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CA analysis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9초

뇌경색 환자의 경동맥 내막 두께와 사속도맥파 검사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d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Waveforms in Ischemic Stroke Patients)

  • 강경화;김경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0-16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Intima-Media Thickness of common carotid artery(CCA-IMT) and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Waveforms(SDPTG). 38 subjec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were recruited from the patients admitted to Dong-Eui Medical Center from the June 2013 to January 2014. We assessed 38 patient's SDPTG data and CCA-IMT data by B Mode ultrasonography. then 38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CCA-IMT difference; CCA-IMT 〈 0.8 mm group(n=11), CCA-IMT $$\geq_-$$ 0.8 mm group(n=27). We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risk factor, blood test result, life style by CCA-IMT difference. As a result, Age, Hyperten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CA-IMT $$\geq_-$$ 0.8 mm group then in the CCA-IMT < 0.8 mm group. Regular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CA-IMT < 0.8 mm group then in the CCA-IMT $$\geq_-$$ 0.8 mm group.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CCA-IMT was hypertension, total cholesterol, age. and The result of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CCA-IMT and SDPTG is that e/a ratio, SDPTG AI were respectively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CA-IMT.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CCA-IMT and SDPTG in Ischemic Stroke Patients were founded. We suggest that further investigation with larger and better controlled tria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CA-IMT and SDPTG could contribute to better understand the effects of risk factors on atherosclerosis.

크롬-구리 화합물계(化合物系) 목재방부제(木材防腐劑)의 정착(定着) 및 용탈특성(溶脫特性) 비교(比較) (A Comparison of Chromium and Copper-Containing Waterborne Wood Preservatives for Fixing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 라종범;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66-72
    • /
    • 1995
  • The rate of fixation of the components were evaluated in CCA-Type B and CCFZ-treated radiata pine sapwood by quantitative analysis of solution expressed from the treated wood. The leaching characteristics of radiata pine blocks treated with CCA-Type B and CCFZ were also evaluated by the AWPA standard leaching test. Both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sistics of CCA-Type B were compared with CCA-Type C treated wood samples. The rate of CCA-Type B fixation was a little faster than that of CCFZ. However, significant amounts of arsenic was unfixed in the CCA-Type B treated samples and consequently leached. These significant quantities of arsenic liberated from the CCA-Type B treated wood during service may pose some environmental concerns. Arsenic was no longer detectable from CCA-Type C treated samples when fixation was complete, even though the fixation of CCA-Type C was slower in some degree than CCA-Type B. In summary, it could be said that CCFZ was much safer preservative than CCA-Type B by the criterion based on the relative hazard assessed by absolute amount of unfixed element present in the treated wood. Also the decision that CCA preservative has to move from Type B to Type C should be made sooner or later for continuous use of CCA preservative in the future.

  • PDF

CCA와 PSDA를 결합한 SSVEP 기반 BCI 시스템의 주파수 인식 기법 (Frequency Recognition in SSVEP-based BCI systems With a Combination of CCA and PSDA)

  • 이주영;이유리;김형남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139-147
    • /
    • 2015
  • Steady state visual evoked potential (SSVEP)는 뇌파의 종류 중 하나로서 다른 뇌파에 비해 훈련 시간이 짧고, 비교적 높은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와 높은 정보전달량 (information transfer rate)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에 뇌-컴퓨터 접속 장치 (brain-computer interface; BCI)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SSVEP 신호를 분석하는 기존 기법에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분석 (power spectral density analysis; PSDA)과 정준상관분석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이 있다. 그러나 PSDA는 단일 전극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잡음에 취약한 단점이 있고, CCA는 PSDA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지만 사인-코사인을 기준 신호로 가지므로 짧은 시간 윈도우 길이를 가질 경우 실시간 BCI 시스템에 적용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법들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CCA의 결과로 얻을 수 있는 정준변수 간의 전력차이를 이용하는 CCA와 PSDA를 결합한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해, SSVEP 기반 BCI 시스템이 짧은 시간 윈도우 길이를 가질 때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CCA 기법에 비해 더욱 높은 주파수 인식 정확도를 가짐을 보여준다.

New Energy Efficient Clear Channel Assessment for Wireless Network

  • Shin, Soo-Young;Ramachandran, Iyappan;Roy, Sumit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8호
    • /
    • pp.1404-1422
    • /
    • 2011
  • In this paper, a new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method: cascaded-CCA, is proposed. The primary motivation for the proposed approach is to integrate the respective advantages of two standard CCA mechanisms, energy detect and preamble detect, to arrive at a new dual threshold CCA family that can provide greater flexibility towards tuning MAC performance. Cascaded-CCA integrates energy efficiency of the energy detector (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preamble detector (PD). The probability of detection/false alarm and power consumption of cascaded-CCA in the CCA modules of IEEE 802.11b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ED and PD as an example. The performance of cascaded-CCA is explored via MATLAB simulations that implement the CCA modules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IEEE 802.11 and IEEE 802.15.4.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cascaded-CCA improves the energy efficiency significantly compared to ED-only or PD-only CCA. In addition, ED, PD, and cascaded CCA are applied to a cognitive network scenario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ascaded-CCA.

오믹스 자료를 이용한 정준방법 비교 (A comparison study of canonical methods: Application to -Omics data)

  • 이승수;민은정
    • 응용통계연구
    • /
    • 제37권2호
    • /
    • pp.157-176
    • /
    • 2024
  • 생명현상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위한 융합분석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나의 연구대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하여 얻게 되는 여러 데이터의 융합분석은 통해 좀 더 대상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특히 하나의 샘플에서 두개의 고차원 데이터가 생성된 경우 다룰 수 있는 분석인 공관성분석과 정준상관분석을 비교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의 경우 고차원 데이터를 다룰 수 없는 단점이 있기에, 해당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능형상수를 이용하는 방법(CCA-ridge)과 각 데이터의 공분산행렬을 항등행렬로 가정하여 벌점화 특이값분해를 이용한 방법(CCA-PMD) 두 가지를 고려하였으며 각 방법을 NCI60 세포주 패널에서 얻은 RNA 시퀀싱 데이터와 단백질 시퀀싱 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정준상관분석의 경우 두 정준변수간의 상관관계에 좀 더 집중하는 반면 공관성분석은 각 데이터의 선형조합간의 상관관계뿐 아니라 각 선형조합의 변동성을 함께 고려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관성분석의 경우 여러가지의 가중치행렬을 고려하여 그 결과값을 비교하고 중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은닉 노드와 CCA 지연 알고리즘이 IEEE 802.15.4 네트워크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Hidden Nodes and CCA Deferment Algorithm on IEEE 802.15.4 Performance Using ns-2 Simulator)

  • 이강우;현규완;신연순;안종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3호
    • /
    • pp.393-40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의 성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ns-2에 추가한 두 가지 기능을 소개한다. 첫째는 전체 노드의 수와 은닉 노드의 수가 정해짐에 따라 노드들의 배치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은닉 노드 배치 방안과 은닉 노드로 인한 신호 충돌을 구별하는 방안이다. 둘째는 2003 표준만 구현되어 있는 현재의 ns-2 2.33 버전에 2006 표준에 기술된 CCA 지연 처리 방안을 구현하였다. 기능이 확장된 ns-2를 이용하여, 802.15.4 네트워크의 성능에 은닉 노드와 CCA 지연에 대한 처리 방안이 미치는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 은닉 노드가 없을 때에 비하여 은닉 노드가 단 하나 존재할 때 네트워크 처리량이 약 66% 감소하며, 충돌율은 65%에서 90%로 급증한다. CCA 지연 처리 알고리즘의 2003 표준과 2006 표준에 따르면, 충돌 확률은 약 19%까지 차이를 보이고, 처리량은 약 38% 차이를 보이며 2006 버전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다변량 금융시계열의 변동성 분석 (Multivariate Volatility Analysis via Canonical Correlations for Financial Time Series)

  • 이승연;황선영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139-1149
    • /
    • 2014
  • 다변량 금융시계열의 변동성분석을 다변량 기법인 정준상관분석(canonocal correaltion analysis)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변동성의 특성상 계수들이 비음(non-negative)인 정준상관분석, 즉, non-negative and spars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NSCCA)를 이용해 보았다. 본 논문은 다변량 시계열의 변동성 커브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제시된 방법론을 이변량 주식자료분석을 통해 예시해 보았다.

개선된 정준상관분석을 이용한 신호 분리 알고리듬 (Improved Blind Signal Separation Based on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 강동훈;이용욱;오왕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4호
    • /
    • pp.105-110
    • /
    • 2012
  • 정준상관분석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은 두 변수집단 사이의 선형 관계를 측정하는 확률적 분석 기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다수의 신호가 혼재되어 수신된 신호로부터 각각의 신호원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 CCA와 자기회귀(auto regressive) 기법을 이용하여 혼재된 신호를 분리하는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신호원 분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높은 신호 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회귀 기법의 파라미터 계산시 잡음성분이 포함되어있는 자기공분산 행렬의 주대각 원소를 제거하여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하여 신호원 분리 성능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에 제안된 CCA와 자기회귀을 이용한 신호 분리 기법에 비하여 더 우수한 신호 분리 성능을 보일 뿐 만 아니라 신호원 분리 과정에서 요구되는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로그-합 규준화와 정준형 상관 분석을 이용한 시간 지연 추정에 관한 연구 (A time delay estimation method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log-sum regularization)

  • 임준석;편용국;이석진;정명준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9-284
    • /
    • 2017
  • 음원 위치 추정은 여러 방면에서 쓰임이 있는 응용 기술이다.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기본 기법 중에는 시간 지연 추정 기법이 있다. 이 기법에선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에 들어오는 신호간의 상대적 시간 지연을 알아내야 한다. 시간 지연 추정 기법에는 일반화 된 상호 상관(Generalized Cross-Correlation, GCC) 대표적이지만, 정준형 상관 분석(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을 이용한 방법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 지연 추정용 정준형 상관 분석의 고유벡터의 희소성을 이용하기 위해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로그-합(log-sum) 정규화를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여러 신호 대 잡음비 환경 하에서 비교 모의실험을 하였고, 이 비교 실험을 통하여 얻는 데이터를 통해서 제안한 새 정준형 상관 분석 기반 알고리즘이 이전의 정준형 상관분석 기반 알고리즘이나 기존 GCC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보인다.

Community Participation in Cholangiocarcinoma Prevention in Ubon Ratchathani, Thailand: Relations with Age and Health Behavior

  • Songserm, Nopparat;Bureelerd, Onanong;Thongprung, Sumaporn;Woradet, Somkiattiyos;Promthet, Supann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375-7379
    • /
    • 2015
  • A high prevalence of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is usually found in wetland geographical areas of Thailand where people have traditional behavior of eating uncooked freshwater fish dishes which results in cholangiocarcinoma (CCA) development. There were several approaches for reducing opisthorchiasis-linked CCA, but the prevalence remains high. To develop community participation as a suitable model for CCA prevention is, firstly, to know what factors are related. We therefore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ommunity participation in CCA prevention among rural residents in wetland areas of Ubon Ratchathani, Thailand. This was a cross-sectional analytic study. All participants were 30-69 years of age, and only one member per house was invited to participate. A total of 906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parameter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behavior to prevent CCA.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mmunity participation for CCA preven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uted as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sociations were assess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P-value <0.05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all the participants, more than 60% had regular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to prevent CCA following health officials advice. Age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CCA were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for CCA (p<0.001). Both factors wi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community participation approaches for CCA prevention through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AR) in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