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G

검색결과 27,022건 처리시간 0.047초

면역단백질 G(IgG)의 열처리에 대한 안정성 (Stability of Immunoglobulin G(IgG) by Heat Treatment)

  • 박종대;손동화;정관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36-240
    • /
    • 2003
  • 초유성분을 이용한 유제품의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IgG 강화우유의 살균온도에 따른 IgG 활성 잔존율과 초유관련 분말제품의 용해온도에 따른 IgG 활성 잔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원유, IgG 50 mg, 250 mg 강화한 우유는 살균처리 온도가 높을수록 활성 잔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LTLT 처리시 원유, 50 mg, 250 mg 강화우유의 활성 잔존율은 각각 79%, 30%, 21.6%였다. 그러나 9$0^{\circ}C$/15초 이상의 살균 처리시에는 IgG 활성이 거의 파괴되었다. 분말제품의 3$0^{\circ}C$, 4$0^{\circ}C$, 5$0^{\circ}C$, 6$0^{\circ}C$ 용해온도에 따른 IgG 활성 잔존율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DEFINABLE Cr FIBER BUNDLES AND DEFINABLE CrG VECTOR BUNDLES

  • Kawakami, Tomohir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257-268
    • /
    • 2008
  • Let G and K be compact subgroups of orthogonal groups and $0{\leq}r<x<{\infty}$. We prove that every topological fiber bundle over a definable $C^r$ manifold whose structure group is K admits a unique strongly definable $C^r$ fiber bundle structure up to definable $C^r$ fiber bundle isomorphism. We prove that every G vector bundle over an affine definable $C^rG$ manifold admits a unique strongly definable $C^rG$ vector bundle structure up to definable $C^rG$ vector bundle isomorphism.

한우의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미치는 SREBPs와 FABP4의 유전자 조합 규명 (Major gene identification for SREBPs and FABP4 gene which are associated with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cattle)

  • 이제영;장지은;오동엽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3호
    • /
    • pp.677-685
    • /
    • 2015
  • 인간의 질병 또는 가축의 경제적인 특성은 단일 유전자보다는 여러 유전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전자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었던 방법들의 단점을 보완한 에스엔피 하비스트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유전자는 최근 한우의 육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산 조성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밝혀진 단일염기다형성 중 SREBPs (g.3270+10274 C>T, g.13544 T>C)와 FABP4 (g.2634+1018 A>T, g.2988 A>G, g.3690 G>A, g.3710 G>C, g.3977-325 T>C, g.4221 A>G)이며, 경제형질은 한우의 맛과 향에 영향을 주는 올레인산, 불포화지방산, 근내지방도를 이용하였다. 먼저 에스엔피 하비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경제형질에 영향을 주는 우수 유전자 조합을 찾은 뒤 다중인자차원축소방법을 이용하여 단일염기다형성 조합 내의 우수 유전자형도 함께 규명하였다.

돼지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유전자의 육질연관성 분석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Melanocortin 4 Receptor (MC4R) Gene Effect on Pork Quality Traits in Pigs)

  • 노정건;김상욱;최정석;최양일;김종주;최봉환;김태헌;김관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1호
    • /
    • pp.1-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내의 단일염기변이들을 규명하고 그 유전자형 효과가 유전자표지인자를 이용한 선발(Marker assisted selection, MAS)에 활용 가능한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한국재래돼지의 MC4R 유전자 총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 6개의 Primer들을 이용하여 증폭산물을 생성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총 6개(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 c.892A>G-Asp298Asn, c.*430A>T)의 단일염기변이를 발견하였다. 한국재래돼지 MC4R 유전자내의 총 6개의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불균형과 반수체 분석을 통해 단일염기변이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으며, c.-780C>G, c-135C>T, c.175C>T-Leu59Leu, c.707A>G-Arg236His와 c.*430A>T는 완전한 연관불균형을 이루고 있었고, c.892A>G(Asp298Asn) 단일염기변이만 $r^2$-value가 0.028, D'-value가 0.348로 연관불균형 정도가 매우 낮았다. c.707A>G (Arg236His)와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들을 선발하여 PCR-RFLP 유전자형 분석방법을 이용해 돼지 5품종간의 유전자형 빈도를 추정한 결과, c.707A>G (Arg236His) 단일염기변이는 요크셔 품종 집단에서 오직 A (His) 대립유전자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한국재래돼지, 랜드레이스, 버크셔와 듀록 품종에서는 G 대립유전자의 고정으로 나타났다. c.707A>G 단일염기변이와 육질형질을 484두에서 연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지방, 등심 내의 수분, 육색, 적색도 그리고 황색도 등에서 유의적인 연관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의 유전자형 빈도는 품종별로 차이가 났으며, A (Asn)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듀록으로 나타났고, G (Asp)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가장 높은 품종은 한국재래돼지로 조사되었다. c.892A>G (Asp 298Asn) 단일염기변이와 돼지 4 집단의 육질형질을 1,126두에서 분석한 결과, 등지방두께에 고도의 유의적인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2). AA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AG나 GG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보다 등지방두께가 두꺼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MC4R 유전자 내의 c.892A>G (Asp298Asn) 단일염기변이는 돼지의 선발개량에 유전자표지인자로서 충분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송충이 단백질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 and Fatty acid of Pine caterpillar(Dendrolimus spectabilis))

  • 차월석;신주연김연순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186-190
    • /
    • 1992
  • 송충이의 유리 아미노산, 총 아미노산 조성과 총 지방산 조성을 규명하기 위해 Gas chromarography와 HPLC를 사용하여 분리 정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지방 함량은 21.00%이고, 조단백질 함량은 58.47%로 조성되어 있다. 유리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3.65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유리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31g/100g으로 35.89%를 차지하고 있다. 총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41.20g/100g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총 아미노산 중에서 필수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14.75g/100g으로 35.80%를 차지하고 있다. 총 지방산 조성은 $C_{18}$=26.81%로 제일 많이 함유되어 있고, $C_{16}$=19.09%, $C_{18:1}$=18.74%, $C_{18:3}$=15.33%, $C_{16:1}$=7.29%, $C_{20}$=5.21%순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이 45.88%이고, 필수 지방산은 19.73%를 차지하고 있다.

  • PDF

오디와 포도의 안토시아닌 색소 물질 조성 비교 및 C3G 정량 (Quantification of Cyanidin-3-glucoside(C3G) in Mulberry Fruits and Grapes)

  • 김현복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5
    • /
    • 2003
  • 최근 안토시아닌 색소의 생리활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는 뽕나무 오디의 이용성을 높이고 생리활성물질로서 C3G(cyanidin-3-glucoside) 색소를 다량 함유한 뽕나무의 품종육성을 위하여 유전자원으로 보존되고 있는 뽕 계통에 대하여 오디를 수확한 후 색소를 추출, 분리 및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1. 오디 함유 anthocyanin 색소의 추출은 1% HCl-MeOH 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기기로는 Shimadzu LC, Nova-pack $C_{18}$ Column(300${\times}$3.9 mm)을 사용하였다. 2. 오디와 포도에 존재하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조성 패턴을 비교한 결과, 오디는 C3G(cyanidin-3-glucoside) 단일 물질로 존재하는 반면, 포도는 여러 가지 안토시아닌 색소가 혼합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오디와 포도의 계통별 C3G(cyanidin-3-glucoside) 함량을 분석한 결과, 포도에 비해 오디의 C3G함량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4. 이상의 결과 뽕나무 열매인 오디는 안토시아닌 색소의 존재형태, 이용부위 및 함량에 있어 천연색소 자원으로서 유망시되며, 색소자원으로 이용시 타작물보다 유리한 경제수종으로 판단된다.

시판 동물성 식품의 오염지표세균 분포 및 저장온도, 기간별 오염지표세균의 변화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 Commercial Animal Foods)

  • 이용욱;박석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30-440
    • /
    • 1998
  • 식육류에서의 오염지표세균의 분포를 보면 돈육에서는 일반세균 19/g, 대장균군 1.8/g, 저온세균 15/g, 종석영양세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6.2/100 g, 슈도모나스 13/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육에서는 일반세균수 $1.3{\times}10^{2}/g$, 대잔균군 5.2/g, 저온세균 $1.4{\times}10^{2}/g$, 종속영양세균 28/g, 포도상구균 1.2/g, 분원성연쇄상구균 9.5/100 g, 슈도모나스균 1.9/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계육은 일반세균수 $8.8{\times}10^{3}/g$, 대장균군 53/g, 저온 세균 $4.6{\times}10^{3}/g,\;종속영양세균\;4.7{\times}10^{3}/g$ 분원성연쇄상구균 9.9/100g, 슈모나스균 1.5/100 g이었으며, 내열성세균 및 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우유에서는 일반세균 $4.7{\times}10^{3}/m;\l,\;저온세균\;1.2{\times}10^{2}/ml,\;종속영양세균\;4.2{\times}10^{2}/ml$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원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세균 1.6/g, 포도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100g 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치즈에서는 일반세균 3.2g, 저온세균 2.3/g, 종속영양배균 1.6/g, 포도 상구균 1/g, 분원성연쇄상구균 9/100 g이었으며, 대장균군, 내열성세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유에서는 유산균의 영향을 받아 일반세균수 $1{\times}10^{7}/ml,\;내열성세균\,1.0{\times}10^{6}/ml,\;분원성연쇄상구균\;2.4{\times}10^3/100\,m;,\;유산균수\;3.2{\times}10^{15}/ml$이었으며,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 밖의 햄, 소시지, 버터, 계란, 메추리알에서는 오렴지표세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시판동물성 식품을 $10^{\circ}C,\;20^{\circ}C\;30^{\circ}C$에서 보관하면서 저장기간별로 오염지표세균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식육류는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은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히 균수가 증가하였으나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분별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대장균군, 저온세균, 종속영양세균 및 분변성연쇄상구균은 7일 보존시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내열성세균, 포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약간 증가하였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에는 3일부터 7일 사이에 가장 높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7일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육가공품은 $1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17일 보존시 $10^{1}/g$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이었고, $2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일반세균, 저온세균 및 종속영양 세균이 $10^{5}/g$ 수준정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지표세균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30^{\circ}C$에서 보존할 경우 $20^{\circ}C보다\;10^{2}/g$ 수준 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을 뿐이었다. 우유류는 저온 살균처리에 의해 일반세균, 저온 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이 $10^{\circ}C\;보존시\;10^{4}/ml$ 수준까지 증가하였을 뿐 대장장균군, 포도상구균, 분변성연쇄상구균 및 슈도모나스균은 전혀 검출도지 않았다. $20^{\circ}C와\;30^{\circ}C$에서는 빠른 속도로 균수가 증가한 후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 PDF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성장단계 별 수온에 따른 배합사료 섭취율 (Daily feeding Rates of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Fed Extruded Pellet at the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 김경민;이정의;김재우;한석중;김경덕;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4-298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품종인 돌돔을 대상으로 배합사료 급이체계를 구축하여 자동화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실시하였는데, 돌돔을 대상으로 체중이 배수로 증가하도록 성장 단계를 설정하여 각 단계에서 수온별 최대 배합사료 섭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돌돔 성장단계를 체중에 따라 $10{\sim}30\;g$, $40{\sim}60\;g$, $70{\sim}120g$, $130{\sim}240$, $250{\sim}480\;g$, 480 g 이상으로 나누고, 평균수온 $15.1^{\circ}C$, $16.0^{\circ}C$, $19.2^{\circ}C$, $22.5^{\circ}C$, $23.0^{\circ}C$, $24.7^{\circ}C$, $26.5^{\circ}C$에서 최대 섭취량을 구하였을 때 $10{\sim}30\;g$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2.24%였으나 수온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여 6.04%까지 섭취하였다. $30{\sim}60\;g$의 돌돔은 일일섭취율이 $15.1^{\circ}C$일 때 어제중의 1.14%를 섭취하였으나, 고수온기일 때는 3.85%까지 섭취하였다. 체중 $240{\sim}480\;g$의 돌돔의 일일사료섭취율은 $15.1^{\circ}C$에서 어체중의 0.48%, $26.5^{\circ}C$에서 2.06%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원과 질소원의 비가 PHB 발효특성치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tios Carbon Source to Nitrogen Source on the Yields of PHB Fermentation Variables)

  • 백예영;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365-371
    • /
    • 1994
  • 포도당의 초기농도 10, 20, 25, 30, 40, $50g/\ell$$NH_4Cl$의 초기농도 0.33, 0.4, 0.5, 1.5, 3, $50g/\ell$ 의 조 합으로 형성된 발효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과 질소 원의 초기 조성비 C/N이 각종 발효 변수의 수율 및 PHB 축적량에 마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보았다. 탄소원의 소비량에 대한 균체 수율 $Y_{X/X}$는 C/N비가 증가함에 따라 대단히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C/N비 70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35( g cel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잔여균체 수율 $Y_{RX/S}$C/N비가 증가하면 감소하며 C/N비 65 이상에서는 일정한 값 0.065( g residual biomassl g glucose)를 나타내였다. 그러나 PHB의 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여 C/N비 40 내지 60 사이에서 최대수율 0.35( g PHB/g glucose)를 나타내었다. 균체증가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 $Y_{PHB/S}$는 C/N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C/N비 70 이상에셔는 일정한 값 0.83( g PHB/g cell mass)을 유지하였다. 또한 잔여균체량에 대한 PHB의 생성수율도 C/N비 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탄소원이 더이상 소모 되지 않는 상태에셔의 건조균체량에 대한 PHB 축 적률은 C/N비에 따라 상승하여 최대값 81%에 도 달하였다. 이 경우에 대한 C/N값은 67 근방이었으 며 이 이상의 C/N비에 대한 PHB의 축적률은 81% 로 일정하였다.

  • PDF

한우 암소에서 근내지방도 관련 DNA 마커의 활용 (Application of DNA marker related with marbling score in Hanwoo cow)

  • 이윤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733-739
    • /
    • 2016
  • 본 연구는 이미 한우에서 검증된 지방산 합성 효소 유전자의 g.15532 C>A,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과 암소의 후대들 중 거세우의 도체성적을 이용하여 유전자 활용에 대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단일염기다형성의 유전자형을 분석하기 위해 경북지역에서 사육된 암소 270두와 이들의 후대들 중 도체성적이 있는 거세우 270두의 게놈 DNA를 추출하여 단일염기확장법으로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모델은 GLM의 ANCOVA 방식을 사용하였다. 한우 거세우와 암소집단에서 g.15532 C>A와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들과 근내지방도간 연관분석을 한결과 거세우집단에서 근내지방도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암소집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일반 한우농가에서 개량하는 있는 방식인 후대검정우 등급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이 단일염기다형성과 분석한 결과 암소 집단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g.15532 C>A와 g.17924 G>A 단일염기다형성은 한우 암소 개량에 있어 후대검정우 등급판정결과와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근내지방도 개량에 효율적인 선발 보조도구 활용가치가 높을 것이라 판단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