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PINUS LAXIFLORA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1초

주왕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분석 -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Chuwang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Ijontong Cholto -)

  • 이경재;최송현;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6
    • /
    • 1995
  • 주왕산국립공원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4개소에 조사구(각 l0$\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24개 조사구는 DCA에 의해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생강나무군집, 까치 박달-당단풍군집, 그리고 고로쇠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삼림군집구조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충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까치박달, 서어나무, 고로쇠나무로, 아교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토지극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보였다.

  • PDF

토양깊이에 따른 울산대공원 소나무군집구조 비교 (Comparison of the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by Soil Depth in Ulsan Grand Park)

  • 이경재;한봉호;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9-159
    • /
    • 1997
  • 울산대공원 산림의 토양깊이에 따른 식물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소나무림에 11개 조사구(10m*10m)를 설정하고 TWINSPAN과 DCN기법을 이용하여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N분석결과 토심이 깊은 군집(군집 A)과 토심이 얕은 군집(군집 B)으로 분리되었다. 군집 A는 기후극상의 생태적 천이 특성을 보여 천이단계가 소나무$\$\longrightarrow$ $굴참나무, 밤나무, 굴피나무$\$\longrightarrow$ $서어나무로 진행되고 있었으나, 군집 B는 토지극상의 특징을 갖는 소나무림이었다. 수고 생장에서도 차이를 보여 군집 A는 수령 30년생 표본목의 수고가 8.50m이었고 군집 B는 수령 35년생의 수고가 3.80m이었다. 토양특성과 종다양성지수에서도 군집 A가 군집 B보다 양호하였다.

  • PDF

내장산국립공원 식물경관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I))

  • 이규완;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0-67
    • /
    • 1993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and structure of the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plant distribution was investigated using a field survey. There were 72 sites sampled using the clumpled sampling method. The data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was analyzed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Bray-Curtis metho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The ordination of DCA and RA was used for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uccessional tre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Quercus.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s 21.76(16.49$\textrm{km}^2$), was the largest community in the actual vegetation of the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dex 8 area covered 64.8% of the study area and the index 6 area did 16%. 2. Classified by the ordination of DCA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the plant community was divided into seven groups according to the altitude and forming groups; Chamaecy Paris. 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Q.variailis community, T.nuciofera-A.palmatum community. 3. Ther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indices of C.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appeared low but C.laxiflora communitywhich was the most stable community in the study area. 4. The similarity indices between Q.variabilis community and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 were calculated 58.84%, but those between other communities were comparatively low level. 5. The successional trends of DBH class seem to be from C. pisifera-P.densiflora community, P.densiflora community to Quercus species community and from Q.variabilis community,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 to Carpinus species community. 6. Results suggested that the successional trends in Naejangsan National Park; P.densiflora community\longrightarrowQ.variablilis community, Q.serrata-Q.variabilis community\longrightarrowC.laxiflora community in sequence.

  • PDF

내장산국립공원 식생경관의 군집모형에 관한 연구(II)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II))

  • 이규완;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00
    • /
    • 1994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or speci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vegetation landscape in Naejangsan National Park.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ordination of DCA and CCA. The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pecies composition status by the layer and the growth characterisics of the following vegetations ; Torreya nucifer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 Acer palmatum community, Q. variabilis community, Q. variabilis - Sasa purpurascens community and Daphniphyllam macropodum commun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relationshkp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ordination and environmental variables showed that the soil pH, the ammount of AV-P2O5 and the ammount of C.E.C. tend to increase while Pinus densiflora community changes to Q. variabilis - Q. serrata community and finally Carpinus laxiflora species community siginigicantly. The relation between the stand scores of CCA ordination and several enviromental variables suggested that the species of C. laxiflora and C. tschonoskii the species of Q. cariabilis and Q. serrata the species of C. pisifera, P. densiflora and Q. aliana in sequence grows in more fertile soil. 2.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 nucifera community showed, reproduction did not increase, and the characteristic of growth was not affected. The result is shown in the growth curve that was damaged by the climate and the human interference. 3. The A. palmatum was found to be as minor species in the middle layer and the crown areas did not have sufficient crown. 4.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Q. variabilis community and Q. variabilis - S. purpurascens community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in the growth and number of species. 5. D. macropodum which constituted the dominance species in the middle layer had a nomal growth curve, and then the successional trend of D. macropodum species seems to be located in the climax species.

  • PDF

한라산 황칠나무 집단의 구조 및 생육동태 (Population Structure and Growth Dynam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Araliaceae) in Mt. Halla)

  • 김세현;정헌관;장용석;김선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8-256
    • /
    • 2004
  • 천연도료 황칠자원을 보전하고 육성하기 위한 육종계획의 일환으로 한라산 황칠나무 천연집단의 식생구조, 공간분포 및 생육동태 등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중요치(Ⅳ)가 높은 수종은 구실잣밤나무, 서어나무, 황칠나무, 종가시나무, 가시나무, 동백나무, 당단풍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 모든 조사구에서 공통적으로 출현한 수종은 구실잣밤나무와 서어나무 2종이었다. 층위별 황칠나무의 적산중요치는 상층에서 17.2%, 중층 12.9%, 하층 10.3%로 비교적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분포형은 상층, 중층, 하층에서 확률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칠나무 임분은 낙엽활엽수인 서어나무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에서 종가시나무, 구실잣밤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를 우점으로 하는 군집으로 진행되는 천이단계에 있었으며, 황칠나무는 이들 임분에서 주로 상층의 아우점종이거나 중층의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Morisita's index를 통한 공간분포는 치수(seedling)와 어린개체 (sapling)들은 대체로 모수로서 추정되는 성숙목으로부터 떨어진 곳에 집중분포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성숙목(Mature tree)은 규칙 분포하는 양상이었다. 결론적으로, 황칠나무는 다른 상록활엽 수들과 동반하여 집단 확산이 일어나며 , 집단의 확산을 위한 치수의 발생과 생장에 있어서 주변의 임분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체군의 동태를 예측한 결과, 낮은 직경급의 밀도가 높고 높은 직경 급의 밀도가 낮은 전형적인 역J자형 분포를 보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따른 서어나무 16년 저장 종자의 휴면타파 및 발아촉진 효과 (Effects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Dormancy-breaking and Germination Promotion of Carpinus laxiflora Seeds Stored for 16 Years)

  • 한심희;구자정;김두현;임효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4호
    • /
    • pp.531-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15년 이상 장기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의 활력 평가와 동시에, 서어나무 종자의 휴면 원인 제거와 재생률 개선을 위한 최적 전처리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서어나무 종자는 2000년 10월에 채집하여 16년간 -18℃에 냉동 보관되었던 것을 사용하였다. 종자의 재생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은 대조구, 온습 처리구(23℃에서 30일간), 냉습 처리구(4℃에서 30, 45, 60, 120일간), 호르몬 처리구(100, 500, 1000, 2000, 3000 mg·L-1의 GA3 용액에 24시간 침지), 냉습과 호르몬 병행 처리구(4℃에서 30일간 냉습 처리 후, 100, 500, 1000 mg·L-1 GA3 용액에 24시간 침지)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무처리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2%였고, 온습 처리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10%였다. 냉습 처리한 종자는 45일간 처리에서 가장 높은 81%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120일 냉습 처리한 종자는 가장 낮은 67.3%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지베렐린 처리된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77%(100 mg·L-1)에서 99%(1000 mg·L-1)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처리 농도 간 통계적으로 차이가 뚜렷하였다. 지베렐린 처리 효과는 500 mg·L-1과 1000 mg·L-1에서 가장 높았으며, 100 mg·L-1에서 가장 낮았다. 냉습 처리 후 지베렐린을 병행 처리 한 종자의 평균 발아율은 68%로, 냉습 단독 처리(73.2%)와 지베렐린 단독 처리(88.4%)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네 가지의 처리에 따른 서어나무 종자의 발아 특성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평균 발아율이 가장 높은 지베렐린 500 mg·L-1 전처리가 장기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의 재생을 위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즉, -18℃에서 16년간 저장된 서어나무 종자는 높은 활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적절한 전처리를 하면 재생할 수 있다.

치악산국립공원의 식생 (Veget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in Gangwon, Korea)

  • 송홍선;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6-365
    • /
    • 2007
  •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현존식생 및 종조성표 분류법과 배열법의 군집분류법을 적용하여 치악산국립공원 구역의 식생천이 경과에 따라 변화된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하였다. 현존식생은 신갈나무림(33.1%)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혼효림(16.2%), 일본잎갈나무림(15.6%), 낙연활엽수림(14.7%), 소나무림(11.1%), 잣나무림(2.3%), 리기다소나무림(0.1%)순이었다. 식생은 당단풍-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까치박달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및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당단풍-신갈나무군락은 하위단위 군락으로 서어나무-조릿대군락, 물푸레나무군락, 노린재나무-대사초군락이 구분되었다. 종조성표의 분류법과 배열법의 식물군락 분류는 유사하였다. 식생천이는 산중턱 이상에서 신갈나무(교목층)-당단풍(아교목층)-철쭉(관목층)이 결합하여 극상림을 이룰 것으로 예측되었다.

소거문도 식물상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the Flora of Sogumoon Island)

  • Lee, Il Koo;In Tack Kim;Jong-Hong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1_2호
    • /
    • pp.8-24
    • /
    • 1981
  • 1) 1965년 7월부터 1980년 8월까지 6회에 걸쳐 소거문도의 식물을 조사한 결과 유관동식물니 총 104과 322속 455종 50변종으로서 소나무는 볼 수 없었고 곰솔이 우점종이었으며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가마귀쪽나무등의 상록활엽수와 자귀나무, 소사나무, 서어나무, 예덕나무, 누리장나무 등 낙엽활엽수와의 혼효림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2)상록활엽수는 총 68종으로 남해 도서지방에서 보길도 64종과 더불어 가장 많은 종수를 지니고 있다. 3) 본도의 식물자원은 야생식용식물, 약용식물등 총 203종이고 상록활엽수는 정원수나 조경식물로 상록초본은 관엽식물 자원으로 중요하다. 4) 본도의 식물상 파괴는 연료를 위한 채취나 소나 염소의 방목에 의한 것이므로 후박나무, 자금우, 모람, 남오미자, 굴거리, 회양목 등 상록활엽수의 보호에 힘써야겠다. 5) 본도는 회양목, 천성과나무, 후박나무, 남오미지, 자금우, 호자덩굴 등의 자생지로 군락보존에 힘써야 겠다.

  • PDF

內延山 一帶 森林植生의 群落分類에 關한 硏究 (A Study on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Naeyeon)

  • 윤충원;이병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83-91
    • /
    • 2002
  • 내연산의 삼림식생을 대상으로 ZM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군락단위 및 그 하위 단위를 분류하고, 분류된 각 단위와 환경사이의 상관관계를 서열법으로 해석하여 내연산 산림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군락단위는 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이 구분되었고, 하위단위는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 굴참나무군락에서 우산나물군, 털조록싸리군 및 찰피나무군, 느티나무군락에서 까치박달군과 고욤나무군이 각각 세분되었다. 따라서 내연산 일대의 산림은 5개군락, 7개군으로 총 9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CCA 방법으로 식생과 환경사이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내연산 지역의 식생단위는 해발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갈나무군락의 철쭉꽃군과 참회나무군은 해발고와 지형이 높은 곳과 노암율이 낮은 곳에 각각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느티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과 역의 관계로 나타났다. 앞으로 산림식생관리시 특히 계곡림에 대해서는 교목층의 우점종들이 상관적으로 이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더라고 하나의 관리단위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덕유산국립공원 남사면과 북사면의 식생 비교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김현숙;이상명;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01-610
    • /
    • 2010
  •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남 북사면 산림 식생을 TWINSPAN으로 분류하고 DCCA ordination으로 분석한 결과, 남사면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및 들메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북사면에서는 신갈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물박달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거제수나무군락, 구상나무군락 및 주목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사면별 중요치를 남사면에서는 103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북사면에서는 137개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가 남 북사면 모두에서 높은 중요치를 보였고 남사면에서는 신갈나무 다음으로 소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쪽동백나무, 당단풍 순으로 나타났다. 북사면에서는 신갈나무 다음으로 들메나무가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당단풍, 졸참나무, 서어나무, 층층나무, 까치박달, 철쭉꽃 순으로 나타났다. 남 북사면에서 군락 간에는 종조성 및 생태적 특징에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해발고도와 수분요소가 남 북사면에서 모두 군락의 분포와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에 남사면에 서는 T-N, O.M., Ca 양료와 pH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북사면에서는 Ca 양료와 pH도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