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7

검색결과 37,324건 처리시간 0.056초

공액 이중 결합을 갖는 Adenosine과 Uridine 유사체의 합성 (Synthesis of Adenosine and Uridine Analogues Containing Conjugated Diene)

  • 노봉오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12-317
    • /
    • 2001
  • 7'-Aldehyde-nucleoside 유사체(2a, 2c)을 6-N-benzoyl-2',3'-O-isopropylideneadenosiner과 uridine으로부터 합성하였다. 2와 Wittig reagent인 ethoxycarbonylmethylene을 축합시켜 ethoxycarbonyl group을 갖는 탄소수를 증가시킨 공액 이중 결합을 지닌 nucleosi de 유사체, ethyl-1',5',6',7',8'-pentadeoxy-1'-(adenin-9-yl)-$\beta$-D-ribo-nnona-5'(E).7'(E)-dienofuranuronate(4b), ethyl-1',5',6',7',8'-pentadeoxy-1'-(uracyl-1-yl)-$\beta$-D-ribo-nona-5'(E),7'(E)-dienofuranuronate(4c)을 얻었다. 또한 2와 CBr4, Ph3P을 반응시켜 공액 이중 결합을 지닌 9-[8',8'-dibromo-5',6',7',8'-tetradeoxy-$\beta$-D-ribo-octa-5'(E),7'(E)-diene]nucleosides (6b,6c) 유사체를 각각 합성하였다.

  • PDF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의 결정화 및 입도분포 특성 (Reactive Dye(RB-8, RB-49, RR-218) in Crystallization and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Density)

  • 한현각;이종훈;인대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2호
    • /
    • pp.198-203
    • /
    • 2012
  • 염석결정화 방법으로 염료용액으로 부터 염료를 결정화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의 모액의 용해도와 결정화 속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연속식 결정화기에서 반응성 염료(RB-8, RB-49, RR-218)에 대한 결정화 속도식 RB-8에서 결정성장 속도 $G=7.1{\times}10^{-4}{\Delta}C^{0.67}$와 핵생성 속도 $B^0=3.1{\times}10^{15}{\Delta}C[1.2{\times}10^{-8}+{\Delta}C^{0.7}M_T{^2}]$이고 RB-49는 결정성장 속도 $G=5.2{\times}10^{-4}C^{0.3441}$와 핵생성 속도 $B^0=7.2{\times}10^{15}{\Delta}C[3.3{\times}10^{-8}+({\Delta}C)^{0.7}M_T{^2}]$, RR-218의 결정성장 속도 $G=4.4{\times}10^{-4}C^{0.2361}$와 핵생성 속도 $B^0=6.3{\times}10^{15}{\Delta}C[7.9{\times}10^{-8}+({\Delta}C)^{0.7}M_T{^2}]$의 실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특성 곡선 법을 적용하여 입도분포를 계산한 결과 실험식과 일치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성 모델시스템 내에서의 상업적 ${\gamma}$-Oryzanol의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효과 (Commercial ${\gamma}$-Oryzanol Inhibits the Formation of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OCDs) in an Aqueous Model System during Cholesterol Autoxidation)

  • 김주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2008
  • 미강 추출 상업용 유통 감마오리자놀의 콜레스테롤 자동산화에 의한 C-7 산화 콜레스테롤 유도체 생성 저해 효과가 수용성 모델 시스템을 이용하여 검토되었다. C-7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C-7 oxidized cholesterol derivatives: C-7 OCDs) 생성을 위해 콜레스테롤과 감마오리자놀이 분산된 수용성 모델시스템은 구리이온을 촉매로 pH 5.5와 $80^{\circ}C$의 가혹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반응되었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C-7콜레스테롤 산화 유도체 (7-ketocholesterol, 7{\alpha}$-hydroxy-cholesterol과 7b-hydroxycholesterol)의 생성 정도와 감마오리자놀 및 콜레스테롤 변화 추이 정도가 핵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과 고속 액체크로마토그래프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테크닉을 이용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콜레스테롤 산화 유도 기간에 따른 7-ketocholesterol 생성비율은 7-hydroxycholesterol 이성체 (${\alpha}$-형:${\beta}$-형) 대비 약 2:1의 비율로 생성되었으며, 7-hyoxycholesterol 이성체에 있어서는 ${\alpha}$-형 대비 ${\beta}$-형의 생성 정도가 약 1:2의 비율로 나타났고, 총 C-7 산화콜레스테롤의 생성은 상대적인 고농도(300 ppm) 감마오리자놀 처리 모델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저해되었다.

숙성온도(熟成溫度)에 따른 김치의 비휘발성(非揮發性) 유기산(有機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s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 김현옥;이혜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4-81
    • /
    • 1975
  •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를 ion-exchange chromatography로 총유기산(總有機酸)을 분리(分離)하고, silicic acid partition column chromatography로 각유기산(各有機酸)으로 분리(分離), 정량(定量)한 후(後) paper chromatography로 정성확인(定性確認)하였다. 생(生)배추,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maleic, fumaric, lactic, succinic, malonic, oxalic, glycolic, malic, citric, tartaric acid 의 유기산(有機酸)과 $H_2SO_4$, $H_3PO_4$ 의 무기산(無機酸)이 들어 있다. 생(生)배추에는 유기산(有機酸)이 염(鹽)의 형태(形態)로 많이 들어 있으며, malic acid가 가장 많고,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lactic acid+succinic acid 가 가장 많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에는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이 많으며, citr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비슷하고, oxalic, malic, tartaric, fumaric, malonic, maleic, glycolic acid 의 생성량(生成量)은 적다. $6^{\circ}{\sim}7^{\circ}C$ 숙성(熟成)김치가 $22^{\circ}{\sim}23^{\circ}C$ 숙성(熟成)김치보다 더 상큼한 산미(酸味)가 많고 맛이 좋으며 이는 많이 생성(生成)된 lactic acid와 succinic acid 가 관련(關聯)이 되는 것 같다.

  • PDF

시판막걸리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 및 미생물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during Storage of Commercial Makgeolli)

  • 권영희;이애란;김재호;김혜련;안병학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0-214
    • /
    • 2012
  • 시판되는 막걸리 3종을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며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10^{\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11일 동안 7.0%를 넘지 않았으며 pH는 3.12-3.99, 총산은 0.22-0.28%였으며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는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에서 저장 한 막걸리의 에탄올 함량은 저장 9일에 7.0%를 초과하였으며 pH와 총산은 각각 3.96-4.17과 0.27-0.30%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 동안의 효모수는 $10^{\circ}C$$25^{\circ}C$에 저장 시 각각 저장 3일과 1일에 $2.90-16.00{\times}10^7$ CFU/mL와 $1.12-29.40{\times}10^7$ CFU/mL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세균수는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가 $10^{\circ}C$에 저장한 막걸리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젖산균은 저장 3-7일 높게 나타났는데 $25^{\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서 $38.90-50.00{\times}10^7$ CFU/mL로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에 비하여 더 높게 검출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25^{\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일 이후부터 5.0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며 $10^{\circ}C$에 저장 한 막걸리는 저장 11일 후에도 4.9-5.2 수준을 나타내었다.

Cephalosporin C 내성과 7-Aminocephalosporanic Acid 감수성을 지닌 균주의 선발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ephalosporin C Resistant and 7-Aminocephalosporanic Acid Sensitive Strain)

  • 김욱현;박용춘;임재윤;김영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6-558
    • /
    • 1995
  • A strain which showed cephalosporin C resistance and 7-aminocephalosporanic acid sensitivity was isolated from nature. Among the isolates, SS5 was sensitive to cephalosporin C, penicillin G, ampicillin, 7-aminocephalosporanic acid, 6-aminopenicillanic acid, and 7-aminodeacetoxy cephatosporanic acid at concentrations of 1,000 $\mu $g/ml, 2,000 $\mu $g/ml, 3,000 $\mu $g/ml, 30 $\mu $g/ml 100 $\mu $g/ml and 100 $\mu $g/ml, respectively. But SS5 was sensitive at very low concentration of chloramphenicol, kanamycin, neomycin, streptomycin and tetracycline. Since SS5 was sensitive to 7-ACA (30 $\mu $g/ml) and didn't have $\beta $-lactamase activity on the cephalosporin C, SS5 could be useful as an indicator strain for the production of 7-ACA, which is an important precursor for the synthesis of many semisynthetic cephalosporins.

  • PDF

무수석고와 C12A7계 슬래그를 사용한 수축저감제 및 모르타르 특성 (Properties of shrinkage reducing agent and mortar used Anhydrite and C12A7-based slag)

  • 박수현;추용식;서성관;박재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01-10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A계 슬래그와 무수석고를 사용하여 수축저감제를 제조하였으며,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건조수축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상기 수축저감제를 첨가하였다. 모르타르의 응결시간, 길이변화율 및 압축강도는 수축저감제의 배합비율에 따라 변화하였다. 슬래그가 0~7%까지 첨가된 모르타르는 슬래그 첨가량 증가에 따라 응결시간이 짧아졌으며, 7일까지의 길이변화율은 유사하였다. 7일 양생조건의 압축강도는 $C_{12}A_7$계 슬래그 첨가량 증가에 따라 증가되었다. $C_{12}A_7$계 슬래그가 6% 첨가된 모르타르의 28일 강도는 약 36 MPa이었으며, 35일에서의 건조수축율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C_{12}A_7$계 슬래그가 6% 첨가된 모르타르에서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Deep Blue Fluorescent Host Materials Based on a Novel Spiro[benzo[c]fluorene-7,9'-fluorene] Core Structure with Side Aromatic Wings

  • Lee, In-Ho;Seo, Jeong-A;Gong, Myoung-Seo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7호
    • /
    • pp.2287-2294
    • /
    • 2012
  • Deep blue fluorescent host materials based on a novel spiro[benzo[c]fluorene-7,9'-fluorene] core structure with side aromatic wings in the 5- and 9-positions, namely, 5,9-di(naphthalen-2-yl)spiro[benzo[c]fluorene-7,9'-fluorene] (DN-SBFF), 5,9-bis(4-t-butylphenyl)spiro[benzo[c]fluorene-7,9'-fluorene] (BP-SBFF), and 5,9-bis(4-fluorophenyl)spiro[benzo[c]fluorene-7,9'-fluorene] (FP-SBFF), were designed and successfully prepared using the Suzuki reac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se materials and their EL characteristics as blue host materials doped with N,N,N',N'-tetraphenylspiro[benzo[c]fluorene-7,9'-fluorene]-5,9-diamine (TPA-SBFF) were investigated. The device used comprised ITO/N,N'-diphenyl-N,N'-bis[4-(phenyl-m-tolyl-amino)phenyl]-biphenyl-4,4'-diamine (DNTPD)/N,N'-di(1-naphthyl)-N,N'-diphenylbenzidine (NPB)/(FP-SBFF):dopant x%/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Alq_3$)/LiF. The device obtained using FP-SBFF doped with TPA-SBFF showed high color purity (0.13, 0.18) and an efficiency of 6.61 cd/A at 7 V.

The Use of Pedicle Screw-Rod System for the Posterior Fixation in Cervico-Thoracic Junction

  • Cho, Won-ik;Eid, Ahmed Shawky;Chang, Ung-Kyu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1호
    • /
    • pp.46-52
    • /
    • 2010
  • Objective : In cervico-thoracic junction (CTJ), the use of strong fixation device such as pedicle screw-rod system is often require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natomical features of C7 and T1 pedicles related to screw insertion and to evaluate the safety of pedicle screw insertion at these levels. Methods : Nineteen patients underwent posterior CTJ fixation with C7 and/or T1 included in fixation levels. Seventeen patients had tumorous conditions and two with post-laminectomy kyphosis. The anatomical features were analyzed for C7 and T1 pedicles in 19 patient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T). Pedicle screw and rod fixation system was used in 16 patients. Pedicle violation by screws was evaluated with postoperative CT scan. Results : The mean values of the width, height, stable depth, safety angle, transverse angle, and sagittal angle of C7 pedicles were $6.9{\pm}1.34\;mm$, $8.23{\pm}1.18\;mm$, $30.93{\pm}4.65\;mm$, $26.42{\pm}7.91$ degrees, $25.9{\pm}4.83$ degrees, and $10.6{\pm}3.39$ degrees. At T1 pedicles, anatomic parameters were similar to those of C7. The pedicle violation revealed that 64.1% showed grade I violation and 35.9% showed grade II violation, overall. As for C7 pedicle screw insertion, grade I was 61.5% and grade II 38.5%. At T1 level, grade I was 65.0% and grade II 35.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iolation rate between the whole group, C7, and T1 group. Conclusion : C7 pedicles can withstand pedicle screw insertion. C7 pedicle and T1 pedicle are anatomically very similar. With the use of adequate fluoroscopic oblique view, pedicle screw can be safely inserted at C7 and T1 levels.

우리나라 주요 냉장판매식품의 보관온도 실태 조사 (Survey on Storage Temperature of Domestic Major Chilled Foods in Refrigerator)

  • 이유시;하지형;박기환;이숙연;최윤주;이동호;박선희;문은숙;류경;신형수;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4-308
    • /
    • 2008
  • 본 연구는 주요 냉장식품(두부, 묵, 어육가공품(어묵), 생면, 김초밥, 샐러드)의 온도 관리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 유통업소의 냉장 냉동진열 판매 제품의 관리온도 개선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냉장고 내 위치별 온도는 보편적으로 아래($7.5^{\circ}C$)가 높고 윗부분($6.4^{\circ}C$)이 낮았으며, 앞쪽($8.9^{\circ}C$)이 높고 뒤쪽($7.5^{\circ}C$)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냉장식품의 평균 냉장고 보관 온도는 $7^{\circ}C$(최대 $22.9^{\circ}C$, 최저 $-2^{\circ}C$)였으며, 대형할인매장이 $6.5^{\circ}C$,백화점이 $7.5^{\circ}C$, 편의점이 $7.6^{\circ}C$ 였다. 모든 냉장식품의 평균 표면온도는 $8.2^{\circ}C$(최대 $19^{\circ}C$, 최저 $-0.4^{\circ}C$)였으며, 대형할인매장이 $8.1^{\circ}C$,백화점이 $8.5^{\circ}C$, 편의점이 $7.6^{\circ}C$으로 조사되었다. 식품표면과 중심온도는 식품별 차이가 있으며 최대 $2.3^{\circ}C$ 차이로 나타났다. 두부(표면온도 $6.1{\sim}10.6^{\circ}C$, 중심온도 $4{\sim}11.1^{\circ}C$), 어묵($6{\sim}12.3^{\circ}C$, $6.5{\sim}13.6^{\circ}C$), 김밥($2.3{\sim}18.2^{\circ}C$, $2{\sim}17.3^{\circ}C$), 샐러드류($4.6{\sim}12.2^{\circ}C$, $4.1{\sim}10.4^{\circ}C$), 생면류($3.4{\sim}12.6^{\circ}C$, $3.8{\sim}10.3^{\circ}C$), 묵류($7.1{\sim}19^{\circ}C$, $8.3{\sim}17.1^{\circ}C$)의 다섯 가지 식품별로 차이를 보였다. 냉장고 표시온도와 식품표면 온도 항목간의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냉장고 표시 온도는 김밥 1곳(100%)에서 규정온도인 $10^{\circ}C$를 초과했지만, 식품표면 온도에서는 두부 9곳(17%), 어묵 6곳(11.3%), 묵 10곳(18.9%), 생면 11곳(20.8%), 김밥 13곳(24.5%), 샐러드 4곳(7.5%)이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냉장보관 식품 중 표면온도와 $10^{\circ}C$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냉장보관식품의 온도관리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