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F$_4$

검색결과 1,205건 처리시간 0.026초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생식년주기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Bande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 임상구;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3-833
    • /
    • 1997
  •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의 명확한 생식년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본 종을 1992년 5월부터 1993년 6월까지 전라남도 영산강 상류로부터 채집하여 암수의 GSI, HSI, 비만도, 난모세포 발달 단계의 분포빈도, 그리고 생식소와 간의 조직학적인 주년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생식년주기를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분 할 수 있었다. 1) 성장기 (4월$\~$5월초): 암컷의 GSI값이 증가하고 주변인기 난모세포들이 점진적으로 성장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 상피에서는 정원세포들이 활발히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2) 성숙기 (5월$\~$6월초): 암수 모두 GSI가 빠르게 증가하고 여러 단계의 난모세포들이 관찰되었으며, 정소 내에는 정자 형성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3) 성숙 및 산란기 (6월$\~$8월): 암컷의 GSI는 높은 값을 유지하였고, 난모세포들은 많은 양의 난황을 축적하였으며, 수컷의 세정관에는 대부분 정자로 채워져 있었다. 4) 퇴화기 (9월$\~$11월): 암수 GSI는 감소되고, 난소 내에는 대부분 주변인기 세포들로 채워져 있고, 간세포에는 지방구들이 많이 축적되었다. 5) 휴지기 (12월$\~$다음해 3월): 암수 GSI는 낮은 값을 유지하며, 난소 내의 주변인기 세포의 증가와 정자 형성은 보이지 않았다.

  • PDF

Ensiling of Sweet Potato Leaves (Ipomoea batatas (L.) Lam) and the Nutritive Value of Sweet Potato Leaf Silage for Growing Pigs

  • An, Le Van;Lindberg, Jan Er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497-503
    • /
    • 2004
  • The effect of adding carbohydrate-rich feedstuffs to sweet potato leaves (SPL) on silage quality was studied using a total of 180 laboratory silos. Silage quality was assessed by changes of pH,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ammonia nitrogen ($NH_{3}$-N). Pre-wilted SPL was mixed with cassava root meal (CRM), sweet potato root meal (SPM) or sugar cane molasses (Mo) at levels of 0, 30, 60 and 90 g $kg^{-1}$ (air-dry weight of additives to pre-wilted weight of SPL). Samples for assessing silage quality were collected after mixing the SPL with the additive and thereafter at 7, 14, 28 and 56 days of ensiling.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pH after 7 days and the pH remained low and stable until day 56. Addition of 60 and 90 g $kg^{-1}$ resulted in a lower pH (p<0.05) than the other treatments. The DM content of the silage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M with time of ensiling. The CP content of the silage decreased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additive. The CP content did not change up to 28 days, but was lower (p<0.05) after 56 days in all treatments. The $NH_{3}$-N levels were increasing (p<0.05) with time of ensiling, and were lower (p<0.05) with additive levels of 60 g $kg^{-1}$ or higher. Also, the additive source affected the $NH_{3}$-N values, with the lowest values found for Mo. Castrated male pigs (Large White$\times$Mongcai) were used in 4$\times$4 Latin square design to study the total tract digestibility and nitrogen (N) utilisation of diets with inclusion of ensiled SPL. The diets were based on cassava root meal with inclusion of protein from either fish meal (C) or SPL ensiled with CRM (D1), SPL ensiled with SPM (D2) and SPL ensiled with Mo (D3). The digestibility of DM, organic matter (OM) and CP were higher (p<0.05), and the digestibility of crude fibre (CF) was lower (p<0.05), in diet C than in diets D1, D2 and D3.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p>0.05) in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between diets D1, D2 and D3. Also, the excretion of N in faeces was higher (p<0.05) and the N retention was lower (p<0.05) in diets D1, D2 and D3 than in diet C.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present experiments, that a good quality silage can be produced from pre-wilted SPL by addition of 60 g $kg^{-1}$ of either CRM, SPM or Mo. Diets with inclusion of 450 g ensiled SPL $kg^{-1}$ DM showed a high digestibility of dietary components and thus ensiled SPL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feed resource for growing pigs.

독도 자생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균의 식물생장촉진 활성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Native Plants in Dokdo Islands)

  • 유영현;윤혁준;우주리;서영교;김미애;추연식;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619-1624
    • /
    • 2011
  • 독도에 자생하고 있는 6 종류의 식물뿌리로부터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동도에서 갯제비쑥, 명아주, 까마중과 서도에서 도깨비쇠고비, 술패랭이 그리고 번행초를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총 32 종의 내생균을 분리하였고, universal primers ITS1과 ITS4를 사용하여 ITS 영역을 PCR로 증폭하여 동정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6 종류의 식물의 뿌리에서 모두 32종류의 다양한 내생균류를 분리 및 동정 할 수 있었다. 독도 자생식물인 갯제비쑥 4종, 명아주 8종, 까마중 3종, 도깨비쇠고비 3종, 술패랭이 3종, 번행초 11종의 내생균이 분리되었다. 내생균들의 배양여액은 식물생장촉진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장이벼의 유묘에 처리되었다. 그 결과, 명아주에서 분리된 Ca-5-2-2 균주가 우수하게 식물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독도에 자생하는 6종류의 식물에서 Penicillium sp.와 Fusarium sp. 그리고 Aspergillus sp.의 내생균이 가장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Repeated Intramuscular-dose Toxicity Test of Water-soluble Carthami Flos (WCF) Pharmacopuncture in Sprague-Dawley Rats

  • Choi, Yoo-Min;Jung, Da-Jung;Kim, Seok-Hee;Kim, Jong-Uk;Yook, Tae-Ha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6-43
    • /
    • 2015
  • Objectives: Water-soluble carthami flos (WCF) is a new mixture of Carthami flos (CF) pharmacopuncture. We conducted a 4-week toxicity test of repeated intramuscular injections of WCF in Sprague-Dawley rats. Methods: Forty male and 40 female ra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10 male and 10 female SD rats: The control group received 0.5 mL/animal/day of normal saline whereas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received WCF at doses of 0.125, 0.25, and 0.5 mL/animal/day, respectively. For 4 weeks, the solutions were injected into the femoral muscle of the rats alternating from side to side. Clinical signs, body weights, and food consumption were observed; opthalmological examinations and urinalyses were performed. On day 29, blood samples were taken for hematological and clinical chemistry analyses. Then, necropsy was conducted in all animals to observe weights and external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bodily organs. All data were tested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AS). Results: No deaths were observed. Temporary irregular respiration was observed in male rats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first 10 days. Body weights, food consumptions, opthalmological examinations, urinalyses, clinical chemistry analyses, organ weights and necropsy produced no findings with toxicological meaning. In the hematological analysis, delay of prothrombin time (PT) was observed in male rats of the 0.25- and the 0.5-mL/animal/day groups. In the histopathological test, a dose-dependent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to the fascia and panniculitis in perimuscular tissues was observed in all animals of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those symptoms were limited to local injection points. No toxicological meanings, except localized changes, were noted. Conclusion: WCF solution has no significant toxicological meaning, but does produce localized symptoms.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WCF in male and female rats is expected for doses over 0.5 mL/animal/day.

시비관리(施肥管理)에 따른 작약(芍藥)(Paeonia albiflora Palls) 생육특성(生育特性)과 유효성분(有效成分) 연구(硏究) (Effect of Fertilizer Applications on the Morphology and the Pharmaceutical Components of Paeonia albiflora Palls)

  • 장기운;김소연;서관석;김필주;이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5-322
    • /
    • 1989
  • 작약(芍藥)을 관행(慣行), 유기(有機), 무기(無機), 유기(有機)-무기(無機) 혼용구(混用區) 및 유기(有機) 무기증비구(無機增肥區)를 설정(設定)하여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 유효성분함양(有效成分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논(結論)을 얻었다. 1. 지상부(地上部)의 생육(生育)에는 각(各) 처리구간(處理區間)에 큰 차리(差異)는 없었으며, 수량(收量)에 있어서는 유기(有機)-무기(無機) 혼용구(混用區)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2. 작약근중(芍藥根中) 유효성분(有效成分)인 paeoniflorin, albiflorin, Oxypaeoniflorin 함량(含量)의 년차간(年次間) 변화(變化)는 생육기간(生育期間)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Benzoic acid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관행구(慣行區)의 수양(收量) 및 약효성분(藥效成分)의 감소경향(減少傾向)이 있으므로 린산비료(燐酸肥料)의 적양시비(適量施肥)에 대(對)한 재검토(再檢討)가 요구(要求)된다. 4. 1차(次) 및 2차(次) 재배시험(栽培試驗)의 1년차(年次)와 2년차(年次)의 수양(收量)과 유효성분(有效成分)을 종합비교(綜合比較)해 볼 때, 무기질비료(無機質肥料)만을 시비(施肥)한 것보다는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만을 시용(施用)하여 재배(栽培)했을 때 양호(良好)했으며, 유기(有機)-무기질(無機質) 비료(肥料)를 혼용(混用)하면서 무기비료(無機肥料)를 50%, 100% 증비(增肥)했을 때 유기구(有機區)보다 수량(收量)과 유효성분(有效成分)의 증가경향(增加傾向)을 보였다.

  • PDF

참가자미의 저장 중 오염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아가미의 유무, 건조도, 저장온도 및 키토산-아스코베이트의 처리효과 (Effect of Gill, Drying and Temperature and Chitosan-Ascorbate Treatment on Growth of Contaminated Microorganism in Flounder during Storage)

  • 김영숙
    • KSBB Journal
    • /
    • 제23권5호
    • /
    • pp.375-380
    • /
    • 2008
  • 생 및 반건참가자미의 저장성 향상을 위하여 아가미를 제거하지 않은 것 (WG)과 제거한 것 (OG), 건조도에 따라 생것(0 D), 20%건조한 것 (20 D), 40%건조한 것 (40 D), 0.1% chitosan-ascorbate (CA)의 처리와 무처리로 구분, 진공 포장하여 $5{\sim}1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미생물의 증식정도를조사하였다. $10^{\circ}C$에서 저장 중 생 참가자미의 WG와 OG를 비교한 결과, OG가 WG에 비하여 total aerobacter는 $0.3{\sim}0.5$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coliform과 E. coli의 수도 낮았다. $10^{\circ}C$에서 저장 중 0 D, 20 D 및 40 D를 비교한 결과, total aerobacter, coliform 및 E. coli 모두 20 D에서 가장 낮았으며 total aerobacter의 경우는 생것에 비하여 $0.42{\sim}1.20$ log cycle이 낮았다. 진공포장한 생 참가자미를 $5^{\circ}C$$1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한 결과, $5^{\circ}C$의 경우는 total aerobacter가 log 4.17 CFU/g로 $10^{\circ}C$보다 $0.6{\sim}1.3$ log cycle이 낮았다. 가자미로부터 분리한 3종의 미생물 [aerobacter (A1), coliform (C12), E-coli (E7)]에 대한 CA의 항균효과를 조사한 결과 0.1%에서 3종 모두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생 참가자미에 0.1% CA를 처리한 후 진공 포장하여 $1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한 결과 CA 비처리에 비하여 total aerobacter는 1.5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coliform 및 E. coli도 감소되었으며, CA처리 반건참가자미 (20 D)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0 D 및 20 D를 CA처리한 후 진공 포장하여 $1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한 생시료 또는 조리하여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 0 D와 20 D 모두 CA 처리군에서 외관, 신선도, 조직감 및 종합적기호도 값이 비처리군의 "보통"에 비하여 우수한 것 (좋다$\sim$매우좋다)으로 평가되었다.

잎들깨 수량과 단백질체 발현에 미치는 UV-B의 영향 (Effect of Elevated Ultraviolet-B Radiation on Yield and Differential Expression of Proteome in Perilla (perilla frutescens L.))

  • 홍성창;황선웅;장안철;신평균;장병춘;이철원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3
    • /
    • 2006
  • 비닐하우스는 노지보다 UV-B 선량이 적고 외기와 차단되어 노지와 다른 생육환경 하에서 작물이 생육하게 된다. 본 연구는 UV-B 저선량 상태인 비닐하우스 재배 잎들깨에 UV-B를 처리하여 수량과 생리변화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UV-B는 형광램프를 이용하여 잎들깨 수관으로부터 150, 120, 90 cm에서 처리하여 각각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50% 증가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을 다른 광의 간섭이 없는 밤 9시부터 2시간씩 30일간 처리하였다. UV-B 처리에 의한 잎들깨 수량은 비닐하우스, 노지 자연량 150% 증가량, 노지자연량, 노지자연량+100% 증가량 처리 순이었다. 7월 20일의 자연 UV-B 선량은 노지 13.6 kJ/일, 비닐하우스 4.9 kJ/일로 비닐하우스의 UV-B 선량은 노지보다 64% 감소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UV-B가 균일하게 처리된 잎들깨의 단백질을 추출하여 2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이미지분석하여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 UV-B에 의해 33개의 단백질 발현이 변화되었으며 이중 10개가 동정되었다. 동정된 단백질의 기능별로 분류하면 광합성과 관련된 것이 40%,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것이 60%였다. UV-B에 의해 발현이 감소한 단백질은 광합성과 관련된 ATP synthase CF1 alpha chain이었고 발현이 증가한 단백질은 DNA recombination and repair protein recF, Heat shock protein 21, Catalase, Galactinol synthase, S-adenosyl-L-methionine, Calcium-dependent protein kinase(CDPK)-like 로 주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방어와 관련된 단백질들로서 UV-B는 잎들깨 세포내 DNA와 광합성기구를 손상시켜 광합성에 저해적으로 작용하여 수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약의 지렁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for Earthworms)

  • 박경훈;박연기;주진복;경기성;신진섭;김찬섭;박병준;엄재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0-287
    • /
    • 2003
  • 주요 토양 처리용 농약 (10종 원제)의 지렁이에 대한 급성독성시험을 실시하여 노출을 고려한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paraquat dichloride와 pendimethalin은 지렁이에 대한 위해성이 무시할 수 있는 수준으로, benfuracarb, cadusafos, chlorpyrifos-methyl, endosulfan, isazofos, parathion 등 6종은 위해성이 낮은 것으로 그리고 imidacloprid와 phorate는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번식독성시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중 추정농도가 높은 22종 제품농약의 경우 인공토양을 이용한 독성시험 결과 dazomet 98% GR과 metam-sodium 25 % SL은 기준량 및 배량처리구에서 모두 치사하여 지렁이에 대한 영향이 높은 것으로, calcite 95% WP, calcium polysulfide 36% CF, chlorothalonil 75% WP, daminozide 85% WP, dichlonil 6.7% GR, etridiazole 25% EC, fosetyl-Al 80% WP, glyphosate 41% SL, hymexazo1 30% SL, iprodione 50% WP, machine oil 95% EC, mancozeb 75% WP, metam-sodium 25% SL, propineb 70% WP, terbuthylazine 80% WP, triazophos 40% EC는 지렁이에 대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hiophanate-methyl 70% WP, copper hydroxide 77% WP, dimethoate 46% EC, tolclofos-methyl 50% WP 및 propamocarb hydrochloride 67% SL 등 5 농약은 영향여부가 불분명하여 아만성독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thiophanate-methy1 70% WP는 기준량 이상 처리시 지렁이에 치사 등 영향을 나타냈으나, copper hydroxide 77% WP, dimethoate 46% EC, tolclofos-methyl 50% WP 및 propamocarb hydrochloride 67% SL는 지렁이에 대한 영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로자의 뇨중 상피세포에서 32P-postlabeling에 의한 발암물질의 DNA adducts측정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asurement of Carcinogen-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among workers by 32P-postlabelling methods)

  • 이진헌;노재훈;그린 탈라스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7
    • /
    • 2000
  • Carcinogen-DNA adduct analysis has potential for biomonitoring the earliest effects of exposure to many chemical carcinogens. They are the covalent reaction products of electrophiles and nucleophilic sites on DNA and the initial damage to DNA induced by many carcinogens. So many researchers begin to use them as biomarker for monitoring the earliest exposure of carcinogens and develop the effective analytical techniques about them. Randerath, Gupta and coworkers(1981, 1982) has also developed a $^{32}P$-postlabelling method as one among them. A major project for biomonitoring workers with carcinogen-DNA adducts is to develop non-invasive samples instead of tissues of target organs such as baldder and lung. This study use the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n urine for examine benzidine-DNA adducts. The content of exfoliated urothelial cells is not enough to significantly measure DNA content with spectrophotometer, and require the another way. So firstly washing the collected cells with PBS and 70% ethanol and centrifuge them for removing the crystals in urine, which block the isolation of DNA adducts. And then, measure the total nucleotide after $^{32}P$-postlabelling for calculating RAL. $[{\gamma}-^{32}P]ATP$ using for $^{32}P$-postlabelling, can synthesize with $[^{32}P]H_3PO_4$, and reagent and enzyme mixture (RM, EM), which is very economic in case of requiring a lot of them. Chromatography was composed of two steps. First step was to separate adduct ones from unadducted nucleotide, and secondary step was separate each adduct, which were performed with 4 kinds of solvents and different directions on TLC. With this procedure, we measure the DNA adducts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of workers who were employed in benzidine and benzidine-dye company. RAL of adducts were $89.0{\times}10^7$ and $57.0{\times}10^7$ in them. In conclusion, we can significantly measure the DNA adduct in exfoliated urothelial cells by using the above $^{32}P$-postlabelling procedures, and use them to be biomonitoring workers who exposed carcinogens.

  • PDF

사과 유기재배 시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피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on the Damages of Organic Apple Trees)

  • 최현석;정석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87-602
    • /
    • 2017
  • 온난다습 한 기후대의 미국 남부지방에서 2008년에 유기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 사과나무(Malus${\times}$domestica Borkh.)를 대상으로 수체피해[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Newman), 설치류, 고사율, 잡초밀도]에 대한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과원은 유기질 멀칭 4종류와 비료 3종류를 복합으로 처리하였고, 멀칭은 초생, 종이, 우드칩, 식물성퇴비를 포함하였고, 비료는 무비료, 계분, 상업용 유기질비료를 매년 4월에 수체 주위에 시용하였다. 수체피해인 설치류와 잡초밀도는 무기성분이나 수체생장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왜콩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는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높았고(26.5%), 고사율은 초생멀칭구에서 가장 높았다. 주당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우드칩과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약 3,700 g으로 나머지 처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잎의 왜콩풍뎅이 피해율은 토양과 잎의 무기성분이 증가하면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영양생장 지표인 주간 단면적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r^2=0.585$)가 관찰되었다. 수체 고사율은 토양 내 무기성분보다는 수체의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에 미국 남부지방 과원에서 시용된 우드칩은 유기물함량을 증가시키고 유목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양 내의 풍뎅이류 등의 해충과 설치류의 피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피복자재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