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0G

검색결과 13,399건 처리시간 0.364초

유통중인 발아현미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ooked Germinated-brown Rice)

  • 박종대;최봉규;금준석;이현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1-106
    • /
    • 2005
  • 시중에 유통중인 발아현미 무균포장밥 제품 2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64.5\%$였으며 주요 유리당은 glucose, sucrose, maltose로 A 제품은 glucose가 $0.20\%$, B 제품은 sucrose 함량이 $0.50\%$로 각각 가장 많았다. 발아현미밥의 백색도는 69.32로 B 제품이 높았으며, vitamin E 함량은 A 제품이 $30.7\;{\mu}g/100g$, B제품이 $46.9\;{\mu}g/100g$이었고, 식이섬유 함량은 A 제품이 $2.8\%$, B 제품이 $2.2\%$로 분석되었다. DSC 특성에서는 두 제품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즉, peak 1의 호화개시온도는 각각 $56.5^{\circ}C$, $56.2^{\circ}C$ 호화엔탈피는 5.46 J/g, 5.56 J/g이었다. Peak 2의 호화개시온도는 $109.5^{\circ}C$, $108.9^{\circ}C$이고 용융엔탈피는 0.33 J/g, 0.37 J/g였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외관, 맛, 조직감에서 높은평가를 받은 B 제품이 더 양호한 전반적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양이온 교환 및 염 함침을 통한 메조다공성 실리카와 유기-금속 구조체의 수분 흡착 특성 조절 (Control of Water-Adsorption Properties of Mesoporous Silica and MOF by Ion Exchange and Salt Impregnation)

  • 이은경;조강희;김상겸;임종성;김종남
    • 청정기술
    • /
    • 제24권1호
    • /
    • pp.55-62
    • /
    • 2018
  • $90^{\circ}C$ 이하의 저온열원 구동 수분 흡착식 냉방 시스템에 사용되는 흡착제는 효과적인 냉열 생산을 위해서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높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보이는 것이 좋다. 메조다공성 실리카(MCM-41)와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MIL-101) 의 경우 최대 수분 흡착량은 많지만 상대습도($P/P_0$) 0.1 ~ 0.3 구간에서 각각 $0.027{g_{water}\;g_{ads}}^{-1}$, $0.074{g_{water}\;g_{ads}}^{-1}$의 낮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갖는다. 이 연구에서는 메조다공성 실리카와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의 표면 성질을 조절하여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를 증가시켰다. 주로 수분 흡착이 상대습도($P/P_0$) 0.5 ~ 0.7에서 일어나는 메조 다공성 실리카의 경우 알루미늄을 관능화 시킨 후에 염기도가 다른 여러 양이온($Na^+$, ${NH_4}^+$, $(C_2H_5)_4N^+$)들로 교환하거나 염($CaCl_2$)을 20 wt% 함침하여 각각의 흡착제들에 대해 $35^{\circ}C$에서 수분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였다. 양이온 교환 후 수분 흡착이 주로 일어나는 구간이 상대습도($P/P_0$) 0.5 부근으로 이동하였으나 여전히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낮은 수분 흡-탈착량 차를 보였다. 하지만 흡습성을 갖는 염($CaCl_2$)을 20 wt% 함침한 메조다공성 실리카는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가 $0.027{g_{water}\;g_{ads}}^{-1}$에서 $0.152{g_{water}\;g_{ads}}^{-1}$으로 증가하였다. 수분 흡착이 상대습도($P/P_0$) 0.3 ~ 0.5에서 주로 일어나는 다공성 유기-금속 구조체에도 염($CaCl_2$)을 20 wt% 함침하였더니 상대습도($P/P_0$) 0.1 ~ 0.3에서 수분 흡-탈착량 차가 $0.330{g_{water}\;g_{ads}}^{-1}$까지 증가하였다.

Association of DR4 (TRAIL-R1) Polymorphisms with Cancer Risk in Caucasians: an Updated Meta-analysis

  • Chen, Wei;Tang, Wen-Ru;Zhang, Ming;Chang, Kwenjen;Wei, Yun-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889-2892
    • /
    • 2014
  • Death receptor 4 (TRAIL-R1 or DR4) polymorphisms have been associated with cancer risk, but findings have been inconsistent.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in detail, a meta-analysis was here performed. A search of PubMed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DR4 C626G, A683C and A1322G polymorphisms and cancer risk, using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DR4 C626G and A683C polymorphisms were indeed associated with cancer risk (for C626G, dominant model, OR 0.991, 95%CI 0.866-1.133, p=0.015; for A683C, additive model, OR=1.140, 95%CI: 0.948-1.370, p=0.028; dominant model, OR=1.156, 95%CI: 0.950-1.406, p=0.080) in the Caucasian subgroup. However, the association was not significant between DR4 polymorphism A1322G with cancer risk in Caucasians (For A1322G, additive model: OR 1.085, 95%CI 0.931-1.289, p=0.217; dominant model: OR 1.379, 95%CI 0.934-2.035, p=0.311; recessive model: OR 1.026, 95%CI 0.831-1.268 p=0.429.). In summary, our finding suggests that DR4 polymorphism C626G and A683 rather than A1322G are associated with cancer risk in Caucasians.

양상추에 인위접종된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과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저온 플라즈마와 UV-C의 살균 효과 (Combined Effect of Cold Plasma and UV-C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Lettuce)

  • 성지영;박미정;권기현;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4-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양상추에 접종된 E. coli O157:H7,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에 대하여 저온 플라즈마와 UV-C 단독처리 및 병행처리 효과를 측정하였다.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는 양상추에 초기 농도가 5.82, 5.09, 5.65 log CFU/g이 되도록 각각 접종하였다. 저온 플라즈마와 UV-C를 처리된 양상추는 $4^{\circ}C$에서 9일간 보관하며 미생물학적 분석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저온 플라즈마 처리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의 개체 수를 각각 0.26, 0.65, 0.93 log CFU/g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UV-C 처리 시 각각 0.87, 0.88, 1.14 log CFU/g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UV-C 처리 후 저온 플라즈마를 처리한 병행처리에서는 각각 1.44, 2.70, 1.62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저온 플라즈마와 UV-C 단독처리 보다는 병행처리가 좀 더 효과적으로 균을 저감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외관, 질감, 전체적인 수용도 면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보관 6일까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온 플라즈마와 UV-C 병행처리는 양상추에 존재하는 균을 저감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성장단계 별 수온에 따른 배합사료 섭취율 (Daily feeding Rates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Fed Extruded Pellet at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 김경민;이정의;김재우;한석중;김경덕;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4-298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품종인 돌돔을 대상으로 배합사료 급이체계를 구축하여 자동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실시하였는데, 돌돔을 대상으로 체중이 배수로 증가하도록 성장 단계를 설정하여 각 단계에서 수온별 최대 배합사료 섭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돔 성장단계를 체중에 따라 $10{\sim}30\;g$, $40{\sim}60\;g$, $70{\sim}120g$, $130{\sim}240$, $250{\sim}480\;g$, 480 g 이상으로 나누고, 평균수온 $15.1^{\circ}C$, $16.0^{\circ}C$, $19.2^{\circ}C$, $22.5^{\circ}C$, $23.0^{\circ}C$, $24.7^{\circ}C$, $26.5^{\circ}C$에서 최대 섭취량을 구하였을 때 $10{\sim}30\;g$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2.24%였으나 수온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여 6.04%까지 섭취하였다. $30{\sim}60\;g$의 돌돔은 일일섭취율이 $15.1^{\circ}C$일 때 어제중의 1.14%를 섭취하였으나, 고수온기일 때는 3.85%까지 섭취하였다. 체중 $240{\sim}480\;g$의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0.48%, $26.5^{\circ}C$에서 2.06%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연(黃連)이 Lipopolysaccharide 뇌실 주입으로 유발된 생쥐의 IL-6와 $TNF-{\alpha}$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ptidis Rhizoma on the Change of Interleukin-6 and $TNF-{\alpha}$ Level induced by LPS I.C.V. Injection in Mice)

  • 심은영;윤정문;이태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9-223
    • /
    • 2004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ptidis Rhizoma on the plasma IL-6 and $TNF-{\alpha}$ level in mice by intracerebroventricular(I.C.V.) injection of Lipopolysaccharide (LPS). Method: 6 mice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and the individual Experimental groups. In the Normal group only saline was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and in the Control group LPS was injected intracerebroventricularly 1 hr after intragastric administration of saline. In the Experimental groups Coptidis Rhizoma(0.5g/kg, 1.0g/kg, 3.0g/kg) was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to mice 1 hr prior to LPS (100ng/mouse) I.C.V. Injection. To measure the plasma IL-6 and $TNF-{\alpha}$ level of mice, their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tro-orbital venous plexus, immediately centrifuged at $4^{\circ}C$, and plasma was removed and stored frozen at $-83^{\circ}C$ for later determination of plasma IL-6 and $TNF-{\alpha}$. Result: 1. LPS I.C.V. Injection increased plasma IL-6 level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Normal group. (P<0.01) The plasma IL-6 concentration reached a significant maximal level about 1 hr after LPS(100ng/mouse) I.C.V. Injection.(P<0.001) 2. Both the 0.5g/kg(Sample A) and 1.0g/kg(Sample B) groups to which Coptidis Rhizoma was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1 hr prior to LPS(100ng/mouse) I.C.V. Injection showed insignificant lower plama IL-6 level in 1 hr than Control group(P>0.05), and 3.0g/kg group(Sample C) conversely showed higher plama IL-6 level than Control group. 3. LPS I.C.V. Injection increased plasma $TNF-{\alpha}$ level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Normal group.(P<0.05) The plasma $TNF-{\alpha}$ concentration reached a significant maximal level about 1 hr after LPS(100ng/mouse) I.C.V. Injection.(P<0.001) 4. All Sample groups(0.5g/kg, 1.0g/kg, and 3.0g/kg) to which Coptidis Rhizoma was administered intragastrically with each constituent-dose 1 hr prior to LPS(100ng/mouse) I.C.V. Injection showed significant lower $TNF-{\alpha}$ plama level in 1 hr than Control group.(P<0.001) These data revealed that Coptidis Rhizoma might have anti inflammatory effect by reducing the plasma $TNF-{\alpha}$ lev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in mice LPS I.C.V. Injection.

  • PDF

태반성성선자극(胎盤性性腺刺戟)홀몬에 관(關)한 검토(檢討) (Studies on Placental Chorionic Gonadotropin)

  • 박완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1호
    • /
    • pp.65-69
    • /
    • 1975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ormone(H.C.G.) is secreted from the villus tissues of the placenta and excreted in lange amount into the urine. Its isolation is chiefly made from the urine of a pregnant woman. Recently, Matsushima attempted isolation of H.C.G. directly from the placenta itself. In order to prepare H.C.G. from human placenta, general method of extractiag and purifying proteins was applied. Its way was as follow: Crude H.C.G. was extracted from placenta with pH 9.0 and pH 5.0 aqua ammonia, and purified with pH 8.0 ammonia and 50% ethanol at pH 4.8. The purified H.C.G. showed two moving bands on the anode by paper electrophoresis. On the other hand, the H.C.G. from pregnancy urine (Standard. Pharm. Co.) showed same two bands but their moving ratio were different. The purified H.C.G. showed gonadotropin effect when it was injected young fomale rats 40r/cc per day for 5 days and weighted the increased ovary weight.

  • PDF

추출 조건에 따른 어수리의 항산화 활성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Various Heracleum moellendorffii Hance Extracts)

  • 방지은;최해연;김순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65-771
    • /
    • 2009
  • 본 연구는 생식으로만 이용하고 있는 어수리 잎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과 에탄올을 사용하여($80^{\circ}C$ 50% 에탄올/ $20^{\circ}C$ 50% 에탄올/ $80^{\circ}C$ water/ $20^{\circ}C$ water) 어수리를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성 물질 중 총 폴리페놀 함량은 $80^{\circ}C$에서 50% 에탄올 추출물이 64.73 mg GA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80^{\circ}C$에서 5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은 50 ppm에서 69.14%, reducing power는 1000 ppm에서 흡광도 0.93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1000 ppm에서 85.62%의 성을 보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추출방법 중 가장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50%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측정결과 수분함량은 6.38%, 조단백질 함량은 4.35%, 조지방 함량은 0.67%,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1.96%였다. 또한 무기질 분석결과 Na 53.41 mg/100 g, K 396.26 mg/100 g, Mg 5.80 mg/ 100 g, P 47.17 mg/100 g, Zn 0.40 mg/100 g, Fe 5.27 mg/100 g, 그리고 Ca 3.56 mg/100 g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소재 개발의 일환으로 어수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관련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73 mg GAE/g과 49.54 mg RE/g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수리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제조 시 $80^{\circ}C$에서 5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항산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96-well microplate를 이용한 Trichophyton Rubrum의 항진균제 감수성검사 (Antimycotic Susceptibility Testing of Trichophyton Rubrum by Microculture Method)

  • 이무웅;김종철;최종수;김기홍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9권2호
    • /
    • pp.396-406
    • /
    • 1992
  • 저자들은 Granade와 Artis의 방법에 따라 96-well microplate와 24-well macroplate를 이 용하여 T. rubrum 9주를 대상으로 경구용 항진균제인 ketoconazole과 itraconazole에 대한 MIC를 측정하여 실제 임상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 배양온도, 배양용기의 크기, 배지의 종류를 달리하여 MIC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를 점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25^{\circ}C$에서 배양시 균농도에 따른 판독시기의 차이는 높은 균농도(흡광도 2.0, 1.0)에서는 4일만에, 낮은 균농도(흡광도 0.5, 0.25)에서는 6-8일만에 판독할 수 있었고, MIC는 높은 균농도에서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시 점차 차이가 줄어들었다. 2. $37^{\circ}C$$25^{\circ}C$에서 각각 배양시 배양온도에 따른 MIC의 차이는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37^{\circ}C$에서 배양시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0.04{\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0.04{\mu}g/ml$였으며 $25^{\circ}C$에서의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8-$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0.71{\mu}g/ml$$37^{\circ}C$에서의 MIC는 $25^{\circ}C$에서의 MIC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3. 24-well microplate와 96-well microplate에서 각각 배양시 배양용기의 크기에 따른 판독시기는 96-well microplate 액체배지에서는 4-6일로 24-well macroplate 액체배지에서의 8-12일에 비해 판독시기가 빨랐으나, MIC의 차이는 없었다. 4.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에서 배양시 배지종류에 따른 MIC의 차이는 액체배지를 함유한 24-well macroplate를 이용한 경우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 이하-$0.36{\mu}g/ml$였고 고체배지에서는 keto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이하-$5.68{\mu}g/ml$, itraconazole에 대한 MIC는 0.006 이하-$5.68{\mu}g/ml$로 고체배지에서의 MIC가 다소 높게 측정되었다. 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때 96-well microplate를 사용하여, 흡광도 1.0의 균농도로 접종하여, $25^{\circ}C$에서 배양 후 5-6일째 육안으로 판독하는 것이 항진균제 감수성 검사를 빠르고 간편하게 실시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Clinical Features of Severely Constipated Children: Comparison of Infrequent Bowel Movement and Fecal Soiling Groups

  • Lee, Gyung;Son, Jae Sung;Bae, Sun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3권1호
    • /
    • pp.26-34
    • /
    • 2020
  •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diagnostic findings, and medications of children with infrequent bowel movements or fecal soiling. Methods: This study enrolled 333 children (189 male; age range, 1 month to 18 years) diagnosed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by Rome III or IV criteria. We classified them into 3 groups (infrequent bowel movement without fecal soiling [G3-a], infrequent bowel movement with fecal soiling [G3-b], and fecal soiling only [G3-c]) and into 2 subgroups of fecal soiling (G2-b) or not (G2-a). Retrospective data on clinical characteristics, colon transit time (CTT) test results, and medications were collected. The Wilcoxon rank-sum test, Kruskal-Wallis 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dian age (months) and interquartile range (IQR) was 33 (45) in G3-a, 54 (40) in G3-b, and 73 (48) in G3-c (p<0.0001). G3-c had the latest onset (median, 18; IQR, 18; p=0.0219) and longest symptom duration (24 [24], p=0.0148). PEG 4000 was used in 60.6% (G3-a), 96.8% (G3-b), and 83.2% (G3-c) of patients (p<0.0001). The median age (months) and IQR were 33.0 (45.0) in G2-a and 63.5 (52.5) in G2-b (p<0.0001). G2-b had later onset (median, 12; IQR, 19.5; p=0.0062) and longer symptom duration than G2-a (24 [12], p=0.0070). PEG 4000 was used in 60.6% (G2-a) and 88.3% (G2-b) of children (p<0.0001).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seen in maintenance laxative dose, CTT, or CTT type. Conclusion: Infrequent bowel movement and fecal soiling represent the advanced stage of chronic functional const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