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IDR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ie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Treatment of Reproductive Disorder in Hanwoo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 김학영;송상현;조헌조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6 no.3
    • /
    • pp.291-298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productive status and the effect of progesterone treatment on the recovery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Hanwoo. Hanwoo farms were surveyed the general management status, such as the type of barn, the feed intake, the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The reproductive disorder cattle were treated 7 days insertion of control internal drug releasing for cattle (CIDR) and injection of PGF$_2$$\alpha$ at 1 day before removal. The recovery of reproductive disorders was assessed by determining the pregnancy following artificial insemination. The total number of surveyed Hanwoo farms was 127, and the total incidenc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was 19.7% (209/1,061). Compared to the herd size, the incidence rates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less than 10 heads (37.5%)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10 to 20 heads (14.7%) and more than 20 heads (13.6%) of herd size per farm. The incidenc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tie stall bar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in free stall barn (30.4% vs. 14.7%), and even in free stall barn, that tended to decrease as the floor area was larger. The incidenc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 by the parity was highest in heifer (50.7%), and that tended to decrease as the parity was increased. The distribution rate of the case of reproductive disorder in anestrus, recovery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fellowing CIDR treatment was 75.1% (157/209). In the recovery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by body condition score (BCS), BCS 1, 2 and 3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pregnancy rate (85.7, 84.9 and 86.8%), and gross recovery rate in emaciated cattle was better than in obese cattle (BCS 4, 5). In conclusion, the incidence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in Hanwoo raised in Youngju province area was 19.7%, and that tended to decrease as the herd size was increase because of increased farmer's attentions, and the floor area was larger. The majority of the case of reproductive disorders was anestrus. The recovery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following CIDR treatment was 75.1%, and to optimize the recovery rate of reproductive disorders, cows and heifers were maintained BCS 1, 2 and 3 by moderate management.

Elk 사슴에서 발정동기화 인공수정 후 임신율과 발정 탐지기(Magic Doctor)를 이용한 재발정 발현양상 관찰

  • 류재원;지달영;김창근;방명걸;정영채;이장희;윤종택;이호준;이주형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4.06a
    • /
    • pp.284-284
    • /
    • 2004
  • 본 연구는 Elk 사슴에서 Magic Doctor(한경게놈텍)를 이용하여 발정동기화 인공수정 후 재발정 행동의 발현양상을 관찰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미경산록 7두와 경산록 13두를 공시하였고, 발종동기화 및 인공수정은 번식계절인 9월에 progesterone이 3 g 함유된 controlled intravaginal drug-releasing device(CIDR)를 14일간 질내에 삽입하고 제거한 후에 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PMSG) 250IU틀 근육 주사하여 발정동기화와 배란을 유도하였다. 인공수정은 CIDR제거 후 60∼62시간째에 실시하였고 인공수정 후 비임신 개체의 재발정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중략)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Backbone Router’s Forwarding Prefixes (인터넷 주소체계 분포도와 문제점 분석)

  • 김지훈;이주민;인정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e
    • /
    • pp.610-612
    • /
    • 2002
  • 현재 인터넷은 IPv4주소 고갈로 인해 종래의 클래스(class)별 주소의 분배와 사용을 지양하고 클래스 없는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1〕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라우터의 개발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라우팅 엔트리의 분포와 특성을 다음의 세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백본용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이다. 첫째, 현재 인터넷에서 CIDR 방식에 따른 서브넷팅(Subnetting)과 슈퍼넷팅(Supernetting)〔2〕〔3〕정도를 분석하였으며 둘째, 현재 포워딩 테이블(Forwarding Table)내의 불필요한 포워딩 엔트리(Forwarding Entry)들이 차지하는 구성비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멀티홈밍(Multi-homing)이 포워딩 테이블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조사에 의하면 MAE-East와 MAE-West〔4〕와 같은 백본(Backbon) 라우터의 경우에 A클래스는 8에서 26비트까지, B클래스는 14비트에서 27비트까지 그리고 C클래스는 17비트에서32비트까지 서브넷팅과 슈퍼넷팅이 되어있다. 또한 불필요한 포워딩 엔트리는 전체 엔트리의약 1%를 차지하고 있으며, 멀티홈밍 엔트리는 약 5%를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 Efficient If Routing Lookup by Using Routing Interval

  • Wang, Pi-Chung;Chan, Chia-Tai;Chen, Yaw-Chu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v.3 no.4
    • /
    • pp.374-382
    • /
    • 2001
  • Nowadays, the commonly used table lookup scheme for IP routing is based on the sc-called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With CIDR, routers must find out the best matching prefix (BMP) for IP packets forwarding, this complicates the IP lookup. Currently, this process is mainly performed in software and several schemes hale been proposed for hardware implementation. Since the IP lookup performance is a major design issue for the new generation routers,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e routing table and present a new approach for IP lookups, our approach is not based Gn BMP 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complexity, thus the computation cast of existing schem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We also propose an efficient IP lookup algorithm, with which we improve the binary search on prefixes to 30 millions of packets per second (MPPS) and 5,000 route updates/s under the same experiment setup with an even larger routing table.

  • PDF

고능력한우 유래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에 관한 연구

  • 한만희;최창용;정세환;김상희;신권희;권응기;최선호;손동수;이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4-144
    • /
    • 2003
  •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술을 이용하여 혈통과 유전능력이 분석된 고능력한우로부터 수정란을 생산하고 이를 번식기반이 미약한 농가의 수란우에 이식함으로서 우수한우 유전자원을 조기확대 보급하여 농가단위의 개량 및 번식우 사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의 축군에서 유전능력이 평가된 우수암소를 선발하였고, 발정주기 9~11일째부터 Folltropin-V(Vetrepharm, Canada) 50mg씩을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하고 투여 6회째에 dineprost (LutalyseTM, Upjohn, USA) 20mg을 근육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dinoprost 주사후 48시간 전후에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straw씩의 정액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2차 인공수정 후 100$\mu\textrm{g}$ GnRH를 근육주사하였다. 수정란 채란은 공란우의 발정확인후 7~8일째에 balloon catheter(FHK, Japan)를 이용하여 비외과적방법으로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수란우는 각기 다른 사육조건의 4개 농가(OB, BD, SH 및 SG농장)에서 양호한 번식성적을 가진 개체를 10두씩 선발하여 CIDR plus(EAZI-Breed, New-Zealand)를 질내 7일간 삽입하고, CIDR plus제거 1일전에 dinoprost 20mg을 근육주사하여 발정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수란우의 발정상태가 정상이며 발정주기 7~8일째에 직장검사법으로 황체검사를 실시하여 황체가 존재하는 쪽의 자궁각에 수정란 1 개를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13일째에 혈액을 채취하여 임신진단키트(제네디아프로테 트, 녹십자)를 이용하여 임신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과배란을 유기한 13두의 공란우중 9두(69.2%)가 과배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회수된 수정란 51개중 이식가능수정란은 38개(74.5%) 였다. 발정동기화를 유도한 수란우 40두중에서 35두(87.5%)가 발정이 동기화되었으며, 그 중 황체검사를 통하여 30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후 13일(발정주기 21일)에 혈액을 이용한 임신진단에서 농가별 수태율은 각각 37.5%, 70.0%, 60.0% 및 71.4% 로서 평균 60.0%를 나타내었다.

  • PDF

발정 제어 방법과 계절번식이 한우의 차기수태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최창용;이지웅;조숙현;박효숙;손삼규;문승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2.06a
    • /
    • pp.75-75
    • /
    • 2002
  • 한우의 사육규모가 다두화 된 농가에서 전년도 발정제어 처리에 따라 수태한 임신우의 분만내역과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발정유기방법별 계절번식처리우의 분만율은 PGF₂α구에서 73%(73/100), PRID 구에서 73.3%(22/30), CIDR 구에서 76.6%(23/30),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81%(81/100)였으며 전체적으로 76.5%(199/260)로 나타났다. 2. 계절번식농가의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암송아지는 23.9㎏, 수송아지는 26.2㎏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는 24㎏, 수송아지는 24.9㎏로써 생시체중에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개월령 체중에서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암송아지 72㎏, 수송아지 75㎏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 75.6㎏, 수송아지 78.3㎏으로 발육상에 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다두사육농가의 자연발정 수정구에서 송아지 육성율은 86.5%(251/290)이였으며, 발정제어처리구에서는 87.0%(175/201)로써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농가의 사육경험에 따라 6년 이상에서는 84.0%(105/125)였고, 10년 이상에서 88.4%(146/165)로써 사육경험이 많을수록 육성율이 우수하였다. 4. 발정유기방법별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₂α 구에서 92.3일, PRID 구에서 78.5일, CIDR 구에서 64.5일,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65.6 일로 나타났고 분만 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₂α 구에서 147.6 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₂α-GnRH 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으며 평균 134.3일이었다.

  • PDF

발정제어에 따른 분만성적과 분만후 차기번식에 미치는 영향

  • 이명식;임석기;최창용;이지웅;박정준;강만종;문승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6-86
    • /
    • 2003
  • 한우의 사육규모가 커짐에 따라 농가에서 암소의 번식관리는 더욱 어려워지게 되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자 다양한 발정제어 처리에 따라 수태시켰으며 이에 따라 임신한 한우번식우의 분만내역과 다음번 번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발정유기 방법별분만율은 PeGF$_2$$\alpha$구에서 73%(73/100), PRID구에서 73.3%(22/30), CIDR구에서 76.6%(23/30),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81%(81/100)였으며 전체적으로 76.5%(199/260)로 나타났다. 2) 생시체중은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는 23.9kg, 수송아지는 26.2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는 24kg, 수송아지는 24.9kg으로써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4개월령 체중에 있어서도 자연발정구에서 암송아지 72kg, 수송아지 75kg인 반면에 발정유기구에서는 암송아지 75.6kg, 수송아지 78.3kg으로 발육상에 차이가 없었다. 3) 송아지 육성율은 자연발정구에서 86.5%(251/290)이었으며, 발정유기구에서는 87.0% (175/201)로써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농가의 사육경험에 따라 6년 이상에서는 84.0% (105/125)였고, 10년 이상에서 88.4%(146/165) 로써 사육 경험이 많을수록 우수하였다. 4)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대조구에서 80.7일, PGF$_2$$\alpha$구에서 92.3일, PRID구에서 78.5일, CIDR구에서 64.5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65.6일로 나타났고 분만 후 수태일수는 대조구에서 137.1일, PGF$_2$$\alpha$구에서 147.6일. PRID구에서 141.3일, CIDR구에서 116.6일, GnRH-PGF$_2$$\alpha$-GnRH 처리구에서 118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Repeated Superovulation on Recovery and Quality of Oocytes in Korean Native Goats (재래산양의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난자의 회수율과 등급에 관한 연구)

  • Park, H.-S.;Lee, Y.-H.;Kim, T.-S.;Park, J.-K.;Lee, J.-S.;Kim, C.-H.;Jung, J.-Y.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9 no.2
    • /
    • pp.81-87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repeated superovulation is beneficial for recovery and quality of oocytes in Korean native goats. Seventy-six mature goats, maintained in a pen under natural day length and fed hay ad libitum, were pretreated with progestagen impregnated CIDR for 10 days and then the go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the goats received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1,000 IU PMSG on Day 8 of CIDR insertion. The other group of the goats received twice daily intramuscular injections of a total of 70 mg FSH for 3 days from Day 8 of CIDR. All the gonadotropin treated goats were injected with 10 mg $PGF2{\alpha}on$ Day 8 and 400 IU hCG in the afternoon on Day 10. For oocyte recovery, donor goats were fasted 24 h before operation. Anesthesia was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2% xylazine(0.2 mg/kg body weight) and ketamin(11 mg/kg body weight). In vivo oocytes were recovered by follicle aspiration or oviduct flushing at 35 to 40 hours after hCG injection through mid-ventral incision. The mean number of CL and oocytes recovered and recovery rate of oocytes by oviduct flushing were greater(P<0.05) in the first treatment than those in the second treatment. Contrary to our assumption, PMSG treatment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the number of CL formed and recovery rate of oocytes compared to FSH. However, the same effect was not observed in recovery of follicular oocyt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ocyte quality between FSH and PMSG or first and second treatments.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repeated superovulation and repeated use of donor animals may be inefficient for obtaining oocytes in good qualities.

Effects of PEG on Embryo Production in Superovulated Hostein Cows (젖소 과배란 처리시 PEG(Polyethylene Glycol) 처리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 Choi S. H.;Ryu I. S.;Han M. H.;Cho S. R.;Choe C. Y.;Kim H. J.;Son D. S.;Kim Y. K.;Lee J. W.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20 no.3
    • /
    • pp.317-322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mbryo recovery and to establish the protocols of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Sixteen Holstein cows were used the test the efficacy of three superovulation regimens using Folltropin. In the case of regimen 1, CIDR plus with E2 capsule was inserted in cows at the random stage of estrous cycle and the total of 400 mg Folltropin V was adminstered twice a day for 4 days(Folltropin V group). In regimen 2, CIDR was inserted and 3.0 mg estradiol benzoate was administered i.m. next day and the total of 400 mg Folltropin was adminstered twice a day for 4 days(Folltropin V+EB group). For regimen 3, CIDR insertion was same as in the regimen 2 and the total of 400 mg Folltropin diluted with $10\%$ PEG 8,000 was administered once(Folttropin V+PEG 8,000 group). In all the regimens, CIDR were removed on 12th day and 45 mg dinoprost was administered i.m. simultaneously. The heat detected donors were administered 200 ug LH-RH and inseminated twice with 2 straws of frozen semen 12 hours apart. Embryo were collected using Foley catherter in each uterine homs on 6${\~}$8 days after inseminations. The evaluation of collected embryos were according to the IETS manual. The CL responses according to the superovulation treatments were 5.8, 20.6, 24.0 in the Folltropin V, Folltropin+EB and Folltropin V+PE 8,000 groups, respectively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p<0.01). Transferable embyos collected were 3.6$\pm$2.4, 3.3$\pm$l.8 and 2.8$\pm$2.3, in the Folltropin V, Folltropin+EB and Folltropin V+PE 8,000 groups, respectively. Degenerated and unfertilized embryos in regimen 2 and 3 than regimen 1.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superovulation treatments with both multiple injections and a single injection using PEG of Folltropin combined with CIDR insertion at the random stage of estrus cycle can be used to produce Holstein embryos.

홀스테인 젖소에서 FSH 1회 투여법에 의한 다배란처리 효과

  • 박성재;류일선;최선호;이장희;허태영;손동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27-12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젖소에서 다배란유기법의 확립을 위해서 호르몬을 처리법을 달리한 결과이다. 난포의 발생을 자극하는 FSH 호르몬을 하루에 2번의 호르몬 주사를 하는 데, 이는 혈액내에 난포자극호르몬의 농도를 연속적으로 유지하여 난소에서 다난포 발생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빈번하게 호르몬을 주사하는 방법은 처리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공란우도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한번에 많은 난포의 성숙을 유도하는 다배란처리법에 대한 보고가 많이 있어, 본 연구에서 이 다배란처리 효과를 비교하고자 젖소를 이용하였다. 방법으로는 다회주사법(8회)과 일회주사법(1회)에서 황체수와 수정란의 생산수 등을 조사하였다. 다회주사법은 생리식염수에 융해한 FSH를 1일 50mg씩 2회(12시간 간격)주사하는 법으로 CIDR 질내 주입 9일째부터 4일간 주사하였으며, 질내에 CIDR를 주입하고 11일째되는 날에 PG(25mg, 루텔라이스, 한국)를 주사하고, 12일째는 CIDR를 제거하여 일회주사법과 주기를 맞추었다. 일회주사법은 CIDR를 질내에 주입하고 나서 9일째 되는 날에 400mg의 FSH을 생리식염수에 융해하여 일회주사를 하고 다회주사법과 같이 인공수정과 채란시간을 맞추었다. 인공수정은 황체퇴행제(PG)를 주사하고 나서 48, 72시간에 2회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1주일 후 수정란을 채란하였다. 인공수정시는 반드시 GnRH(2.5mg)를 동시에 주사하였다. 채란은 인공수정 후 7일째 되는 날에 비외과적으로 채란을 실시하여 우수한 수정란은 동결을 실시하였다. 다회주사법에서 14두, 일회주사법에서 14두를 공시하여 황체수, 회수수정란수, 배반포수, 동결란수를 조사하였다. 다회주사법에서는 황체수는 8.07$\pm$6.62개, 회수정란수는 6.78$\pm$5.96개, 배반포율은 58.9%, 동결란 생산율은 52.6%의 성적을 얻었으며, 일회주사법에서 황체수는 12.07$\pm$8.07개, 회수수정란수는 10.0$\pm$9.24개, 배반포율은 27.1%, 동결란 생산율은 25.0% 수준의 결과를 얻었으나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시 다회주사법과 일회주사리법 간에 유의적인 차는 인정되지 않았다(student T-test, P<0.05). 본 실험의 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생리식염수를 용매로 이용한 FSH 1회 주사법이 다회주사법과 비교하였을 때에 수정란 생산효율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이 방법을 이용한 다배란유기는 노동력과 공란우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