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P-2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7초

The Interaction between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to Poly (Ethylene Glycol)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and Some Schiff-Bases Investigated by Surfactant Ion Selective Electrode

  • Ghoreishi, Sayed Mehdi;Naeimi, Hossein;Navid, Mohammad Davod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548-552
    • /
    • 2005
  • The interaction between ionic surfactants and different nonionic molecules and polymers are studied using ion surfactant selective electrode. From the experimental data, critical concentrations of the interaction and binding process are evaluated. The interaction between 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HTAB)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in three molecular weights (1000, 10000 and 100000) and also schiff-bases, 2-[2-carboxyphenyl nitrilomethylidyne]-phenol (ortho CNP), 2-[3-carboxyphenyl nitrilomethylidyne]-phenol (meta CNP)and 2-[4-carboxyphenyl nitrilomethylidyne]-phenol (para CNP) with the potentiometric method were investigated using HTAB membrane selective electrode. In the case of PEG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s more interaction to HTAB occurs. The electromotive force (EMF) data also showed that interaction between para CNP with HTAB is more than the other schiff-bases. It seems this case related to less space interference of COOH group for that compound. The onset of binding ($T_1$) of course is the same for three schiffbase molecules.

구문 다양성 해소를 위한 복합명사구 색인 방법 (A Method Of Compound Noun Phrase Indexing for Resolving Syntactic Diversity)

  • 조민희;정도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67-476
    • /
    • 2011
  • 복합명사구는 단일어보다 명확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의미적 정보처리에서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하지만 명사구의 표현형태의 다양성 때문에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할지라도 그 동일성을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문 다양성 해소를 위해 복합명사구 색인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 동일한 의미의 명사구를 동일한 형태의 색인어로 표현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먼저 복합명사구 인식을 위한 규칙 템플릿을 생성하고, 국내학술논문 집합에 적용하여 복합명사구들을 추출한다. 일반적으로 복합명사구는 특정성이 크다. 이에 이를 고려한 색인어 합성규칙을 제안하고, 추출된 명사구에 적용한다. 본 연구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HANTEC 2.0 테스트셋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준모델과 비교하였다. 실험과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색인방법이 검색 정확률 향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정보검색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농약제(農藥劑)의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비옥성(肥沃性) 및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I. CNP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pH, Eh 및 질소무기화(窒素無機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fluence of Pesticides on Som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Related to Soil Fertility -I. Effects of Herbicide (CNP) on Some Soil Chemical Factors Concerning Nitrogen Mineralization)

  • 류진창;미치오 아라라기;히로시 코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81
    • /
    • 1983
  • CNP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이 논토양(土壤)의 질소대사(窒素代謝)를 중심(中心)으로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이 상이(相異)한 사양토(砂壤土)와 식양토(埴壤土)에 대(對)하여 볏짚을 무시용(無施用) 또는 시용(施用)한 조건(條件)에서 제초제(除草劑)를 3개(個) 수준(水準)(0, 40, 2,000, 12,000ppm)으로 처리(處理)하여 $25^{\circ}C$ 항온상태(恒溫狀態)에서 질소(窒素)의 무기화과정(無機化過程)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제초제(除草劑) 시용(施用)은 사양토(砂壤土) 및 식양토(埴壤土) 모두 무시용(無施用)한 때보다 환원(還元)이 조장(助長)되었으며, 볏짚시용시(施用時)에는 제초제(除草劑)의 토양환원효과(土壤還元效果)와 유기물(有機物)의 환원효과(還元效果)가 혼합(混合)되어 나타났음. 2. 제초제(除草劑)의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높이나 볏짚을 시용(施用)했을 때에는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pH상승(上昇)이 현저(顯著)하지 않았음. 3. 제초제(除草劑) 시용농도간(施用濃度間)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의 생성량(生成量)은 볏짚시용(施用)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제초제시용농도(除草劑施用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많아졌으며, 특(特)히 식양토(埴壤土)보다 사양토(砂壤土)에서 현저(顯著)하였다. 4. 초산태질소(硝酸態窒素)의 생성량(生成量)은 식양토(埴壤土)보다 사양토(砂壤土), 볏짚 무시용구(無施用區)보다 시용구(施用區)에서 적었고, 제초제(除草劑)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하였다. 5. 볏짚을 시용(施用)한 조건(條件)에서는 제초제(除草劑) 시용(施用)으로 초화작용(硝化作用)의 억제효과(抑制效果)는 없었으나 볏짚무시용시(無施用時)에는 제초제(除草劑) 시용량(施用量)의 증가(增加)에 따라 현저(顯著)하였고, 그 효과(效果)는 식양토(埴壤土)보다 사양토(砂壤土)에서 컸다.

  • PDF

Low Level of TERC Gene Amplification between Chronic Myeloid Leukaemia Patients Resistant and Respond to Imatinib Mesylate Treatment

  • Mohamad Ashari, Zaidatul Shakila;Sulong, Sarina;Hassan, Rosline;Husin, Azlan;Sim, Goh Ai;Wahid, S. Fadilah Abdu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4호
    • /
    • pp.1863-1869
    • /
    • 2014
  • The amplification of telomerase component (TERC) gen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generation and treatment of haematological malignancies. This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copy number amplification status of TERC gene in chronic myeloid leukaemia (CML)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with imatinib mesylate (IM).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of CML-IM Resistant (n=63), CML-IM Respond (n=63) and healthy individuals (n=30). TERC gene copy number predicted (CNP) and copy number calculated (CNC) were determined based on $Taqman^{(R)}$ Copy Number Assa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normal signal pattern in C4 (calibrator) for TERC gene. Nine of CML patients showed TERC gene amplification (CNP=3), others had 2 CNP. A total of 17 CML patients expressed CNC>2.31 and the rest had 2.31>CNC>1.5. TERC gene CNP value in healthy individuals was 2 and their CNC value showed in range 1.59-2.31. The average CNC TERC gene copy number was 2.07, 1.99 and 1.94 in CML-IM Resistant patients, CML-IM Respond and healthy group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ERC gene amplification observed between CML-IM Resistant and CML-IM Respond patients. Low levels of TERC gene amplification might not have a huge impact in haematological disorders especially in terms of resistance towards IM treatment.

교정장치의 항균에 따른 레진상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esin on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alibration Devices.)

  • 조정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09-314
    • /
    • 2020
  •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는 치과 교정장치 재료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낮은 항균력으로 인한 구강감염을 촉진시킬 염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발표된 Ag-MSN, graphene-oxide nanosheets(nGO), Cerium nanoparticle(CNP)의 나노입자를 교정레진인 Dentarum 회사의 Orthocryl를 사용하여 레진 파우더 대비 중량비 0, 0.25, 0.5, 1.0, 2.0%를 MMA 액에 혼합한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PMMA 분말: MMA 액 (1.2 : 1) 비율로 혼합하여 교정용 시편을 제작하였고 교정용 레진 항진균 실험, 통계분석을 하였다. 항균실험을 한 결과 교정용 PMMA레진이 Ag-MSN을 함유할 때 항(진)균적 성질이 증가하였다. nGO를 PM에 넣으면 표면이 거칠어지고 친수성을 높일 수 있었고 항균 접착제 효과가 표면 거칠기의 변화가 아닌 친수성이 증가하였다. CNP 농도가 높을수록 항부착 성질이 최대 60%까지 관찰되었다. 나노입자함유 교정용 레진은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의치, 치열 교정 장치 및 임시 수복물에 대한 유망한 항균 치과 재료로서의 잠재적 유용성을 시사한다.

태평양 연어류(Oncorhynchus spp.)의 장기 풍도 변화 및 개체 크기 변화 (Long-term Variation in the Relative Abundance and Body Size of Pacific Salmon Oncorhynchus species)

  • 서현주;강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17-731
    • /
    • 2011
  • To clar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abundance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cific salmon Oncorhynchus spp., we analyzed spatiotemporal changes in fork length, body weight, and an index of relative abundance (catch per unit effort, CPUE) for pink salmon (O. gorbuscha), chum salmon (O. keta), and sockeye salmon (O. nerka) collected by research gill-nets from the T/V Oshoro-maru and the T/V Hokusei-maru of Hokkaido University in the North Pacific during 1953-2007. Populations of each speci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western Bering Sea, eastern Bering Sea (EB), western North Pacific (WNP), central North Pacific (CNP), eastern North Pacific (ENP), and Okhotsk Sea. Since 1970, the average body size of chum salmon at ocean ages 0.3-0.4 has generally declined in the WNP and CNP. However, the average body sizes of sockeye and pink salmon have not shown temporal changes. Chum salm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PUE and body size for populations in CNP (ENP) at ocean ages 0.2-0.3 (age 0.1) for both sexes. In general, sockeye salmon also showed significant negativ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PUE and body size for populations in the EB at ocean ages X.2-X.3 (age X.1) for both sexes, except in CNP at age 2. Our results suggest that better growth by chum and sockeye salmon in the early periods of their ocean life histories might produce higher abundance. This higher abundance, which might also be affected by overlapping distributions among Pacific salmon species and populations in certain seas, in turn appears to cause density-dependent declines in growth in the following ocean life history period due to the limited carrying capacity of the seas. To understand complex dynamics in Pacific salmon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research on interactions among species and populations is needed.

세륨옥사이드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첨가한 치면열구전색재의 물리적 특성 및 세포독성 (Physical Properties and Cytotoxicity of Dental Pit and Fissure Sealants Containing Cerium Oxide Nano Particles(CNPs))

  • 정미애;김동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586-59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의 치면열구전색재 ConciseTM에 세륨옥사이드 나노입자(Cerium oxide nano particles; CNPs)를 0-4.0 wt%를 첨가하여 새로운 치면열구전색재를 제조하여 물리적 성질과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물리적 성질은 중합깊이, 물흡수도와 용해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평가는 불멸화된 구강점막세포(Immortalized human oral keratinocyte (IHOK))를 이용하여 MTT assay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중합 깊이는 CNPs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용해도는 CNPs를 2.0 wt% 첨가된 실험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물흡수도는 각 실험군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세포독성 실험 결과는 모든 실험군에서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이는 CNPs가 물리적 성질을 크게 약화 시키지 않으며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므로 생체 적합성을 입증하였다. CNPs의 특성을 고려하여 향후 CNPs의 효율적인 분산 기술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답(畓)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미 및 올방개에 대한 제초체(除草劑) 작용성(作用性)에 관한 연구(硏究) (Herbicidal Effect on Perennial Paddy Weed Sagittaria and Eleocharis)

  • 장영희;초등득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46
    • /
    • 1982
  •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인 올미와 올방개에 대한 초(初), 중(中), 후기(後期) 처리약제(處理藥劑)의 작용성(作用性)을 밝혀 방제체계(防除體系)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저 본시험(本試驗)을 실시(實施)하였든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올미에 대한 살초작용(殺草作用)을 보면 초기처리약제(初期處理藥劑)로서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는 지상하부(地上下部)가 완전살초(完全殺草)로 재생(再生)하지 않는 SW-751 제초제(除草劑)와 지상부(地上部) 고사(枯死)되고, 일정기간(一定期間) 억제(抑制)되었다가 재생(再生)하는 Chloromethoxynil, CNP, Oxadiazon 약제(藥劑)로서 억초기간(抑草期間)은 14~24일간(日間)이었다. 2. 중기처리약제(中期處理藥劑)로서는 속효적(速効的) 살초반응(殺草反應)을 보인 약제(藥劑)는 ACN로서 억초기간(抑草期間)은 28~31일간(日間)이었으나 재생(再生)되었으며 재생부위(再生部位)는 측아(側芽)에서 출아(出芽)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3.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있는 제초제(除草劑)는 괴경(塊莖) 식부심도(植付深度)가 깊은 것이 억초기간(抑草期間)이 길었다. 4. 올미의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류재별(類在別)로 나누어 보면 SW-751과 같이 완전살초(完全殺草)로 재생(再生)되지 않는 형(型)과 ACN 및 diphenylether 계(系)인 Chloromethoxynil, CNP와 같이 지상부(地上部)가 고사(枯死)한 후(後) 일정기간(一定期間)(억초기간(抑草期間)) 지난 후(後) 재생(再生)하는 형(型), Molinate, Benthiocarb, Butachlor 등과 같이 살초작용(殺草作用)이 없는 형(型)으로 나눌 수 있었다. 5. 올방개에 대한 살초작용(殺草作用)을 보면 초기처리약제(初期處理藥劑)로서 유효(有效)한 제초제(除草劑)는 Chloromethoxynil, CNP, Oxadiazon, SW-751로서 억초기간(抑草期間)은 13~25일(日)이었다. 6. 올방개의 중기처리약제(中期處理藥劑)로서는 Chloromethoxynil, SST-5, TH63, 12~14이었다. 7. 올방개의 후기처리제(後期處理劑)는 Bentazon, 2, 4-D(sodium) 및 MCP(sodium) 등 hormone 계(系)와 Bentazon과 hormone계(系)의 혼합제(混合劑)인 Glaszin D 또는 Glaszin M가 억초작용(抑草作用)도 강하고 억초기간(抑草期間)도 길었다. 8. 이상 올미, 올방개에 대한 억제체계면(抑制體系面)에서 보면 초기처리(初期處理)로서 Chloromethoxynil, CNP, SW-751를 처리(處理)하여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방제(多年生雜草防除)를 용이(容易)하게 하는 한편, 다년생(多年生)의 재생(再生)되는 잡초방제(雜草防除)를 위하여는 Glaszin D를 사용(使用)하는 것이 방제효과(防除效果)를 높일 수 있는 방법(方法)이 될 수 있었다.

  • PDF

농약제(農藥劑)의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비옥성(肥沃性) 및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CNP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이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에 미치는 효과(效果) (The Influence of Pesticides on Som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Related to Soil Fertility II. Effects of CNP Herbicide on Soil Microflora)

  • 류진창;아라라기 미치오;코우가 히로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6
    • /
    • 1984
  • CNP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이 논토양(土壤)의 미생물상(微生物相)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져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극(極)히 낮은 사양토(砂壤土)를 공시(供試)하여 유기물(有機物)의 종류(種類)를 달리하고 제초제무시용(除草劑無施用) 및 시용조건(施用條件)(1,080ppm)에서 수도무재배(水稻無栽培) 담수상태(湛水狀態)로 초자온실(硝子溫室)에 정치(靜置)하면서 미생물상(微生物相)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호기성(好氣性) 전세균(田細菌)의 균수(菌數)는 담수후(湛水後) 50일(日)째까지는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이후(以後)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볼 수 없었다. 유기물(有機物) 종류별(種類別)로는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볏짚시용시(施用時) 호기성(好氣性) 세균수(細菌數)가 제일 많았고, glucose 시용구(施用區)는 다소(多少)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2. 사상균수(絲狀菌數)는 제초제(除草劑)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전담수기간(全湛水期間) $8{\sim}20{\times}10^3$의 수준(水準)으로 유지(維持)되었다. 3. 방선균수(放線菌數)는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으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 있고 유기물시용(有機物無施用) 및 볏짚시용시(施用時)는 균수(菌數)를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시켰다. 한편 유기물시용(有機物施用)에 의한 방선균수(放線菌數)의 증가(增加)는 볼 수 없었다. 4. 혐기성(嫌氣性) 전세균(全細菌) 및 gram-음성세균수(陰性細菌數)는 제초제(除草劑)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간(施用間)에 큰 차이(差異)를 볼 수 없었다. 5. 사상균(絲狀菌)에 대(對)한 세균(細菌)의 비(比)(B/F) 및 방선균(放線菌)에 대(對)한 세균(細菌)의 비(比)(B/A)는 제초제(除草劑) 및 유기물(有機物) 시용시(施用時) 높은 치(値)를 보였다. 6. 방선균(放線菌)의 생리적(生理的) 성질(性質)을 기준(基準)으로 분류(分類)한 결과(結果) 1) 전방선균(全放線菌)에 대(對)한 농갈색(濃褐色) 색소생산장성균(色素生産陽性菌)의 비율(比率)은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으로 다소(多少) 높았다. 특(特)히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 유무(有無)에 관계(關係)없이 볏짚시용시(施用時)가 현저(顯著)히 높았다. 2) Cellulase 양성균(陽性菌)의 비율(比率) 역시 제초제무시용(除草劑無施用)에 비(比)해 제초제시용(除草劑施用)으로 높았으나, 유기물(有機物) 종류간(種類間)에는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없었다.

  • PDF

수도(水稻)못자리에 있어서 몇가지 제초제처리(除草劑處理)가 잡초방제(雜草防除) 및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veral Herbicides on Weed Control and Seedling Growth in Rice Nursery)

  • 이동우;홍유기;김재철;김희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9-187
    • /
    • 1984
  • 제초제(除草劑) 처리(處理)에 의한 못자리 잡초방제(雜草防除)와 묘생육(苗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농촌진흥원(農村振興院)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못자리 제초제(除草劑)인 Chlormethoxynil, CNP 및 Butazol을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복토(覆土) 무복토(無覆土) 처리(處理)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播種時期)에 따른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은 파종기(播種期)가 빠를수록 둑새풀, 피 등 화본과(禾本科) 1년생(年生) 잡초(雜草)가 우점(優占)되었으나 파종기(播種期)가 늦어질수록 방동산과(科) 잡초발생량(雜草發生量)이 많았다. 2. 잡초방제가(雜草防除價)는 복토구(覆土區)가 무복토구(無覆土區)에 비하여 높은 경향(傾向)이었으며 복토구(覆土區)에서 Chlormethoxynil, CNP 각각 3kg/10a 시용시 각각 76.71%, Butazol 1kg/10a 시용시는 97%이었다. 무복토구(無覆土區)에서는 이보다 다소 낮은 76, 61, 92%였다. 4. 무복토(無覆土)할 때 파종후(播種後) 40일(日)의 묘건물중(苗乾物重)은 Chlormethoxynil, CNP 각가 4kg/10a, Butazol 2kg/10a 처리에서 낮은 경향(傾向)이었다. 5. Butazol 1kg/10a 처리시(處理時) 묘(苗)의 생장속도(生長速度) 및 상대생장율(相對生長率)이 높은 경향(傾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