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M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TMS320C30을 이용한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의 Test-bed 구현 (A Smart Antenna Test-bed Utilizing TMS320C30 in Smart Antenna System)

  • 김종욱;권세용;안성수;최승원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523-53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국내 광대역 CDMA WLL(Wireless Local Loop) 규격올 적용한 스마트안테나 시스템의 빔 형성모듈을 설계, 제작하여 본 연구실에서 제안한 빔형성 알고리즘의 수신신호 성능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시연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소개되는 시연시스템은 범형성모듈뿐 아니라, 빔형성모듈의 성능을 확인 . 평가. 분석하기 위한 PC와 인터페이스 장치인 테스트 모률(신호생성모률)이 포함된다. 빔형성모율 에서는 자체 개발한 CGM(Conjugate Gradient Meth떠)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웨이트 벡터를 생성시켜 주며, 계산된 웨이트 빽터는 PC로 전달되어 다양한 성능분석을 수행하게 한다. 스마트 안테나 시스템을 직접 구현 하여 성능을 분석한 결과, CDMA WLL 기지국에 스마트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대폭적인 통신품질 향상 및 용량 증대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무전조성 편두통 환자에서 온열과 마사지 동시 치료의 효과: 증례보고 (Simultaneous Heat-Massage Therapy for Migraine Without Aura : A Case Report)

  • 이광재;윤용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505-509
    • /
    • 2020
  • 편두통은 중등도 내지 중증의 두통이 재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통 장애이다. 진단은 임상 징후 및 증상을 기반으로 하며,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신경 차단 및 신경 자극이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이 보고서는 59세 여성의 심각한 무전조성 편두통 사례에 대한 것이다. 환자는 정기적으로 두통이 14년 이상 지속되었으며, 약과 신경 차단제를 복용했지만 심한 통증 (VAS 7)이 지속되어 왔다. 우리는 척주 온열 마사지 기기(CGM MB-1401)를 편두통 환자에게 6주간 주 3회씩 40분간 처치하였다. 최초 4주간의 자동모드에서는 통증척도에 변화가 없었다. 이후 경추부 반자동 모드를 2주간 처치하여 통증척도가 완화되었으며, 두 달 동안 통증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사례는 무전조성 편두통을 관리하기 위해 척주 온열 마사지기 적용을 고려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공간탐색 진화알고리즘을 이용한 Interval Type-2 pRBF 뉴럴 네트워크의 구조적 해석 (Architectural Analysis of Type-2 Interval pRBF Neural Networks Using Space Search Evolutionary Algorithm)

  • 오성권;김욱동;박호성;이영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12-1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RBF 뉴럴 네트워크에서 은닉층 활성함수에 Interval type-2 퍼지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RBF 뉴럴 네트워크를 설계하였다. 퍼지 시스템 분야에서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Type-1 퍼지집합의 성능을 보안하고자 Type-2 퍼지집합이 제안되었으며, 멤버쉽함수 안에 다시 멤버쉽함수를 생성함으로써 불확실한 정보를 좀 더 효과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BF 뉴럴 네트워크의 은닉층 활성함수에 type-2 퍼지집합의 개념을 적용하여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모델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결가중치를 상수항이 아닌 1차식으로 구성된 다항식을 사용하여 최종출력을 입력-출력의 관계식으로 표현하였다. 연결가중치는 기존의 경사하강법(Gradient Descent Method; GDM) 대신 conjugate gradient method(CGM)을 사용하여 파라미터를 동조하고, 은닉층의 활성함수는 공간탐색 진화 알고리즘(Space Search Evolutionary Algorithm; SSEA)을 이용하여 가우시안 함수의 중심점 및 분포상수를 동조하여 모델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제안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가스로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를 기존 모델과 비교하였다.

Effects of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on Ruminal Fermentation and Concentrations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in Ruminal and Omasal Digesta of Hanwoo Steers

  • Oh, Young-Kyoon;Kim, Jeong-Hoon;Kim, Kyoung-Hoon;Choi, Chang-Won;Kang, Su-Won;Nam, In-Sik;Kim, Do-Hyung;Song, Man-Kang;Kim, Chang-Won;Park, Keun-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3호
    • /
    • pp.392-403
    • /
    • 2008
  • Four ruminally fistulated Hanwoo stee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on ruminal fermentation, blood metabolites and concentration of soluble non-ammonia nitrogen (SNAN) in ruminal (RD) and omasal digesta (O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with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Factors were protein supplements with two ruminal crude protein (CP) degradabilities, corn gluten meal (CGM) that was low in degradability (rumen-degraded protein (RDP), 23.4% CP) or soybean meal (SBM) that was high in degradability (RDP, 62.1% CP), and two feeding levels of CP (12.2 or 15.9% dry matter). Ruminal fermentation rates and plasma metabolite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from the RD collected at 2-h intervals and from the blood taken by jugular puncture, respectively. The SNAN fractions (free amino acid, peptide and soluble protein) in RD and OD collected at 2-h intervals were assessed by ninhydrin assay. Mean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s were 40.5, 74.8, 103.4 and 127.0 mg/L for low CGM, high CGM, low SBM and high SBM, respectively,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for CP level and p<0.001 for CP degradability). Blood urea nitrogen concentrations were increased by high CP level (p<0.001) but unaffected by CP degradability. There was a significant (p<0.05) interaction between level and degradability of CP on blood albumin concentrations. Albumin was decreased to a greater extent by increasing degradability of low CP diets (0.26 g/dl) compared with high CP diets (0.02 g/dl). Concentrations of each SNAN fraction in RD (p<0.01) and OD (p<0.05) for high CP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for low CP diets, except for peptides but concentrations of the sum of peptide and free amino acid in RD and O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high CP diets than for low CP diets. Soybean meal diets increased free amino acid and peptide concentrations in both RD (p<0.01) and OD (p<0.05) compared to CGM diets. High level and greater degradability of CP increased (p<0.001) mean concentrations of total SNAN in RD and 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DP contents, increased by higher level and degradability of dietary protein, may increase release of free amino acids, peptides and soluble proteins in the rumen and omasum from ruminal degradation and solubilization of dietary proteins. Because SNAN in OD indicates the terminal product of ruminal metabolism, increasing CP level and degradability appears to increase the amount of intestine-available nitrogen in the liquid phase.

울진 보암광산의 조장석-스포듀민 페그마타이트의 광물 지화학 조성 연구 (Mineral Geochemistry of the Albite-Spodumene Pegmatite in the Boam Deposit, Uljin)

  • 박규승;박정우;허철호
    • 광물과 암석
    • /
    • 제35권3호
    • /
    • pp.283-29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울진 왕피리에 소재한 보암 Li 광산의 조장석-스포듀민 페그마타이트와 그 주변에 형성된 외영운암(exogreisen)의 광물 지화학 조성을 EDS로 분석하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보암 광산은 화성활동 단계와 영운암화 단계의 두 단계를 거쳐 형성되었다. 전자에서는 조립질 내지 중립질의 스포듀민, 조장석, 석영, K-장석으로 구성된 조장석-스포듀민 페그마타이트가 관입하였으며, 후자에서는 페그마타이트의 조장석화 및 영운암화 과정에서 세립의 조장석 및 이와 공생하는 백운모, 녹주석, 인회석, 컬럼바이트족 광물(CGM, columbite group mineral), 마이크롤라이트, 석석 등이 형성되며 화성활동 단계의 광물을 부분적으로 교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변암인 장군석회암과 맥의 경계면에는 전기석, 석영, 백운모로 구성된 외영운암이 형성되었다. 광물 지구화학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화성활동 단계 대비 영운암화 단계에서 녹주석과 백운모에 Cs 함량이 더 높고 CGM의 Ta/(Nb+Ta) 또한 더 높게 나타난다. 이 같은 사실은 영운암화에 관여한 용융체가 페그마타이트를 형성한 용융체에 비하여 더 많은 분화 과정을 거쳤음을 지시한다. 영운암화 단계에서 형성된 인회석의 조성은 Cl이 결핍되고 F가 부화되어 있어 보암 광산이 S형 화강암 기원의 Li-Cs-Ta(LCT) 페그마타이트에 해당하는 특성을 지닌다. 화성활동 단계에 형성된 중립질의 조장석은 평균 0.28 wt.%의 P2O5를 갖는데 비해 영운암화 단계에 형성된 세립질의 조장석은 EDS 검출한계 미만의 P2O5를 지닌다. 영운암화 단계에 형성되는 인회석과 마이크롤라이트는 화성활동 단계 대비 Ca가 부화되었음을 지시한다. 따라서, 조장석 내 P의 결핍은 용융체에 있던 P가 주변암으로부터 Ca가 공급됨에 따라 인회석의 형태로 소진되어 결핍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외영운암의 전기석은 중심에서 외곽으로 갈수록 Ca를 비롯한 2가 양이온의 함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Al의 함량이 감소하는 화학적 누대구조를 보인다. 이는 영운암화 단계에서 장군석회암으로부터 용융체에 Ca가 점차 공급되었다는 가설에 부합한다.

발효시간이 다른 김치의 우육지방질에 대한 항산화성 (Antioxidative Effect of Kimchi with Various Fermentation Period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Ground Meat)

  • 최홍식;이영옥;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1-266
    • /
    • 1996
  • 우육 지방질의 산화에 대한 김치의 항산화성과 발효기간이 다른 김치의 항산화 관련성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익힌 마쇄우육(CGM)에 발효기간이 다른 김치를 조합한 모델 시스템을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산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가열우육의 지방질 산화에 대한 김치의 항산화성은 발효기간에 따라 달랐다. 특히 발효당일의 김치나 발효 16일의 김치 보다 7일간 발효된 김치의 항산화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효진행에 다른 김치의 항산화성에서도 적당히 발효된 발효 7일 전후의 김치들에서 항산화성이 높았다. 김치발효에 따른 항산화 관련 성분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ascorbic acid는 담금 직후 10mg%이었으나 7일간 발효한 김치는 19.43mg%로 높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caro-tene은$ 담금 직후 0.315mg%이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phenolic compounds는 담금 직후나 과숙 김치에서 보다 7일간 발효한 김치에서 오히려 높았다. 따라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김치의 항산화 작용에 기여하는 항산화 관련성분은 ascorbic acid, chlorophylls 및 phenolic compounds 등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초연약지반 표층처리를 위한 SCS의 적용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S for the Surface Stabilization of Ultra-soft Ground)

  • 천병식;양형칠;유영남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지반공학 공동 학술발표회
    • /
    • pp.425-428
    • /
    • 2005
  • To resolve land demand by the development of various industries and the cityward tendency of population, the construction of ultra-soft ground that is unused in the past has been progressing with activity. The ultra-soft ground has very small shear strength and large deformation, so leads to many problems in ground improvement in construction. In order to dispose of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e the chemical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urface stabilization of ultra-soft ground. In this study, the new ground treatment that is using cement and SCS is compared, analyzed with existing ground treatment. In addition, through the laboratory tests that check the characteristic of congealment and strength, the application of SCS in field is affirmed.

  • PDF

Understanding of type 1 diabetes mellitus: what we know and where we go

  • Cheon, Chong K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10호
    • /
    • pp.307-314
    • /
    • 2018
  • The incidence of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increasing worldwide. Combined effects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ause T1DM, which make it difficult to predict whether an individual will inherit the disease. Due to the level of self-care necessary in T1DM maintenance, it is crucial for pediatric settings to support achieving optimal glucose control, especially when adolescents are beginning to take more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health. Innovative insulin delivery systems, such as continuous subcutaneous insulin infusion (CSII), and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s, such a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CGM), allow patients with T1DM to achieve a normal and flexible lifestyle. However, there are still challenges in achieving optimal glucose control despite advanced technology in T1DM administration. In this article, disease prediction and current management of T1DM are reviewed with special emphasis on biomarkers of pancreatic ${\beta}-cell$ stress, CSII, glucose monitoring, and several other adjunctive therapies.

디지털 프린터의 출려특성기반 톤 보정 망점화 (A Tone Correction Halftone Method Based on Response Characteristic of Digital Printer)

  • 신지현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1-83
    • /
    • 1997
  • In recent years, various kinds of organic photoreceptors have been used for copy machines based on electrophotography. Most of them are constructed into layered devices in which a photogeneration layer is separated from a charge transport layer. They are usually used with application of negative charges. Organic pigment have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with phthalocyanine, squaraine, and azo compounds being used to construct zerograpgic photoreceptors with enhanced long wavelength sensitivity, residual potential and zerograpgic gain of squaraine photoconductor were measured from the photoinduced discharge curve. Most of synthesized squaraine derivative couldn`t use for CGM(charge generation material), but it knew that a part of one was able to use it within the possibility. A few appliance is used it know about dependence on CTM(charge transport material) of squaraine derivative. It could know that experiment`s result is 2.5-bis(4-N-N`-diethylaminophenyl)-1,3,4-oxadiazole(OXD) is the bestproduct.

  • PDF

기존의 WebGIS에 대한 분석과 XML 기반의 WebGIS에 대한 연구 (An Analysis of Existence WebGIS and A study on WebGIS based on XML)

  • 조성연;김병국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1
    • /
    • 2002
  • 기존의 WebGIS는 구현방법에 따라서 서버중심과 클라이언트중심의 WebGIS모델로 구분할 수 있다. 서버중심의 WebGIS모델은 결과데이터가 이미지(JPG,GIF)로 클라이언트에 전송되므로 사용자는 기본적인 GIS 기능만을 처리할 수 있고, 데이터 확대 시 데이터가 손상되는 문제들이 있다. 클라이언트 중심의 WebGIS모델은 벡터데이터(Java-applet, ActiveCGM) 전송을 위해 고가의 특정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고, 플랫폼에 의존적이며, 표준화된 포맷이 아니므로 웹에서 데이터 상호 전송 및 호환의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WebGIS모델의 전반적인 분석을 통해서 각기 구축된 WebGIS의 구현방법과 문제점에 대해 고찰해 본다. 그리고 이런 문제점들이 대안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으로 기술된 GML (Geographic Markup Language)과 SVG(Scalable Vector Graphics)를 이용한 WebGIS에 대한 연구와 향후 우리가 연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