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Chuwang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Ijontong Cholto -

주왕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분석 -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문리과대학 조경학과) ;
  • 최송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조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1995.0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forest structure in Ijontong Cholto area, twenty four plots were set up (each l0$\times$10m )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rdination by DCA, community divided into 5 groups. The divided groups are Quercus serrata -Q. valiabilis community(I), Q. serrata - Pinus densiflora community(II), Q.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community(III), Carpinus laxiflora - Acer pseudo-sieboldianum community(IV) and Acer mono community(V). So the successional trends seems to be from P. densiflora through Q. serrata, Q. valiabilis, Q. mongolica to C. laxiflora, C. cordata, A. mono in canopy layer. And in the subtree and shrub layer, it was expected that from Rhododendron mucronulatum, Rh. schlippenbachii to A. pseudo-sieboldianum, L. obtusiloba. But some sites were likely to become Q. mongolica edaphic climax.

주왕산국립공원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24개소에 조사구(각 l0$\times$10m)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TWINSPAN과 ordination기법의 일종인 DCA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24개 조사구는 DCA에 의해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졸참나무-소나무군집, 신갈나무-생강나무군집, 까치 박달-당단풍군집, 그리고 고로쇠나무군집의 5개 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삼림군집구조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충에서 소나무$\longrightarrow$졸참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longrightarrow$까치박달, 서어나무, 고로쇠나무로, 아교목층에서는 진달래, 철쭉$\longrightarrow$당단풍, 생강나무 순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토지극상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