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ES OF HABITAT DISTRIBUTIO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와 랜덤 포레스트 분석(Random forest)을 이용한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 군집 특성 파악 (Patterning Waterbird Assemblages on Rice Fields Using Self-Organizing Map and Random Forest)

  • 남형규;최승혜;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8-177
    • /
    • 2015
  • BACKGROUND: In recent year, there has been great concern regarding agricultural land uses and their importance for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Rice fields are managed unique wetland for wildlife, especially waterbirds. A comprehensive monitoring of the waterbird assemblage to understand patterning changes was attempted for rice ecosystem in South Korea. This rice ecosystem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 waterbirds conservation. METHODS AND RESULTS: Biweekly monitoring was implemented for the 4 years from April 2009 to March 2010, from April 2011 to March 2014. 32 species of waterbirds were observed. Self-organizing map (SOM) and random forest were applied to the waterbirds dataset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waterbirds distribution. SOM and random forest analysis clearly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and extract ecological information from waterbird dataset. Waterbird assemblages represented strong seasonality and habitat use according to waterbird group such as shorebirds, herons and waterfowl.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SOM and random forest analysis could be useful for ecosystem assessment and management. Furthermore, we strongly suggested that a strict management strategy for the rice fields to conserve the waterbirds. The strategy could be seasonally and species specific.

낙동강 하구 주요 사주 서식지 토양 특성 (Soil properties of barrier island habitat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이용민;여운상;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2
    • /
    • 2014
  • 하구에서의 퇴적과 침식 현상에 의한 토양특성의 변화는 식물성장 환경의 변화를 유도하고 하구 식물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다양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하구의 주요 서식처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 지역의 주요 사주섬 및 서식지별 토양 특성을 파악하고자 을숙도 하단, 맹금머리등, 백합등, 도요등의 갈대와 새섬매자기 우점지역 그리고 갯벌 지역의 표토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간접적으로 식물의 영향을 받는 용적밀도, pH, 유기물 특성 및 총질소 등에서 95% 유의수준에서 서식지 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로 입도 특성때문에 사주섬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던 수분함량이나 산화환원전위 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낙동강 하구 사주 지역 토양이 퇴적과 같은 지형 형성 기작에 주로 영향을 받으며 이후 식생의 유무나 종류 등의 영향 또한 받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조사토양의 물리적 특성 중에서는 수분함량과 용적밀도, 화학적 특성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pH가 각각 7개의 다른 토양특성들과 90% 이상의 유의수준에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지역의 전반적인 토양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in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and restoration plot areas in Mongolia

  • Lkhavgadorj, Khureltsetseg;Iderzorig, Badamnyambuu;Kwon, Oh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9권1호
    • /
    • pp.119-125
    • /
    • 2016
  • Mongolia has one of the strongest climate warming signals on Earth, and over 40% of the human population depends directly or indirectly on pastoral livestock production for their livelihoods. Thus, climate-driven changes in rangeland production will likely have a major effect on pastoral livelihoods . The loss of species dependent mostly on rainfall has resulted in adverse changes in the botanical composition of the steppes . Summer season in 2015 was completely dry until middle of July and, had not enough vegetation cover as last 15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plant community dynamics in Mongolia in relation to climate change in 2014 and 2015.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in mountain-steppe habitat in central Mongolia. In the 2014, there have been registered 81 plant species of 56 genera of 25 families on the investigated sites and, occurred 57 plant species of 44 genera of 21 families in the 2015. It is concluded that the abundance and richness of plants are directly connected to heavily affect by the climatic factor, i.e. amount of precipitation during growing season. As a same like result of climate change, in Mongolian land is going become desertification, and each spring, soil particles from Mongolia are swept up by a cold air mass into the atmosphere and blasts into south east China, Korea and Japan. The Koreans call this phenomenon the "Fifth season" or "Yellow sand", and the Chinese call it "Yellow drag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for the Distribution of Nelumbo nucifera community in Junam Wetland

  • Lee, Soo-Dong;Kim, Han;Cho, Bong-Gyo;Lee, Gwang-Gy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69-483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If the Nelumbo nucifera spreads in a wetland at a high density, it can have considerable positive and negative ecological effects on habitat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investigate the impacts of its rapid prolifer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 nucifera, which can cause the degradation of wildlife habitats due to the rapid spread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y affect the Junam wetland ecosystem. Methods: For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the abiotic environment such as general weather conditions, topography and water depth structure, and soil and water quality analysis, and bioenvironment characteristics such as changes in the N. nucifera community distribution were evaluated. To assess whether the differences in the soil depth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N. nucifera community and the aquatic plant community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 One-way ANOVA was executed. Results: N. nucifera was presumably introduced in approximately 2007 and observed at a prevalence of only 0.8% in 2009, but had expanded to 11.1% in 2014. After that, the area was increased to 19.3% in 2015 and 40.0% in 2017, about twice that of the previous survey year. The rapid diffusion of an N. nucifera colony can have adverse effects on wildlife habitats and biodiversity at Junam Wetland. To solve these problems, four management methods can be proposed; water level management, mowing management, installation of posts and removal of lotus roots. Control of the N. nucifera community using these methods was judged to be suitable for cutting and water level management when considering expansion rate, water level variation, and wildlife habitat impacts. Conclusion: As the biotic and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are different for each wetl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timing and method of management through a detailed investigation.

백두대간 구룡령과 고직령의 나비군집 비교와 분포변화 (Comparison of Butterfly Communities between Guryongryeong and Gojigkyeong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and th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 김도성;오기석;박성준;최승세;이승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33-245
    • /
    • 2015
  •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다양한 생물 서식지이며 동물의 이동통로로 새로운 서식지로의 이주와 재서식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4년에 4월부터 9월까지 백두대간 구룡령(명계리)과 고직령(서벽리)의 나비군집을 모니터링 하고, 두 지역의 나비를 과거기록과 비교하여 분포지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명계리 65종 1098개체, 서벽리 63종 1161개체가 조사되었다. 두 지역의 비교에서 명계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5종, 서벽리에서만 출현한 종은 13종으로 나타났다. 종 순위별 개체수에서는 명계리는 큰줄흰나비 127 (11.6%), 줄흰나비 100 (9.1%), 산제비나비 90 (8.2%), 서벽리는 뿔나비 146 (12.6%), 줄흰나비 134 (11.5%), 네발나비 69 (5.9%)종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개체 이하를 보인 종은 명계리 24종, 서벽리 23종으로 나타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두 지역의 유사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색목록의 나비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출현종을 과거 분포자료와 비교한 결과 뚜렷한 변화는 없었다. 이에 백두대간의 나비는 아직까지 잘 보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 거시적으로 백두대간의 서식지 경관이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낙동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 특성 (Biodiversity Chang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 정상우;김윤호;이재하;김동건;김민경;김현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64
    • /
    • 2022
  •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4대강 사업의 하나로 준공된 8개의 낙동강 보 구간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약 10년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 분류군에 대한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8목 52과 83속 97종 128.1개체/m2가 출현하였으며, 오염지표생물인 깔따구류(Chironomidae sp.)와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p.)가 전체적으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62±0.20이고 다양도지수는 1.87±0.63로 낙동강 보 상류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 보 중앙부에서는 실지렁이가 우점하였으며, 칠곡보와 강정고령보에서 가장 불안한 군집구조가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상대적 회복력과 저항력이 높은 특성군I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특성군III이 소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낙동강 보 구간의 군집은 매우 불안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에서는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썰어먹는무리, 모아먹는무리, 걸러먹는무리는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굴파는무리와 기어오르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여 대부분 용존산소가 낮은 정수생태계에서 출현하는 기능군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법적보호종으로는 상주보와 낙단보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부터 10년간의 분석결과 종수와 개체수는 댐 공사 직후에는 증가하였지만, 2016년 이후부터 급감하면서 다시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깔따구류가 모든 지점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약 50% 수준의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은 2011년을 기점으로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중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지표생물인 실지렁이류는 2012년 공사 완료 후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5년과 2020년에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된 귀이빨대칭이(Cristaria plicata)는 2011년 합천창녕보에서 출현 후 관찰되지 않았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는 2015년까지 7개의 구간에서 드물게 확인되었으나 현재 분포 서식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e Vicinity of Srinagar Hydroelectric Power Project in Alaknanda Valley, Garhwal Himalaya, India

  • Ballabha, Radha;Kuniyal, Archana;Tiwari, Prabhawati;Tiwari, Jay Krisha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2호
    • /
    • pp.78-90
    • /
    • 2020
  • We studied forest structure and composition in the vicinity of Srinagar Hydroelectric Power Project in Alaknanda Valley, Garhwal Himalaya, India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management of forests. Eight sites were selected in the vicinity of power project based on elev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ensity varied from 650 to 340 ind ha-1 for trees and from 4,360 to 6,480 ind ha-1 for shrubs. TBC ranged from 35.02 to 54.02 ㎡ ha-1 for trees and from 0.875 to 2.628 ㎡ ha-1 for shrubs. On the basis of density and IVI, Pinus roxburghii was found dominant tree species in most of the sites, whereas among the shrubs, Carissa opaca was dominant. Dominance of Pinus roxburghii in most of the sites is an indication towards possible threat to associated species in the area. The dominance-diversity curve of trees showed a geometric distribution, whereas the shrubs displayed log-normal curves. The forest has rich and diverse species composition however; habitat degradation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Power Project might lead to reduction of plant species from the area.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edicting possible changes in the forest ecosystem properties in near future after completion of the power project.

Native Pig and Chicken Breed Database: NPCDB

  • Jeong, Hyeon-Soo;Kim, Dae-Won;Chun, Se-Yoon;Sung, Samsun;Kim, Hyeon-Jeong;Cho, Seoae;Kim, Heebal;Oh, Sung-J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394-1398
    • /
    • 2014
  • Indigenous (native) breeds of livestock have higher disease resistance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due to high genetic diversity. Even though their extinction rate is accelerated due to the increase of commercial breeds, natural disaster, and civil war, there is a lack of well-established databases for the native breeds. Thus, we constructed the native pig and chicken breed database (NPCDB) which integrates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breeds from around the world. It is a nonprofit public database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genetic resources of indigenous pig and chicken breeds for their conservation. The NPCDB (http://npcdb.snu.ac.kr/) provides the phenotypic information and population size of each breed as well as its specific habitat. In addition,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genetic resources across the country. The database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breed's characteristics such as disease resistance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the conservation of indigenous genetic resources.

태백산국립공원 백단사코스의 고도별 관속식물상 변화와 환경요인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Change of Vascular Plant Species along an Elevational Gradients in Baekdansa, Mt. Taebaeksan National Park)

  • 안지홍;박환준;이새롬;서인순;남기흠;김중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78-401
    • /
    • 2019
  • 태백산국립공원의 고도별 관속식물의 종다양성 패턴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백단사매표소(874m)에서 천제단(1,560m)까지 해발 100m 단위로 등분하여 8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총 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89과 240속 345종 5아종 34변종 1품종의 총 38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고도별 종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다가 특정 구간에서부터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구간별 출현종의 생육지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산림에 생육하는 종의 비율은 증가하였고, 교란지에 생육하는 종의 비율은 인위적 간섭이 높은 곳에서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구간별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이 각각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한 결과, 목본식물의 경우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 증가하다가 인위적 간섭이 높은 구간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본식물의 경우 그 반대의 경향성을 나타냈다. DCA기법을 이용하여 출현종의 고도별 분포변화를 분석한 결과, I축상의 해발 900m와 1,300m를 경계로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구간별 식분의 배치는 I축상의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을 향해 고도에 따라 배열되었고, I축은 온량지수(WI)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냄에 따라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가 식물분포의 양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식물종의 수직 분포 한계선과 식물군락의 종조성 변화 및 다양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결과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기후변화에 따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마을숲 생태계 취약요소 발굴 및 취약성 평가 (The Development of Vulnerable Elements and Assessment of Vulnerability of Maeul-soop Ecosystem in Korea)

  • 임정철;류태복;안경환;최병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7-65
    • /
    • 2016
  • 마을숲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한국 전통 마을경관의 핵심요소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다양한 영향으로 많은 수의 마을숲이 소실되었거나 쇠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역사적, 문화적, 생태적 다양한 보전가치를 가진 마을숲의 체계적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있는 499개의 마을숲에 대하여 구성 식물종 및 서식처, 입지 특성 등을 바탕으로 국내 마을숲에 대한 생태학적 복원 및 지속가능한 이용과 관리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을숲 생태계를 위협하는 대표적인 6가지 범주의 위협요인을 발굴하고 각 요인별 영향력을 평가하였다. 마을숲 생태계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대해 위협요인별 가중치 평가를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기법을 이용한 평가결과 6가지 범주 가운데 면적 축소가 국내 마을숲의 존립에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지목되었다. 그 다음으로 지형, 토양환경 변화가 마을숲 생태계를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위협 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식생의 구조와 질적 변화는 서식처 변화보다 마을숲 소실 및 쇠퇴에 낮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되었다. 각 요인별 가중치를 바탕으로 100점을 최고점으로 수치를 환산한 평가틀을 이용하여 마을숲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국내 마을숲의 취약성 평가결과 가장 빈도 높은 값을 보이는 등급은 III등급이며, 낮은 등급에서 높은 등급으로 정규분포 경향을 보였다. 높은 자연성을 보이는 I등급의 마을숲이 38개소 존재했으며, 취약요인들에 의해 마을숲 존폐를 위협받는 V등급의 마을숲도 10개소 확인되었다. 각 마을숲별 취약성 평가결과에서도 국내 마을숲의 지속가능성 보장을 위해 마을숲 고유의 면적 회복이 최우선 과제로 대두되었다. 국가 중요 생태자원으로서 각각의 취약요소별 국가수준의 생태적 대응전략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