 16명, 여자는 2명이었고 중간 나이는 16세였다. 자기공명영상 상 12명은 송과체에, 각각 1명에서 안상, 시상, 대뇌기저핵에 원발성 종괴가 있었고 3명에서 다발성 종괴가 있었다. 6명은 뇌실 내 전이 소견이 보였고 3명은 뇌척추액검사 상 종양 세포가 관찰되었고 2명에서는 척수 자기공명영상에서 전이 소견이 있었다. 종양지표검사 상 1명에서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의 수치가 44 mlU/mL로 상승되어 있었다. 항암치료 후 5명은 완전 관해, 12명은 부분 관해를 보였고, 1명은 반응이 없었다. 현재 중앙 추적 기간 20개월로 17명은 무병 상태로 관찰되고 있고 1명은 bleomycin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폐의 부작용으로 사망하였다. 사망한 환자를 제외한 다른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모두 완전 관해 상태이다. 6명에서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이 발생하였으며 $3\~4$도의 혈액학적 부작용이 11명에서 발생하였다. 방사선조사 중 두개척수조사를 받은 5명의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에서는 2도 이상의 부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서울대학교병원에서의 전보조화학요법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보고와 마찬가지로 높은 관해율을 보이고 있고 항암치료로 인한 치료 중이나 치료 후의 부작용의 정도와 빈도는 다른 보고와 비슷하였다. 방사선이나 항암치료로 인한 만성 부작용에 대해서는 좀더 관찰이 필요하며 이 결과가 나온 후에 두개내 배아종에서 가장 적절한 치료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숱 있을 것으로 보인다.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왕귀뚜라미 유래 Teleogryllusine의 신경염증 억제 효과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Teleogryllus emma Derived Teleogryllusine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

  • 서민철;신용표;이화정;백민희;이준하;김인우;황재삼;김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999-1006
    • /
    • 2020
  • 최근 중추신경계에서 면역기능을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염증반응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알츠하이머 병, 파킨슨 병 및 헌팅턴 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를 위한 중요한 타겟으로 인식되고 있다. 왕귀뚜라미(Teleogryllus emma)는 다양한 치료효능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본 연구팀에서는 최근 왕귀뚜라미의 전사체 분석을 통하여 항균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 후보들을 선별한 바 있다. 항균 펩타이드는 미생물에서부터 포유류까지 매우 다양한 종으로부터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항균활성뿐만 아니라 염증반응과 같은 다양한 질병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후보 물질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별된 왕귀뚜라미 유래 항균 펩타이드들 중에서 Teleogryllusine(VKWKR-LNNNKVLQKIYFVKI-NH2)으로 명명된 항균 펩타이드의 신경염증 억제 효능을 관찰하였다. Teleogryllusine의 신경염증 억제 효능을 관찰 하기 위하여 immortalized mouse microglia 세포주인 BV-2 세포에 Teleogryllusine을 1시간 전처리 한 후 LPS를 이용하여 BV-2 세포의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Teleogryllusin은 최대 처리 농도인 80 ㎍/ml까지 세포독성 없이 nitric oxide (NO)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증반응 매개인자인 iNOS와 COX-2 및 cytokine (Il-6, TNF-α)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과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Teleogryllusine 처리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eleogryllusine의 신경염증 억제작용 기작을 확인한 결과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와 IκB의 인산화 및 proteosome에 의한 IκB의 분해를 억제함으로서 BV-2 세포의 신경염증반응이 조절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왕귀뚜라미 유래 Teleogryllusine 펩타이드는 신경염증반응에 의해 유도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의료용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