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baileyi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경기남부지역의 닭에 있어서 Cryptosporidium baileyi의 감염상황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fection of Chickens In South Kyeonggi Area)

  • 서영석;박찬숙;김창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157
    • /
    • 1995
  • A total of 1050 layer and broiler chickens from 63 flocks of 21 poultry farms in South-Kyeonggi area, aged from 1 to 18 weeks, were investigated for the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fection from May 1992 to March 1993. The results have shown that 44 chickens(4.19%) were infected with C.(baileyi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on) Fecal samples were treated by using Sheather's flotating technique and were examined under the light and phase contrast microscopy and then stained by Kinyoun method. Cryptosporidium oocysts were found in 35 out of 650 broilers(5.4%) and 9 out of 400 layer chickens(2.3%) aged mainly from 2 to 12 weeks. The regional infection rate were 4.7% in Pyeong-taek, 5.1% in An-sung and 2.3% in Yong-in, respectively. The average size of isolated oocyst was about $5.23{\times}4.92{\mu}m$ and the oocysts were orally inoculated into 2-day-old SPF chickens for the histological examination of oocyst in bursa of Fabricius. The study has concluded that C. baileyi infects chickens and oocysts were isolated in South-Kyeonggi area.

  • PDF

Viability of preserved Cryptosporidium baileyi oocysts

  • Surl, Chan-Gu;Kim, Se-Min;Kim, Hyeon-Cheo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1권4호
    • /
    • pp.197-201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viability and infectivity of oocysts of Cryptosporidium baileyi that had been stored from 1 to 40 months at $4^{\circ}C$ preserved in 2.5% potassium dichromate solution. Oocysts of C. baileyi were purified from the feces of experimentally infected chickens using discontinuous sucrose gradients. Subsequently, the purified oocysts were suspended in 2.5% potassium dichromate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1{\;}{\times}10^7$ organism/ml, and their viabilities were assessed by nucleic acid staining, histologic examination, and infectivity to 2-day-old chickens. All chickens inoculated with oocysts that had been stored for 1-18 months developed patent infections, while chickens infected with older oocysts remained uninfected. Between 5.8% and 82.2% of the oocysts, stored at $4^{\circ}C$ in 2.5% potassium dichromate solution, were found to be viable, as determined by nucleic acid staining. Parasite colonization in the bursa of Fabricius was detected in the microvillus border of bursal epithelium. The finding that C. baileyi oocysts remain infective to chickens for at least 18 months offers important time-saving advantages to investigators who frequently require large numbers of oocysts.

닭와포자충 감염닭에서 Brucella abortus의 이차감염에 대한 면역저하 현상의 입증 (Verification of immunosuppression in chicks caused by Cryptosporidium baileyi infection using Brucella abortus strain 1119-3)

  • Jae Ku RHEE;Hong Ji YANG;Hyeon Cheol KI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4호
    • /
    • pp.281-284
    • /
    • 1998
  • 닭와포자충에 감염된 닭에서 다른 병원체의 이차 침입에 대한 면역억제능을 입증하기 위하여 2일령 SPF 병아리에 $2{\times}10^6$의 닭와포자충 난포낭을 한 번에 경구투여한 다음 14일 후에 $1{\times}10^9$의 Brucella abortus strain 1119-3 부유액 0.3 ml를 근육주사하였다. 그 다음 3-6일 간격으로 36일간에 걸쳐 채혈한 후 평판응집반응으로 이 세균에 대한 면역반응을 관찰하였다. 전반적으로 감염군과 비감염군 모두 3일 후까지는 이 세균에 대한 혈청응집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 후 혈청응집역가는 비감염군에 비하여 감염군이 의의있게 낮았다 (P<0.05). 세균 접종 15일 후 감염군과 비감염군에 있어서 최고 역가는 매우 의의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001). 한편, 진정대조군은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이 세균에 대한 혈청응집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 닭와포자충에 감염된 닭에서 미생물의 침입에 대한 면역반응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 PDF

닭 크립토스포리디움의 형태계측을 위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Morphometrical analysis of chicken Cryptosporidium on electron microscopy)

  • 박남용;김영섭;정치영;조경오;박영석;이봉주;박형선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75-582
    • /
    • 1999
  • Morphometrical analysis of chicken Cryptosporidium baileyi in various stages of life cycle in the bursa of Fabricius were carried out by electron microscope to establish a differential point for identification of C baileyi. By avidin-biotin complex method, protozoans of the bursa of Fabricius were identified Cryptosporidium spp. The size and area on each developmental stages of C baileyi, as measured by Morphomat 10 attached to electron microscope were as follows. Trophozoites' size with range of $3.21{\pm}0.70{\times}2.49{\pm}0.59{\mu}m$, area with range of $118.82{\pm}41.92{\mu}m^2$; meronts' size $3.99{\pm}1.07{\times}2.96{\pm}0.52{\mu}m$, area $210.11{\pm}57.11{\mu}m^2$; merozoites' size $1.98{\pm}0.43{\times}0.60{\pm}0.18{\mu}m$, area $24.10{\pm}5.97{\mu}m^2$; microgametes' size $1.36{\pm}0.83{\times}0.50{\pm}0.23{\mu}m$, area $20.23{\pm}6.73{\mu}m^2$; macrogametes' size $4.57{\pm}0.65{\times}4.02{\pm}0.55{\mu}m$, area $258.37{\pm}51.83{\mu}m^2$; oocytes' size $4.39{\pm}0.56{\times}3.44{\pm}0.50{\mu}m$, area $187.21{\pm}62.68{\mu}m^2$. In conclusion, the size and area on each developmental stages of Cryptosporidium baileyi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Gryptosporidia spp. It suggests, with considering tissue tropism and life cycle, morphometrical analysis can be quite a good way to identify C baileyi.

  • PDF

한국산 동물로부터 크립토스포리디움의 분리 및 동정 III. 닭으로부터 Cryptosporidium baileyi의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yuptosporidium from various animals in Korea)

  • 이재구;서영석;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4호
    • /
    • pp.315-324
    • /
    • 1991
  • 한국산 닭으로부터 분리한 크립토스포리디움(Cryptosporidium)의 중형 오오시스트를 SPF 병아리에 경구투여하여 그 분변속에의 오오시스트의 크기 및 배출양상과 파브리시우스낭 조직에서 많이 발견되는 여러 발육기의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병아리에 있어서 prepateat period는 평균 5.9일간, patent period는 $12.87{\pm}3.4$일간, 오오시스트 배출 정점기는 접종후 $12{\pm}2.78$일째, 그리고 일반적으로 8일째부터 14일째까지 1주일간에 걸적 다수의 오오시스트가 분변으로 배출되었다. 이 원충의 거의 모든 발육기의 미세구조는 C. muris를 제외한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과 조류에서 이미 발견된 것들과 거의 비슷하지만 분변으로 배출되는 오오시스트의 크기는 Kinyoun 항산염색(변법)표본에서 $5.24{\pm}0.44{\times}4.86{\pm}0.37{\mu\textrm{m}}$, 오스윰산 증기고정 Giemsa 염색표본에서 $6.06{\pm}0.23{\times)4.86{\pm}0.34$\mu\textrm{m}$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한국산 닭유래 크립토스포리디움을 C. baileyi라고 동정한다.

  • PDF

Molecular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spp. among Companion Birds Kept in Pet Shops in Japan

  • Iijima, Yuko;Itoh, Naoyuki;Phrompraphai, Totsapon;Ito, Yoichi;Kimura, Yuya;Kameshima, Satosh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281-285
    • /
    • 2018
  • Cryptosporidium is the most common protozoan that can infect a wide range of animals, including mammals and birds. Avian Cryptosporidium spp. can cause enteric and respiratory diseases which can be fatal in birds and some species are zoonotic. Companion birds have the potential as reservoir due to their close contact with humans. Pet shops are the major source of companion birds. However, few reports are available regarding Cryptosporidium spp. infection among companion birds kept in pet shops. The present study reports the prevalence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ryptosporidium spp. among companion birds kept in pet shops in Japan. A total of 265 fresh fec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birds kept in 4 pet shops; these birds belonged to 41 species in 3 bird orders. A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ay targeting the small subunit rRNA gene was employed for the detection of Cryptosporidium spp. A total of 24 samples (9.1%) were positive, and Cryptosporidium spp. were detected from all pet shops. The prevalence of Cryptosporidium spp. in each of the bird orders was 6.5% (10/153) in Psittaciformes, 14.4% (13/90) in Passeriformes, and 4.5% (1/22) in Galliformes. Based on sequence analysis, 13 (54.2%) isolates were classified to C. galli, 8 (33.3%) were avian genotype III, and the remaining 3 (12.5%) were C. baileyi. No infection with zoonotic C. meleagridis and no coinfection with multiple Cryptosporidium spp. and/or genotypes were observed. The zoonotic potential of Cryptosporidium spp. infecting companion birds kept in pet shops in Japan is likely to be low.

닭와포자충 감염이 닭의 뉴캣슬병 예방접종에 대한 면역억제 효과 (Immunosuppressive effect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fection on vaccination against Newcastle disease in chicks)

  • 이재구;김현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121-126
    • /
    • 1998
  • 닭와포자충 감염이 다른 병원체에 대한 닭의 체액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2일령 SPF 병아리에 $5{\;}{\times}10^5$의 닭와포자충 오오시스트를 한 번에 경구투여한 다음 4일과 21일 두 번에 걸척 뉴캣슬병 불활화 (사독) 백신을 접종하였다. 오오시스트 접종 후 2주부터 1주 간격으로 13주까지 채혈하여 혈구응집억제반응으로 ND HI $log_2$ 역가를 경시적으로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뉴캣슬병 바이러스에 대한 Hl가는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이 상당히 낮았으며 (p<0.01), 보다 빨리 음전하는 경향이었다. 백신의 보강주사 후 역가는 점점 높아져서 2주 ($5.00(\;}{\pm}{\;}0$; 비감염 대조군)와 4주 ($3.88{\;}{\pm}{\;}0.6658$; 감염 실험군)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점점 낮아졌다. 한편, 분변 내의 오오시스트 배설 양상은 통상적인 감염례와 같았다. 이로 미루어 보아 병아리가 닭와포자충에 감염되면 건강한 병아리에 비하여 뉴캣슬병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억제 현상이 일어나 감수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닭와포자충 재감염닭의 혈청1gG 항체가 추이 (Chronologic chrnge of serum IgG antibody response in chickens re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baileyi)

  • 이재구;김현철;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4호
    • /
    • pp.255-258
    • /
    • 1996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의 재감염에 대한 방어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장기간에 걸쳐 혈청IgG항체가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였다. 2일령의 SPF 병아리(Dekalb-Warren, Sex-Sal-Link)에 $5{\;}{\times}{\;}10^5$개 그리고 IgG가가 정상으로 복귀한 다음 10일인 340일령에 $1{\;}{\times}{\;}10^7$개의 닭와포자충의 오오시스트를 경구투여하고 나서 채혈하여 간점형광항체법을 이용하여 혈청IgG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IgG 가는 감염후 3일부터 38일까지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45일부터 1:21.33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여 120일에 1:512로 최고치에 이른다음 점점 떨어져 330일에 1:4로 정상치에 이르렀다. 도전 감염후 7, 14, 28일에 각각 1:16, 1:512, 1:1.024로서 점점 높아져 정점에 이른다음 급격히 떨어져 63일에 정상으로 복귀하였다. 한편, 대조군의 항체가는 모두 1:2~1:4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 원충의 도전감염전 및 후에 있어서 분변으로부터 집충시켜 제작한 Kinyoun 항산염색표본에서도 오오시스트를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분변내의 오오시스트의 소실 시기와 최초 감염에 있어서 IgG가의 피이크는 일치하지 않았다.

  • PDF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닭전염성기관지염 예방접종에 대한 면역억제 효과 (Immunosuppressive effect of Cryptosporidium bnileyi infection on vaccination against avian infectious bronchitis in chicks)

  • 이재구;양홍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3호
    • /
    • pp.203-206
    • /
    • 1998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다른 중요 가금 질병에 대한 체액성 면역억제 현상을 규명하기 위해 2일령의 보통 병아리에 $2{\;}{\times}{\;}10^6$의 닭와포자충 난포낭을 한번에 경구 투여한 다음 4일과 14 일 두 번에 걸쳐 닭전염성기관지염 생독백신을 접종하여 1주 간격으로 혈구응집억제반응으로 항체 가를 측정하였다 감염 및 비감염군 모두 평균 항체가는 점점 낮아져 2차 예방접종 후 2주에 최저 에 이른 다음 점점 높아져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일반적으로 평균 항체가는 비감염군에 비하 여 감염군이 의의있게 낮았다 (p<0.05). 한편, 이 두 병원체를 접종하지 않은 진정 대조군의 1일 령의 모체이행항체가 $log_2{\;}5.16{\;}{\pm}{\;}1.39$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낮아져 6주령에 이르러 완 전히 음전하였다. 이는 직선적인 변화를 하였으며, 주를 함수 (X)로 한 Y = -0.90X + 4.67의 일차방정식에 잘 부합하였으며, 실측치와 추정치와의 상관계수는 R = 0.9454이었다. 닭와포자충 감염 병아리는 건강한 것에 비하여 닭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억제현상이 일어나 아마도 감수성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sRBC에 대한 항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ptosporidium baileyi infection on antibody response to sRBC in chickens)

  • 이재구;김현철;박배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1호
    • /
    • pp.33-36
    • /
    • 1998
  • 닭에 있어서 닭와포자충 감염이 면역억제에 미치는 영항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150마리의 2 일령 SPF 병아리에 $5{\;}{\times}{\;}10^5$의 닭와포자충 오오시스트를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투여 후 3일부터 95일까지 4일 간격으로 5마리씩의 병아리 정맥 내에 $1{\;}{\times}{\;}10^7$의 SRBC를 주입한 다음 각각 5일 후에 혈액을 채혈하여 SRBC의 응집소가를 측정하였다. 감염군에 있어서 분변 속의 오오시스트 배설은 정상적인 양상이었으며. 응집소가는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감염, 비감염 양군 모두 점점 높아져 52일에 최고에 이른 다음 점점 낮아졌다 한편. 실험기간을 통하여 응집소가는 오오시스트를 투여하지 않은 비감염군에 비하여 오오시스트를 투여한 감염군이 의의있게 낮았다. (P<0.05) 결과로 미루어 보아 닭와포자충 감염닭은 비감염닭베 비하여 항체반응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