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ROPTERA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3초

A New Tent Roost of Thomas' Fruit-eating Bat, Artibeus watsoni (Chiroptera: Phyllostomidae), in Panama

  • 최재천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2호
    • /
    • pp.313-316
    • /
    • 1997
  • Thomas'fruit-eating bat, Artibeus watssoni, is known to alter leaves of a wide variety of tropical plants to construct tent roosts. On Barro Colorado Island and Gigante Peninsula in the canal zone, Panama, A. watsoni is found to use the black palm, Astrocaryum standleyanum, as its tent plant. Bats cut the first five to ten pinnae from the proximal side of the terminal blade and chew additional four to nine pinnae without severing their central veins. The distance from the frond rachis to the cut decreases distally leaving an inverted V-shaped cut path. The distal portions of the bifurcated blade are then collapsed and folded to form the'bifid'tent with an inverted boat-shaped cavity underneath. All tents were in fronds of trunkless juvenile plants.

  • PDF

Eimeria pipistrellus n. sp. from Pipistrellus kuhlii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 Saudi Arabia

  • Alyousif, Mohamed-Saleh;Mohamed, Al-Dakhil;Yaser, Al-Shaw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7권1호
    • /
    • pp.1-4
    • /
    • 1999
  • Fecal samples from 12 Pipistrellus kuhlii captured at Shagrah, Saudi Arabia, were examined for coccidia and three (25%) found to harbor a undescribed eimerian, herein described as Eimeria pipistrellus n. sp. Sporulated oocysts were sub spherical. $24.8{\times}23.2{\;}(22-27{\times}20-25){\;}\mu\textrm{m}$, with a bilayered and smooth wall. The micropyle was absent, but a large oocyst residuum and a single polar granule were present. Sporocysts were ovoid, 11.6{\times}8.3 (10.5-13{\times}7.5-9) Jim, with a prominent Stieda body, but without a substiedal body; sporozoites lay head to tail in sporocysts and contained one large posterior refractile body. Eimeria pipistrellus n. sp. is the 3rd species of the genus Eimeria found from bats of the genus Pipistrellus.

  • PDF

A New Record of Nyctalus furv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from Korea, and the Description of Tadarida teniotis (Chiroptera: Molossidae), a Rarely Collected Bat in Korea

  • Yoon, Myung-He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5권1호
    • /
    • pp.87-93
    • /
    • 2009
  • Taxonomic studies on two bat species, Nyctalus furvus Imaizumi and Yoshiyuki 1968 belonging to the Vespertilionidae, and Tadarida teniotis (Rafinesque) 1814 belonging to the Molossidae collected at Busan, Korea were carried out. The former, which has been known as an endemic species in Japan, is newly recorded in the Korean fauna and the latter is a very rare species which has not been collected since 1928 (Ognev, 1928) until two females were collected at Busan in this study, although Kishida and Mori (1931) reported the occurrence of the latter with no collecting record. Due to the addition of the former to the South Korean bat fauna, the bat fauna is composed of a total of twenty one species and one subspecies belonging to three families.

박쥐의(Chiroptera) 휴식지로서 교량 이용에 관한 연구 (Use of Bridges as Roosting Site by Bats(Chiroptera))

  • 정철운;한상훈;이정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94-301
    • /
    • 2009
  • 주야간 휴식장소로써 박쥐가 교량(Bridge)을 이용하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7년 7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경상북도 남동부 지역의 수계에 조성된 81개 교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교량을 휴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종은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집박쥐 Pipistrellus abramus, 검은집박쥐 Hypsu해 alaschanicus, 우수리박쥐 Myotis petax, 쇠큰수염박쥐 Myotis ikonnikov, 문둥이박쥐 Eptesicus seotinus 등 6종이 확인되었다. 총 7개 유형의 교량 가운데 거더(girder)가 조성되어 있는 3개 유형의 교량에서만 박쥐의 이용이 확인되어 교량에 있어 박쥐의 휴식장소 이용은 교량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특징을 제외한 환경요인으로는 교량의 주변 산림, 경작지, 교량 하부의 차량통행 여부 등의 요인이 박쥐의 교량내 휴식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nalysis on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ats (Chiropter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 Yoon, Kwang Bae;Lim, Sang Jin;Park, Yung 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4호
    • /
    • pp.377-383
    • /
    • 2016
  • We obtained a total of 36 GPS coordinates of the seven bat species of Rhinolophus ferrumequinum, Myotis ikonnikovi, M. nattereri, M. petax, Murina ussuriensis, Plecotus auritus, and Pipistrellus abramus. Characteristics of forests (forest type, age class, DBH class and crown density), terrain (aspect, slope and distance from mountain stream) and disturbance factors (distance from human residential areas and distance from cultivated areas) that bats have used as their habitats were revealed from the GIS analysis based on GPS coordinates of the 36 positions that bats were found. The bats-preferred forest type is broad-leaf forests (43%) with the trees of the 2th (31%) and 5th (31%) age class, the trees of sapling (36%) and large DBH class (31%), and sparse crown density (67%). Bats prefer the slop direction of the east (39%), the gradient below $15^{\circ}$ (61%), the ranges within 200 m from the mountain streams (92%), the ranges within 200 m near roads (89%), the ranges of 200-400 m from human residential areas (28%), and the ranges within 200 m from cultivated areas (36%).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Bats (Chiroptera) in Jeju Island, Korea)

  • 박수곤;김유경;김태욱;박준호;;김가람;박선미;이준원;한상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3권4호
    • /
    • pp.394-402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박쥐류상 (Chiroptera)을 밝히기 위해 2006년 7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용암동굴, 해식동굴, 진지동굴, 생태통로 등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또한 제주도 내 박물관에 소장된 박쥐류 표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3과 6속 8종의 박쥐류의 서식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는 1928년부터 보고된 사전 문헌기록들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용암동굴과 진지동굴에서는 관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긴가락박쥐가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식동굴에서는 1개 지역에서만 관박쥐가 확인되었고, 생태통로에서는 관코박쥐와 집박쥐를 비롯한 5종이 확인되었다. 지역 내 박물관에 소장된 표본조사 결과 큰귀박쥐의 표본도 확인되었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8종 외에 큰집박쥐, 작은긴가락박쥐, 윗수염박쥐, 쇠큰수염박쥐, M. branditii, 물윗수염박쥐, 작은집박쥐 등 7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흥미로운 점은 멸종위기종으로 알려진 붉은박쥐와 한반도에서는 드물게 발견되는 흰배윗수염박쥐가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 것과, 관코박쥐도 조사과정에서 처음으로 발견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박쥐류가 서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제주도에서 박쥐류의 보전을 위한 생물다양성 연구나 생태학적 연구를 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문둥이박쥐(Eptesicus serotinus)의 귀소성에 관한 연구 (Homing of the Serotine Bat, Eptesicus serotinu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 정철운;김성철;한상훈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083-2087
    • /
    • 2014
  • Between May and September 2014, a total of 226 serotine bats (Eptesicus serotinus) were captured and subsequently released at a site 50 km distant from the site of capt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homing ability of the bats and changes in the homing rate according to the season. The bats were captured from a nursery colony at a bridge in An-dong (Gyeongbuk, Korea), and then released at a similar site in Yeong-Ju (Gyeongbuk, Korea). We found that 115 of the 226 bats released (51%) returned to the capture site.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homing ability of the serotine bats depending on the season and reproductive status. We found that the homing rate was the highest in June during late pregnancy and the lowest in August after the lactation period.

항공수심라이다를 활용한 하천 수심 및 하상 측량에 관한 연구 - 곡교천 사례를 중심으로 (Water Depth and Riverbed Surveying Using Airborne Bathymetric LiDAR System - A Case Study at the Gokgyo River)

  • 이재빈;김혜진;김재학;위광재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5-243
    • /
    • 2021
  • 하천측량은 하천기본계획 및 각종 하천 정비의 기초자료를 취득하기 위해 활용되며 하천의 물리적 형태와 하천 정비 이후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항공수심라이다(ABL: Airborne Bathymetric LiDAR) 시스템은 그린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면과 하상을 동시에 측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하천의 수심 및 하상 측량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를 하천 측량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취득된 점군 데이터부터 수면과 하상 점들을 분리하고 추출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지면필터링 기법인 ATIN(Adaptive Triangular Irregular Network)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항공수심라이다의 점군 데이터로부터 저수심 하천의 수면과 하상 점군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론을 구축하고 제안된 방법론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곡교천 일대에서 Leica Chiroptera 4X 센서로부터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면과 하상에 대한 분류 정확도는 88.8%, Kappa 계수는 0.825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항공수심라이다 데이터를 하천측량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