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80

검색결과 10,303건 처리시간 0.043초

80C196KC의 개념이해를 위한 교육 컨텐츠 제작 (The Implementation of multimedia education contents for understanding 80C196KC)

  • 김현규;곽도화;김영지;최완선;전흥구;최관순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2-275
    • /
    • 2003
  • 웹은 이제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 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웹을 이용하여 중요한 정보를 얻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콘텐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학습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콘텐츠도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개발은 교육 및 훈련이 쉽고, 원하는 시간에 반복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0C196KC를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Flash와 Java를 이용해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였다.

  • PDF

80C196KC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 알고리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Over-Current Relaying Algorithm Using 80C196KC)

  • 김형규;이봉현;강상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495-496
    • /
    • 2007
  • An Over Current Relayng algorithm using 80c196kc micro processor was realized in this paper. This OCR Algorithm was verified with simulated fault signal. The fault signal was made by EMTP and realized by DOBLE to compare H/W test with S/W test. This simulations showed similar result between H/W and S/W test.

  • PDF

80C196KC를 이용한 변압기 보호 계전기 (Ratio Differential Relay Using 80C196KC Microprocessor for Transformer Protection)

  • 황용연;최창영;강상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505-506
    • /
    • 2007
  • A ratio differential relay using 80C196KC microprocessor was developed in this paper. The internal faults, external faults and inrush were simulated by EMTP. The performance of developed relay was verified with software and hardware simulation.

  • PDF

버어리종 담배건조시 급건엽 발생방지에 관한 연구 I. 온습도의 영향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Excessive Drying Leaves during Burley Tobacco Curing I. Effect of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on the Production of Excessive Drying Leaves)

  • 배성국;임해건;추홍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0-425
    • /
    • 1986
  • Br, 21을 공시하여 급건엽이 발생하는 환경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온습도를 시험 I과 II로 구분하여 시험 I은 주간의 온습도를 달리하고 야간은 휴건하였으며, 시험 II는 황변 이후에 주야간 동일한 온습도를 건조상 내에서 각기 달리 조사하여 처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급건엽발생은 고온 저습에 의해 과도한 탈수로 발생되었다. 2. 야간은 휴건하고 주간은 습도 75~80%일 때35$^{\circ}C$ 이하에서는 급건엽이 거의 기생되지 않았다. 3. 주야간 온습도가 일정할 경우 3$0^{\circ}C$는 75~80%, 35$^{\circ}C$는 80~85%, 4$0^{\circ}C$는 85~90%로 온도가 상승할수록 습도를 더 높여야 급건엽이 발생되지 않았다. 4. 급건엽발생이 많을 수록 물리성이 불량하였고, 내용성분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았다.

  • PDF

버즈풋 트레포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치사온도 결정 (Determination of Heat Killing Temperature of Birdsfoot trefoil and Italian ryegrass)

  • 김기용;최영진;임용우;성병렬;이상진;양주성;한범수;김종범;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1-346
    • /
    • 2004
  • 버즈풋 트레포일(Lotus corniculatus L.)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trum L.) 의 치사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각 "Au Dewey"와 국내 육성품종인 "화산 101호" 품종을시험재료조 하여 종자를 Petri dish에서 발아시켜 작은 화분에 10 개체씩 이식, 생장실에서 4주간 재배하였다. 45, 50 및$ 55^{\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는 60분간 처리했을 때에도 거의 식물체손상이 없었다. $60^{\circ}C/60$분 처리에서는 잎이 약간 시든 듯한 현상이 있었으며, $65^{\circ}C/60$분 처리에서도 식물체의 심한 손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70^{\circ}C/60$분 처리에서 BFT의 일부에서 잎이 조금 마른 현상이 나타났고, IRG는 줄기 이외의 잎 부분이 거의 마른 상태가 되었지만 치사 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80^{\circ}C$에서 처리한 BFT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60분 처리에서 잎이 심하게 시든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6일에는 60분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5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80^{\circ}C$에서 처리한 IRC는 처리 후 1일 이내에 20분 이상 처리에서 거의 죽어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처리 후 7일에는 20분 이상의 처리에서 모두 죽었으며, 15분 이하의 처리에서는 심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새로운 shoot가 재생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버즈풋 트레포일의 치사온도는 $80^{\circ}C/60$분,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치사온도는 $80^{\circ}C/20$분으로 결정되었다. 다른 연구에서 형질전환 버즈풋 트레포일 및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만들 경우, 형질전환체의 고온 내성을 간단하게 검정하는 방법으로 이상의 치사온도 결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출온도에 따른 이팝나무 과육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Chionanthus retusus flesh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 최해심;이양숙;서수정;김남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29-1137
    • /
    • 2017
  • 민간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활용도가 낮은 이팝나무 성숙열매 과육의 산업적 활용 증진을 위하여 상이한 추출조건(실온 $25^{\circ}C$, $80^{\circ}C$, $110^{\circ}C$)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된 이팝나무 과육 3가지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화합물은 환류추출기를 이용한 80W에서 72.71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가압열수 추출기를 이용 110W 추출물에서 7.608 mg/g을 함유하였다. 수용성 단백질과 환원당의 함량도 110W에서 각각 4.93 mg/g과 46.77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다. DPPH radical 소거율은 1.0 mg/mL에서 모든 추출물이 92% 이상의 소거율을 보였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10W가 88.67%였으며, 80W(87.49%)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110W가 66.16%였으며, pH 3.0에서는 80W에서 37.86%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및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에서도 추출온도가 가장 높은 110W에서 각각 14.95%와 59.4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온도에 따른 이팝나무 과육의 미백효과를 알아보고자 tyrosinase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환류추출기를 이용한 80W 추출물이 35.31%로 비교적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Collagenase에 대한 저해효과는 1.0 mg/mL에서 110W가 37.78%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elastase 저해활성은 80W 20.39%, 110W 20.33%로 유사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든 실험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온보다는 높은 온도에서 추출한 이팝나무 과육 추출물에서 유용성분의 함량과 생리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해져 다양한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팝나무 과육은 기능성 식품 및 제품을 위한 천연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응표면 분석을 이용한 오미자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원영;최시영;이보수;박주석;김미자;오상룡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2-258
    • /
    • 2006
  • 오미자를 이용하여 음료 제조를 하기 위한 오미자 추출의 최적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응 표면 분석을 이용하였다. 각각의 반응표면분석 결과 고형분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이상 온도, $7{\sim}8$시간, 총산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75^{\circ}C$의 온도, $6{\sim}7$시간, 페놀성 화합물은 25배의 용매비, $80^{\circ}C$의 온도, $6{\sim}7$시간, 환원당은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 이상의 온도, $6{\sim}8$시간, 비타민 C는 25배 이상의 용매비, $80^{\circ}C$의 추출 온도와 $5{\sim}6$시간의 추출조건에서 최적의 추출조건을 나타내었고, 탁도의 경우는 7시간에서 $60^{\circ}C$이상, 용매비는 25배 이상일 때 탁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간을 6시간으로 고정하여 각각의 추출조건에 따른 특성을 알아본 결과 Fig. 3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타민 C, 환원당, 페놀성 화합물, 그리고 가용성 고형분의 함량은 높고, 음료 제조 시에 강한 신맛을 주어 제조된 음료의 기호도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총산의 양은 적은 지점을 임의적으로 정하여 최적 추출 조건으로 선정하였으며, 이 범위의 온도는 $65^{\circ}C$, 용매비는 25배로 예측한 결과 가용성 고형분은 2.2%, 비타민 C는 530 mg/g, 환원당은 479 mg/g, 페놀성 화합물은 260 mg/g, 총산의 함량은 190 mg/g, 탁도는 1.18 (O.D)로 나타났다. 결정한 최적 추출조건에서 오미자를 추출한 결과 고형분 1.9%, 비타민 C 451mg/g, 환원당 397 mg/g, 페놀성 화합물 260 mg/g, 총산의 함량 170mg/g, 탁도 1.20 (O.D)와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반응표면분석에서 예측한 것과 다소간의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다.

TMS320C80(MVP)과 markov random field를 이용한 영상해석 (Image analysis using a markov random field and TMS320C80(MVP))

  • 백경석;정진현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722-1725
    • /
    • 1997
  • This paper presents image analysis method using a Markov random field(MRF) model. Particulary, image esgmentation is to partition the given image into regions. This scheme is first segmented into regions, and the obtained domain knowledge is used to obtain the improved segmented image by a Markov random field model. The method is a maximum a posteriori(MAP) estimation with the MRF model and its associated Gibbs distribution. MAP estimation method is applied to capture the natural image by TMS320C80(MVP) and to realize the segmented image by a MRF model.

  • PDF

TMS320C80 프로세서에 적합한 Multimedia OS 사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ecifications of Multimedia OS fitting with TMS320C80 Processor)

  • 장석우;박인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3-506
    • /
    • 1998
  • 본 논문은Multimedia video processor로써 멀티미디어 데이터, 특히 비디오데이타 처리에 적합?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서이다. TMS320C80에 Multimedia OS를 사용할 경우에 효율성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영상처리를 3가지 방법으로 수행시켜 그 결과를 비교한다. 채택한 영상처리로 DCT와 2차 Laplacian을 채택하였고 이를 적용하는 방법은 첫째, 일반적인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과 둘째 기본으로 제공되는 kernel의 규약을 따르는 방법, 셋째로 OS모델을 따르는 경우의 방법으로 연산한다. 이 결과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경우의 순서로 효율이 높은 결과를 얻었다. 이는 구현 방법이 복잡한 응용에 사용되어질 경우, OS모델이 우수할 것임을 반증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TMS320C80에 적합한 task managing 부분의 OS kernel model을 제시한다.

  • PDF

TMS320C80시스템에서 Radon 변환의 병렬 구현 (Parallel Implementation of Radon Transform on TMS320C80-based System)

  • 송정호;성효경최흥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7-730
    • /
    • 199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parallel Radon transform on TMS320C80-based system. For an N$\times$N SAR image, we can obtain O(NM/p) of the conventional parallel Radon transform, by representing the projection patterns in Radon space variables instead of the image space variables, and pipelining the algorithm, where p is the number of processors and M is the number of projection angles. Also, we can reduce the time for the dynamic load distribution among the nodes and the communication overheads of accessing the global memories, by pipelining the memory and processing operations by using tripple buffer structure. Experimental results show an efficient parallel Radon transform of speedup Sp=3.9 and efficiency E=97.5% for 256$\times$256 image, when implemented on TMS320C80 composed of four parallel slave processors with three memory block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