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NG Bu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5초

중형저상버스의 개별주행모드에 따른 연료소비율 평가 (Evaluation of the Impact of Fuel Economy by Each of Driving Modes for Medium-Size Low-Floor Bus)

  • 정재욱;노윤식;안병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33-140
    • /
    • 2016
  • 국토교통부에서는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하여 승하차에 편리한 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표준모델로 고시된 저상버스는 11 m 급, 압축천연가스(CNG, Compressed Natural Gas)를 사용하는 차량으로 개발되었다. 11 m 급 저상버스는 길이 좁은 농어촌 및 산간지역 도로여건에서의 운행과, CNG 연료의 특성상 충전시설의 한계로 인하여 연료보급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진행하는 중형저상버스 표준모델 기술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주)타타대우상용차에서 제작한 LF-40을 대상으로 공차(CVW, Curb Vehicle Weight), 반적차(HVW, Half Vehicle Weight), 적차(GVW, Gross Vehicle Weight) 3가지 중량조건으로 실도로 타행주행을 통하여 주행저항 값을 취득하였고, WHVC, NIER-06, 복합 에너지 소비효율 측정 대상차량 외 차량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방법인 정속주행 (60 km/h)모드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 공차상태의 연비가 가장 좋았으며, 대표적으로 WHVC 모드에서는 공차대비 반적차는 3.5 %, 공차대비 적차는 12 % 연비소모율의 차이를 보였다. 60 km/h 정속 주행모드에서는 다른 시험모드와 다르게 공차보다 반적차의 연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추후 배출가스 데이터의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솔레노이드 가스 인젝터의 유량제어와 천연가스엔진에서의 응용 (Flow Control of a Solenoid Gas Injector and Its Application on a Natural Gas Engine)

  • 심한섭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3-89
    • /
    • 2009
  • An air-fuel ratio control is essential in reducing hazardous exhaust emissions from a compressed natural gas(CNG) engine, and can be accomplished by accurate control of gas injection flow. In this study, theoretical research was conducted on injection characteristics of a solenoid gas injector, and injection experiments for calibra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Various factors for gas injection flow such as injection pressure, gas temperature, and supply voltage are studied. A dynamic flow equation of the natural gas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flow dynamics theories and results of the injection experiment. The verification of the dynamic flow equation of the solenoid injector was carried out with a large CNG-engine applied to an urban bus. Air-fuel ratio control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both steady and transient state. Results of injection experiments for the solenoid injector and the CNG-engine was proved the control method proposed herein to be effective.

  • PDF

Heavy-duty HCNG엔진의 연소 및 배기성능 최적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Combustion and Emission Performance in a Heavy-duty HCNG Engine)

  • 최영;박철웅;원상연;김창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20
    • /
    • 2011
  • 도심 대기오염을 줄이고자 도입된 CNG 버스는 현재의 배기규제 기준을 만족시켜 도시 대기환경 개선에 많은 기여를 했지만 추가적인 후처리 장치의 도움 없이는 차기 배기기준인 유로6 배기규제를 만족시키기 매우 어렵다. 수소는 매우 활발하고 빠른 반응성을 가지고 있으며 희박가연한계 또한 매우 넓어 기존 연료와 함께 사용 시 개선된 연소 및 배기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내버스용 대형 CNG 엔진에 수소를 일정 부분 CNG와 혼합한 HCNG 연료를 공급하여 희박연소를 시킴으로서 연소 및 배기성능을 개선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소혼합비율, 공연비, 점화시기 변화에 따른 연소 및 배기성능을 살펴보고 최적운전조건을 찾아내었으며 산화촉매 성능평가를 통해 11리터 버스용 HCNG 엔진의 상용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바이모달 저상굴절차량용 견인전동기 설계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raction motor for Bimodal low floor vehicle)

  • 최열준;박영호;최종묵;목재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1-915
    • /
    • 2007
  • This paper deal with the design concept of traction motor for Bimodal low floor vehicles that are CNG(Compressed Natural Gas) hybrid bus and Fuel-cell bus. The design concept of the traction motor is studied in terms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construction. Finally,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action motor for low floor vehicles which are applied in the world, and mentioned the detail design concept of traction motor.

  • PDF

바이모달 트램의 추진장치 성능 모의 (A Simulation Study of the Performance of a Propulsion Equipment for Bimodal Tram)

  • 배창한;목재균;장세기;이강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22-128
    • /
    • 2009
  • 바이모달 수송시스템 연구단에서 개발중인 트램은 자동운전이 가능하고 일반도로와 전용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고무차륜방식의 저상굴절 바이모달 트램으로서, 압축천연가스 엔진과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는 직렬형 하이 브리드 추진계로 구동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장치의 요구사양을 제시하고 하이브리드 추진제어방식에 관해 설명한다. 하이브리드 차량 시뮬레이션 툴인 ADVISOR를 사용하여 기준 주행사이클과 일본의 10-15 mode에 대한 바이모달 트램의 주행을 모의하고, CNG 하이브리드 추진계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다양한 주행모드에 따른 천연가스(CNG) 및 경유 사용 대형자동차의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eavy-duty Vehicles using CNG and Diesel Fuel According to the Various Driving Cycles)

  • 김형준;엄명도;김정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34-639
    • /
    • 2012
  • The contribution levels of emissions from the heavy-duty vehicl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mong the exhaust emissions, NOx (nitric oxides) have a ratio of 73.2% and particle matters have a proportion of 61.8% in the heavy-duty vehicles. Also, natural gas vehicles have the 78.9% of total registered local buses in Korea. Therefore, the investigation 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eavy-duty vehicles using CNG and diesel fuel according to the various driving cycles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the five kinds of buses by using CNG and diesel fuels with a after-treatment devices (DPF, p-DPF) was used and five test driving schedules were applied for analysis of emission characteristics in a chassis dynamometer. To analyze the exhaust emission, the exhaust emission and PM analyzers were used. From this study, it is revealed that diesel buses with after-treatment had reduced emission of CO, HC, PM but NOx. Also, NMHC emission of CNG bus have a higher level and NOx level was similar with diesel buses. In addition, emissions in NIER06 with slow average speed shows lowest levels compared to other test modes.

경유와 압축천연가스의 혼소 시스템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 평가 분석 (Economic Feasibility Assessment and Analysis of Dual Fuel Systems Utilizing Diesel and Compressed Natural Gas)

  • 조아라;임성린
    • 청정기술
    • /
    • 제24권3호
    • /
    • pp.166-174
    • /
    • 2018
  • 인체의 건강뿐만 아니라 일상 활동에도 막대한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하여 경유자동차의 엔진에 압축천연가스(CNG)와 경유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혼소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NG와 경유를 함께 사용하는 혼소시스템을 경유버스에 적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경제적 비용과 편익을 실제 주행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분석하여 혼소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혼소버스의 연간 주행거리가 30,000 km 이상이거나 경유와 CNG의 연료단가 차이가 408원 이상일 때 혼소시스템의 경제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성 평가의 불확도평가 결과에서는 주행거리와 연료단가 등 입력 데이터의 변동성에 대해서도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았다. 민감도분석 결과에서는 혼소시스템의 경제적 타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경유 연료단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혼소시스템의 보급을 늘리기 위한 경제적 유인책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유 버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문제를 저감하기 위한 혼소시스템의 보급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NG 버스의 CH4 저감용 NGOC의 de-CH4 특성 (The De-CH4 Characteristics of NGOC for CH4 Reduction of a CNG Bus)

  • 서충길;최병철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9-74
    • /
    • 2016
  • Recently, in order to meet the stricter emission regulations, the proportion of after-treatments for vehicle and vessel is increasing grad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CH_4$ characteristics of NGOC in front of proposed combined system according to additive catalyst and support ratio. In the case of Pd addition, the de-$CH_4$ performance of 2Pt-2Pd-3MgO/$Al_2O_3$ NGOC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10 to 20% for the HC components. The de-$CH_4$ performance of 2Pt-2Pd-3Cr-3MgO/$Al_2O_3$ NGOC was higher compared to five kinds of NGOC catalysts, because Cr particle was smaller and dispersion of Pd was increased. The NGOC(Zeolite:$Al_2O_3$(80%:20%)}catalyst according to support ratio, was improved performance at low temperature region on CO and NO conversion rate.

바이모달 트램용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ries Hybrid Propulsion System for Bimodal Tram)

  • 배창한;이강원;목재균;유두영;배종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94-502
    • /
    • 2011
  • 바이모달 저상굴절 트램은 자동운전으로 일반도로와 전용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고무차륜방식의 저상굴절 차량으로서,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신교통수단이다. 바이모달 트램은 전자기 궤도를 사용한 자동운전, 전차륜 조향과 함께 CNG 엔진과 리튬 폴리머 배터리 팩을 사용한 친환경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에 대해 기술하고 시험선및 일반도로에서 수행된 시험 결과를 분석한다. 또한 바이모달 트램 추진장치의 튜닝 및 시험데이터 취득을 위해 개발된 계측장비의 구성 및 동작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시작차량에 설치된 계측장비의 데이터를 기초로 전용 시험 선과 일반도로에서 주행시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의 동작을 확인하며, 차량의 연비 및 엔진 효율을 계산한다.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계측장비 개발 (Development of measurement equipment for hybrid propulsion system of bimodal tram)

  • 배창한;장세기;목재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48
    • /
    • 2010
  • A bimodal low-floor tram can provide the punctuality of trains and the flexibility of bus together to the passengers. Its propulsion system is a series hybrid type using a set of CNG engine generator and Li-polymer battery. This paper presents a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equipment for fine-tuning of a series hybrid propulsion system of bimodal low-floor tram. Its configuration schemes are described and certified using the measurement data of bimodal low-floor tra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