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ACAM 6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지방유래 줄기세포의 생존능 향상을 위한 CEACAM 6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연구 (Biological Function of 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6 for the Enhancement of Adipose-Derived Stem Cell Survival against Oxidative Stress)

  • 고은영;유지은;정세화;김평환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75-483
    • /
    • 2019
  • 세포기반 치료제에 사용되는 줄기세포는 재생능력과 다양한 세포로의 분화능력으로 인해 재생 의학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관심을 끌었으며, 많은 불치병에 적용된다. 하지만, 이러한 줄기세포는 여전히 치료 전 세포증식 및 질병 투여부위에서의 낮은 생존률로 인해 충분한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것을 해결하고자, 우리는 세포부착능과 항세포자살 기능을 가지고 있는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gene family의 하나인 CEACAM 6를 사용하였다. 이것을 줄기세포에 적용 전, 먼저 세포별로 이 단백질이 발현되는지를 확인하였고, 이 유전자가 발현되는 벡터를 줄기세포에 삽입시키기 위한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 그 후, 도입된 CEACAM 6발현벡터로부터 줄기세포에서 이 유전자가 발현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체투여 시 발생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와 유사한 조건에서의 이 유전자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였다.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CEACAM 6가 발현되는 줄기세포는 그렇지 않은 세포에 비해 세포의 생존률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 CEACAM 6는 줄기세포의 치료효능과 세포증식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른 선택지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가리쿠스로부터 분리한 $\beta$-glucan과 그 올리고당류의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HT-29 Human Colon Cancer Activity of $\beta$-Glucans and Their Enzymatically Hydrolyzed Oligosaccharides from Agalicus blazei Murill)

  • 이미영;김기훈;김예운;장헌길;이동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9-325
    • /
    • 2006
  • 칡을 첨가하여 배양한 아가리쿠스버섯(Agaricus blaxei Murill)으로 부터 열수추출,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DEAE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아가리쿠스 $\beta$-glucan (AG)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아가리쿠스 $\beta$-glucan에 Bacillus megaterium 유래의 endo-$\beta$-(1$\rightarrow$6)-glucanase를 처리하여 올리고당류(AO)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AG와 AO를 이용하여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한 결과, 암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는 시료의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apoptosis assay에서 암세포의 apoptosis 유발이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또한, 암세포의 세포 주기를 분석한 결과, apoptosis 발생을 뜻하는 G0 (sub-G1)기와 G1기의 비율이 증가한 반면 S기와 G2/M기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암세포의 apoptosis 증가에 대한 AO의 작용이 어떤 유전자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cDNA microarray를 통해 유전자의 발현율을 검색한 결과, apoptosis의 내부 외부 경로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TNESE9, TNFRSF9, FADD, CASP8, BAD, CRADD, CASP9 등)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세포 분열 주기의 진행과 관련된 유전자(CCND2와 CDK2)의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세포 분열 주기를 지체시키는 유전자 (CDKN2A)의 발현은 증가되었다. 또한, 사이토카인을 암호하는 유전자 (IL6, IL18, IL6R 등)와 tumor suppressor와 관련된 유전자 (CEACAM1, TP53BP2, IRF1및 PHB)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 대한 AO의 성장 억제 작용은 G0/Gl기를 지체시켜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apoptosis에 의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허 AO가 AG보다 현저한 활성을 보였다. 더 나아가 아가리쿠스 $\beta$-glucan (AG)과 올리고당류 (AO)는 항암 활성을 가진 대체 의약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overy of Genes Epigenetically Altered by the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criptaid and Demethylating Agent 5-Azacytidine in Human Leukemia Cells

  • Park, Eun-Kyung;Jeon, Eun-Hyung;Kim, In-Ho;Park, Seon-Ya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8권4호
    • /
    • pp.185-193
    • /
    • 2010
  • Histone deacetylation and demethylation are epigenetic mechanisms implicated in cancer. Studies regarding the role of modulation of gene expression utilizing the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scriptaid and the demethylating agent 5-azacytidine in HL-60 leukemia cells have been limited. We studied the possibility of recovering epigenetically silenced genes by scriptaid and 5-azacytidine in human leukemia cells by DNA microarray analysis. The first group was leukemia cells that were cultured with 5-azacytidine. The second group was cultured with scriptaid. The other group was cultured with both agents. Two hundred seventy newly developed genes were expressed after the combination of 5-azacytidine and scriptaid. Twenty-nine genes were unchanged after the combination treatment of 5-azacytidine and scriptaid. Among the 270 genes, 13 genes were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control. HPGD, CPA3, CEACAM6, LOC653907, ETS1, RAB37, PMP22, FST, FOXC1, and CCL2 were up-regulated, and IGLL3, IGLL1, and ASS1 were down-regulated. Eleven genes associated with oncogenesis were found among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ETS1, ASCL2, BTG2, BTG1, SLAMF6, CDKN2D, RRAS, RET, GIPC1, MAGEB, and RGL4. We report the results of our leukemia cell microarray profiles after epigenetic combination therapy with the hope that they are the starting point of selectively targeted epigenetic therapy.

Biological Functions and Identification of Novel Biomarker Expressed on the Surface of Breast Cancer-Derived Cancer Stem Cells via Proteomic Analysis

  • Koh, Eun-Young;You, Ji-Eun;Jung, Se-Hwa;Kim, Pyung-Hwa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3권4호
    • /
    • pp.384-396
    • /
    • 2020
  • Breast cancer is one of the most common life-threatening malignancies and the top cause of cancer deaths in women. Although many conventional therapies exist for its treatment, breast cancer still has many handicaps to overcome. Cancer stem cells (CSCs) are a well-known cause of tumor recurrences due to the ability of CSCs for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to cell subpopulations, similar to stem cells. To fully treat breast cancer, a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both cancer cells and CSCs is required. However, current strategies for the eradication of CSCs are non-specific and have low efficacy. Therefore, surface biomarkers to selectively treat CSCs need to be developed. Here, 34 out of 641 surface biomarkers on CSCs were identified by proteomic analysis between the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 line MCF-7 and MCF-7-derived CSCs. Among them, 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s 6 (CEACAM6 or CD66c), a member of the CEA family, was selected as a novel biomarker on the CSC surface. This biomarker was then experimentally validated and evaluated for use as a CSC-specific marker. Its biological effects were assessed by treating breast cancer stem cells (BCSCs) with short hairpin (sh)-RNA under oxidative cellular condi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valuate the biological function of CD66c as a novel biomarker on the surface of CSCs. This marker is available as a moiety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targeted therapeutic agents against CS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