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IRISAN NATIONAL PARK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ffect of Trails on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 지역에서 등산로에 의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영향)

  • 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03-110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ils on breeding bird community by territory mapping method from April to August 1999 in Chirisan National Park. Twenty-five bird species were observed and 18 bird species bred in 4 study sites. Thirteen species bred in Imgullyung site 14 species in Imgullyung trail site 14 species in the Nogodan site and 15 species in the Nogodan trail site. There were bred 62.0 pairs of birds in the Imgullyung site 55.0 pairs in the Imgullyung trail site 36.5 pairs in the Nogodan site and 36.5 pairs in the Nogodan trail site in the breeding season 1999.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among 4 sites. The nesting and foraging guild structures were similar among 4 sites. It seems that trails do not influences on the breeding bird community becasuse the canopy layer was similair and connected and understory vegetation was developed around the trails. It would be needed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canopy layer and understory vegetation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ies around the trails.

  • PDF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Forest- (지리산(智異山) 천왕봉-덕평봉 지역(地域)의 삼림군집구조(森林群集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구상나무림(林)-)

  • Kim, Gab-Tae;Choo, Gab-Chul;Um, Ta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6 no.2
    • /
    • pp.146-157
    • /
    • 1997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Korean native species, Abies koreana forest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48 plots($10{\times}10m$) were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hree groups - Abies koreana community, Abies kore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cea jezoensis-Betula ermanii community -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icea jezoensis and Sorbus commixta : Quercus mongodica and Fraxinus sieboldiana, Symplocos chinensis : Euonymus macroptera and Vaccinium koreanum,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Quereus mongolica and Sorbus commixt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7208-1.2074. Vigor of Abies koreana was depressed, 12.24 of total number of Abies koreana investigated were dead. DBH of dead individuals ranged mainly 10-30cm.

  • PDF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 권태호;오구균;권순덕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5 no.1
    • /
    • pp.91-103
    • /
    • 1991
  •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were studied in Chirisan National Park in 1991. The entire width, bare width and maximum depth of trail as the trail condi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more heavily used trail. Trail conditions, especially altitude, entire width and maximum depth of deteriorated points which were surveyed at the total of 82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on-deteriorated points. On the ridge trail, the damaged are more severe than Class 4 reaches about 34,000$m^2$ and use impacts on campsite and deterioration were also accelerated. The dominant trees of the upper layer in trail edge vegetation are changed from Carpinus tschonoskii to Quercus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to Quercus mongolica, Carpins laxiflora at Hwaeomsa trail, and from Quercus serrata to Quercus mongolica at Piagol trail. Also Lespedoza maximowiczii, Symplocos chinensis, Deutzia prunifolia, Weigela Subsessilis appear as the dominant lower species at Hwaeomsa trail, L. maximowiczii, S. chinensis, Stephanandra incis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for Piagol trail.

  • PDF

Influence of Expectations, Norms and Motives on Perceived Conflict -At a Campground in Chirisan National Park- (휴양객(休養客)의 기대(期待), 규범(規範) 및 휴양동기(休養動機)가 상충인지(相衝認知)에 미치는 영향(影響) -지리산(智異山) 국립공원(國立公園) 야영장(野營場)을 대상(對象)으로-)

  • Kim, Sang-Oh;Shelby, B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5 no.4
    • /
    • pp.647-655
    • /
    • 1996
  •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users' expectations, norms and recreation motives on perceived conflict in a recreation setting. The study used data collected at Second Campground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during the summer of 1994. Of the total 280 questionnaires distributed, 253 questionnaires(90.4%) were usable. About 82%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conflict by others' late-night-singing. This study supported the notion that perceived conflict occurs when norms, expectations, and recreation motives are interfered with by others' incompatible behaviors. Solitude/nature motive factor was a better predictor of perceived conflict than norm-interference or expectation-interference. However, the relative predictability of each variable on perceived conflict could be various depending on different kinds of recreation motives, specific ways of measuring norms, expectations and conflict. Management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

Visito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Park Management and Use in the Chirisan National Park, Korea (지리산국립공원 이용객 행태 및 이용.관리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 유기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67-374
    • /
    • 2000
  •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의 동부지역을 찾은 이용객의 이용 행태의 분석 및 중요도-성취도 분석방법을 통해 관리와 이용관련 속성들에 대한 중요 정도와 실제만족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용객 직접기입 방식의 설문조사가 현지에서 실시되었다 총 254명이 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응답자들의 사회경제적 특성 및 방문특성은 다른 국립공원 이용객조사에 나타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이와 더불어 이용보다는 보전이 우선하는 국립공원 관리정책에 더 큰 관심을 나타냈다 각 관리 및 이용관련 속성에 대한 중요 정도와 만족도 결과는 수질의 상태 자연식생의 보존상태 공원 내 쓰레기 문제,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특히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휴양.관광 프로그램의 다양성 여부와 야생동물의 보호상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Change of Plant Community after Road construction -Case Study on Seongsamjae Road in Chirisan National Park-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관통도로를 사례로-)

  • 김보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27-138
    • /
    • 2000
  • 도로건설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도로로부터 산림 내부에 이르는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의 변화, 비탈면에 도입한 외래종의 식생천이 및 확산현황,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가 도로건설로 인해 발생된 비탈면과 비탈면 끝지점에서 산림방향으로 10~20m 구간까지 종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절개비탈면 급속녹화용으로 도입된 큰김의털(Tall Fescue) 경관 및 식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토비탈면에 파종된 외래종들은 빗물이나 바람을 따라 산림 내부로 유입되어 햇빛이 잘 드는 계곡부나 산림 내부에 잔조하고 있어 식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삼재관통도로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13과 35속 44종 1변종으로 45종류이었고 도로건설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는 곳이나 이용객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출현종수 및 빈도가 높았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 Edge in the Eastern Regio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 정승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09-315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동부지역의 등산로 주연부식생 구조 및 훼손을 파악하기 위하여 7개 등산로를 대상으로 1999년 8월에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산로 상에 나타난 주연부식생의 주요 수종으로는 철쭉꽃 미역줄나무 조록싸리 등이었다 등산로 주연부의 종다양도 식생피도 개체수는 이용객 수와 깊은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별 드산로 주연부식생의 종구성은 남삼면과 북사면의 중복부에서 가장유사한 반면 동사면 상복부와 북사면 산록부간에 이질적이었다 한편 남, 북 사면간 등산로 주연부식생은 각 사면 산록부에서 종구성이 가장 이질적이었다 남.북사면의 중복부에서 조록싸리 철쭉꽃이 우세하였으나 북사면 상복부에서는 철쭉꽃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등산로 주연부의 식생피도 능선부 남사면 북사면 동사면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Daewon Valley in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대원사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 권전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54-366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대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를 분석하여 국립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조사지역(이경재 등, 1991)이외의 지역에 대해 39개 조사지(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의 한 기법인 TWINSPAN을 사용하여 군집을 분리하였으며 그 결과 느릅나무-굴참나무군집(군집 I)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군집II) 졸참나무군집(군집III-V) 신갈나무군집(군집VI) 그리고 서어나무-노각나무군집(군집VII)의 7개 군집으로 나뉘었다 각 군집에 대해 우점도 종다양도 유사도 종수 및 개체수 그리고 흉고직경 등의 분석을 통해 군집의 종조서을 살펴본 결과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은 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의 참나무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점차 서어나무와 노각나무등으로 천이가 진행되어갈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 산림군집구조)

  • 송광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82-391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48개의 조사구(1개 조사구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48개의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하여 2개의 군집(들메나무군집 시날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층위별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들메나무와 신갈나무는 현상태를 계속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군집은 계곡부 토지극상림을 이루고 있었다 연하천계곡의 Shannon 종다양도지수는 들메나무군집은 1.0810 신갈나무군집은 0.2468이었다 들메나무는 함박꽃나무 물참대 참회나무 바위 마발도리 개회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갈나무 생강나무, 조릿대, 노린재 , 당단풍과 부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Plant Communisty Structure in Keolim valley of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거림계곡 식물군집구조)

  • 권전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92-403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거림계곡 식물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거림계곡 내 등산로를 따라 66개(6,600m2)의 방형구를 설정하였으며 DCA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해발고 740-950m 의 조사구는 졸참나무군집(군집I) 해발 950-1,340m의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군집II) 해발 1,340-1,390m의 조사구는 구상나무-거제수나무군집(군집III)으로 분류되었다 상대우점치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각 군집의 우점종인 졸참나무 신갈나무 구상나무가 우점하는 군집으로 계속유지될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특히 관목층은 조랫대의 밀도가 높아 천이진행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종다양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3개 군집간의 유사도지수는 낮은 상태로 해발고에 따라 식생구분이 명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