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PP모형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역량바탕의학교육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평가: 통합평가모형 적용 (Adapting an Integrated Program Evaluation for Promoting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 주현정;오민경;이종태;윤보영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1호
    • /
    • pp.56-67
    • /
    • 2021
  •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instructional methods, and resources and provide useful data for making educational decisions and policie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gram evaluation system is essential in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establish an educational program evaluation system adapting an integrated program evaluation model to promo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First, an Educational Evaluation Committee was organized, consisting of faculty, staff members, and students. The committee established an integrated program evaluation model, combining Stufflebeam's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CIPP) model of a process-oriented approach and Kirkpatrick's four-level model of an outcome-oriented approach. Kirkpatrick's model was applied to the product evaluation of the CIPP model. The committee then developed evaluation criteria, indicator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the CIPP model and the four levels (reaction, learning, behavior, and results) of Kirkpatrick's model, and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inally, the committee reported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a Medical Education Quality Improvement Committee,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improve the curriculum and student selec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identifying educational deficiencies and developing various elements of education in a balanced way through educational evaluation will be needed. Furthermore, it will be necessary to listen to opinions of various stakeholders, work with all members involved in education, and communicate with decision-maker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evaluation.

카자흐스탄 영재학교(NIS)의 국제표준 고교교육과정(IBDP)에 대한 교육효과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Kazakhstan Intellectual School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IBDP))

  • 아이게림;박선형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103-133
    • /
    • 2018
  • 지능정보사회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은 전 세계 각국의 교육체제와 교육과정 운영 전반에 걸친 대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우수인재 양성과 이들의 창의역량 함양을 교육혁신의 최우선 의제로서 적극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경 변화와 시대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카자흐스탄은 국가 수준 차원의 다양한 교육개혁 방안을 제도적으로 구안하여 실행하고 있다. 국가발전과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영재학교 운영이 대표적인 교육정책 사례에 해당한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2013년 4월에 수도 아스타나에 영재학교를 설립하여 '국제표준 고교교육과정(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이하 IBDP)'을 공식적으로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해외 선행연구결과와 정책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카자흐스탄 영재학교의 현행 국제표준 고교교육과정(IBDP)의 도입과 실행 및 교육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종합 분석을 통해 향후 일반계 고교에 IBDP의 운영가능성과 잠재적 한계점을 예비적으로 탐색해보는 데 초점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준거중심평가체계(CIPP evaluation model: context/input/process/product)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실제 교육에 참여한 교사, 강사, 학생 대상의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IBDP 교육 참여자의 전반적인 교육효과는 평균 3.64점으로 나타났으나 높은 수준의 교과내용을 제대로 이수할 수 있도록 학교생활 일과 편성 관리의 체계성 함양, 다양한 교과목 개설, IBDP 전문 교사 확대 충원 등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Research of Evalua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Program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이규녀;최완식;박기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204
    • /
    • 2009
  • 조직구성원의 인재개발을 위한 교육훈련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제공 및 보편화되고 있으며, 교육의 정당성 확보와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질 관리 차원에서 평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고 있는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 평가준거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국내 외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를 통하여 과정중심 평가모형인 Stufflebeam의 CIPP(Context, Input, Process, Product)모형에 기반한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대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상황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요구분석, 목표설정, 조직환경이다. 둘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투입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교육프로그램 전략, 인적자원, 물적자원이다. 셋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과정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교육프로그램 관리, 교수 학습 전략, 교육지원환경이다. 넷째,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산출평가 대영역으로 도출한 평가영역은 영향력, 효과성, 지속가능성, 전이력이다. 이러한 인재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준거 분석과 대영역 도출에 관한 연구결과는 교육프로그램 평가의 체제적 접근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ssessment Model for Math Clinic Program)

  • 김정현;고호경;허난;황혜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313-329
    • /
    • 2017
  • 수학학습클리닉은 학생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고민을 함께 얘기해보면서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부분의 변화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앞으로 우리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수학을 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은 각 학교에서 교사의 재량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어 수학학습클리닉이 제대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모형이 학교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수학학습클리닉의 운영이 보다 체계적이 될 것이며 프로그램 운영을 점검하고 운영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진행이 될 것이다.

박근혜정부의 교원정책 평가 (Evaluating Teacher Policy of Park Geun-hye Government)

  • 신현석;윤지희
    • 한국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101-133
    • /
    • 2017
  •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 임기동안 이루어진 교원정책의 궤적을 추적하여 정책 형성에서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도출된 성과와 문제점을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박근혜정부 교원정책 추진의 실제를 알아보고, 정책과정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CIPP 모형에 기반하여 각 평가준거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황평가의 환경적합성이 충족되었다. 박근혜정부의 교원정책은 환경의 변화와 정책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도입되었기 때문이다. 환경적합성을 갖출 때, 정책은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기에 향후 정책추진 시에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 투입평가의 정책목표의 타당성과 실현가능성은 충족되지 않았다. 정책방안의 목표에 결함이 있거나, 방안의 목표가 정책목표와 연계되지 않았으며, 정책집행에 필요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정책 설계 시에는 정책목표와 정책방안 목표가 타당한지를 검토하고, 정책추진에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여 정책의 실현가능성을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과정평가의 절차적 합리성과 수단의 적합성도 충족되지 않았다. 일부 정책방안의 집행과정에서 이해집단과의 논의가 생략되거나 정책방안 자체에 오류가 있어 해당 방안의 실행이 어떻게 정책의 목표 달성과 연계되는지가 불명확했기 때문이다. 향후 정책집행 과정에서는 이해관계자와의 소통과 협업 등의 절차를 중시하고, 방안에 문제가 있을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수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산출평가의 효과성과 만족도도 낮았다. 정책목표의 타당성과 수단의 적합성 그리고 절차적 합리성이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향후에는 정책실패를 미연에 방지하게 위해 정책을 체계적으로 설계하고, 집행과정에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제7차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상황과 투입 평가 -가정영역을 중심으로- (Context and Input Evaluation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focusing on Home Economics)

  • 권지영;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1-7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가정 교육과정에 대해 CIPP모형을 적용한 상황과 투입을 평가하여 차기 가정과 교육과정의 발전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 가운데임의 표집한 250 개교에서 제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교과의 가정 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발송한 후, 응답 수집된 109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자료에 대해서는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 평가(교육 상황 평가)로 보면 가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성격에 대한 요구 조사에서 '진로탐색'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나고, '가정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임'에 대한 요구도는 낮게 나타났다. 담당 교사의 자신감도 부족하지만, 교과에 대한 학생의 흥미와 관심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입 평가(교육 계획 평가)로 보면 기술 가정 교육과정의 가정 영역에 대한 적절성에서 시간 배당, 내용 수준, 내용 분량에 대해 적절하지 못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수준에서 기술 가정 교육과정 구성과 교사의 수업지도안도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항목 중에서 평가에 대한 학교 수준 계획 수립이 상대적으로 충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비하여 교과 협의는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다양한 내용들을 제대로 협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성과 분석: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Achievements of Daegu Happiness Competency Education with a Focus on Curriculum)

  • 박찬호;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221-248
    • /
    • 2018
  • 본 연구는 21세기 핵심역량이 대두되면서 시작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측면에서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측면에서 볼 때 학생, 학부모, 교원 교육전문직은 대구행복역량교육에 대하여 모두 중간 이상 수준의 인식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평균치를 비교하면 학생과 학부모는 큰 차이가 없었고 교원의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교원이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주체라는 점에서 이해 가능한 결과이다. 또한 학부모는 학교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데 반해, 학생과 교원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예측과는 달리 학생과 교원 모두 학교급이 올라가면서 인식 수준이 낮아졌으며, 특목고 자율고와 특성화고에서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대구행복역량교육이 2014년에 본격 시행되어 아직 초기라는 점과 함께 대학 입시나 취업으로 인한 부담으로 새로운 교육과정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여지가 적었기 때문일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교육과정이 안착되면서 자연히 개선되겠으나 여기에서 대구행복역량교육의 안착을 위한 시사점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한 평가를 CIPP 모형에 근거한 설문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상황, 투입, 과정, 산출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산출에 대해 매우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원의 경우 투입에 대한 평가가 가장 높았다. 비록 학생과 학부모는 상황과 투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지 않았으나 학생과 학부모의 산출평가 문항 평균값이 교원의 투입평가 문항 평균값과 유사하였다. 성과에 해당하는 산출평가만을 기준으로 한다면 교육의 대상인 학생들로부터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