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 australi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Stereoscope를 이용한 미세종자류 한약재 외부형태 감별연구(제1보(報)) - 청상자(靑葙子) 계관자(鷄冠子) 토사자(菟絲子) 자소자(紫蘇子) (Identification of Morphological Appearance of Fine Seed Herbs Using Stereoscope (Report I) - Celosi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Cuscutae Semen, Perillae Semen)

  • 지창윤;김태주;이승호;김영식;이금산;김정훈;최고야;주영승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2
    • /
    • 2013
  • Objectives: This was study about identifying fine seed herbs that are highly mixed together: Celosi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Cuscutae Semen, Perillae Semen. Methods: In non-distinctive herbs through sensory test, we can find accurate discriminative points by using a stereoscope. As a result, a new discriminative key was completed. Results: We identified a comparison of herbs which are mixed up in distribution. 1) In the case of Celosiae Semen and Celoisae Cristatae Semen, Celoisae Cristatae Semen which is mixed up is bigger and more glossy and especially have the sunk umbilicus. 2) In the case of Cuscutae Semen and Perillae Semen, Perillae Semen is discriminated by characteristic morado netting surface and impression of fruit stalk in the single-ended. 3) In the case of Cuscutae Semen which is distributed in three species, we discriminated by beak shape, location of umbilicus and vomiting thread shape or not when put in water. (1) Cuscuta chinensis has a weak beaky shape, an umbilicus in center and is vomiting thread shape when put in water. (2) C. australis has very weak beaky shape, an umbilicus beneath and is vomiting thread shape when put in water. (3) C. japonica has clear beaky shape, an umbilicus beneath and is not vomiting thread shape when put in water. Conclusions: A stereoscop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dentifying fine seed herbs hardly distinguishable by sensory tests.

Dihydroaustrasulfone alcohol induces apoptosis in nasopharyngeal cancer cells by inducing reactive oxygen species-dependent in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 Kok-Tong Tan;Yu-Hung Shih;Jiny Yin Gong;Xiang Zhang;Chiung-Yao Huang;Jui-Hsin Su;Jyh-Horng Sheu;Chi-Chen L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7권4호
    • /
    • pp.383-398
    • /
    • 2023
  • Dihydroaustrasulfone alcohol (DA), the synthetic precursor of a natural compound (austrasulfone) isolated from the coral species Cladiella australis, has shown cytotoxic effects against cancer cells.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DA has antitumor effects on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ntitumor effects of DA and investigated its mechanism of action on human NPC cells. The MTT assay was used to determine the cytotoxic effect of DA. Subsequently, apoptosi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flow cytometry. Apoptotic and PI3K/AKT pathway-related protein expression was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ting. We found that DA significantly reduced the viability of NPC-39 cells and determined that apoptosis was involved in DA-induced cell death. The activity of caspase-9, caspase-8, caspase-3, and PARP induced by DA suggested caspase-mediated apoptosis in DA-treated NPC-39 cells. Apoptosis-associated proteins (DR4, DR5, FAS) in extrinsic pathways were also elevated by DA. The enhanced expression of proapoptotic Bax and decreased expression of antiapoptotic BCL-2 suggested that DA mediated mitochondrial apoptosis. DA reduced the expression of pPI3K and p-AKT in NPC-39 cells. DA also reduced apoptosis after introducing an active AKT cDNA, indicating that DA could block the PI3K/AKT pathway from being activated. DA increased intracellular ROS, but N-acetylcysteine (NAC), a ROS scavenger, reduced DA-induced cytotoxicity. NAC also reversed the chances in pPI3K/AKT expression and reduced DA-induced apopto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OS-mediates DA-induced apoptosis and PI3K/AKT signaling inactivation in human NPC cells.

대형수생식물이 팔당호의 물질 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crophytes on Budget of Matters in Lake Paldang)

  • 박혜경;정동일;변명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1호통권115호
    • /
    • pp.85-92
    • /
    • 2006
  •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일차생산과 영양염류의 흡수량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4년 8월부터 11월까지 애기부들, 줄, 갈대, 마름, 연 및 생이가래 등 6종의 우점 대형수생식물종을 선정하여 서식면적과 건중량, 원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팔당호 전체에서 6종의 대형수생식물이 서식하는 총 면적은 약 1.37 $km^2$이었고 그 중 애기부들이 팔당호 연안수역 식생면적의 46.7%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계별로는 남한강의 대형수생식물 서식면적이 0.458 $km^2$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북한강, 경안천 및 합류 수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대형수생식물을 대상으로 식물체내 탄소, 질소, 인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각 대형수생식물별 탄소함량은 정수식물인 줄, 애기부들 및 갈대에서 다른 생활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특히 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마름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 종별 질소 함량은 부유식물인 생이가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정수식물인 애기부들이 가장 낮았다. 대형수생식물종별 인 함량은 마름이 가장 높았고 정수식물인 줄과 갈대가 다른 대형수생식물군보다 적은 인 함량을 보였다.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2004년도 연간 물질순생산량을 산정한 결과 1차생산량은 758.4 ton C ${\cdot}$ $yr^{-1}$로 나타났고, 질소의 순흡수량은 16,921 kg ${\cdot}$ $yr^{-1}$, 인의순흡수량은 1,841,0 kg P ${\cdot}$ $yr^{-1}$로 나타났다. 같은 시기에 조사된 팔당호의 물질 수지와 비교한 결과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1차생산량 및 물질 흡수량은 전체1차생산량 및 유입량에 비해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이다.원에서 오폐수처리를 통해 하천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11}C]raclopride$ PET을 이용하여 비흡연 정상인에서 흡연에 의한 도파민 유리를 영상화 및 정량화

옥신 처리 농도 및 시기에 따른 갈대 지상경 삽목 효율 (Cutting Efficiency Using Phragmites australis Culms According to Content and Timing of Indole-acetic Acid Treatment)

  • 홍문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갈대 지상경 채취시기와 관련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을에 채취한 갈대에 생장조절 식물호르몬인 옥신(IAA)을 다양한 농도($10^{-3}$ M, $10^{-6}$ M, $10^{-9}$ M, $10^{-12}$ M)로 처리하였다. 2012년 9월 5일, 상당 부분 경화가 진행된 산지 습지 갈대에 옥신을 처리한 결과 240개의 절편으로부터 총 19개의 경엽부 출현이 확인되었으며, $10^{-6}$ M에서 옥신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산지 습지로부터 이식하여 서울대학교에서 1년간 생육시켜온 갈대의 경우 약 2주 가량 늦게(2012년 9월 19일) 실험을 수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10^{-6}$ M의 옥신 처리 후 60개의 삽목 절편으로부터 총 50개의 경엽부가 출현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방법으로 약 40일 가량 더 경과한 시점인 10월 29일 삽목 실험 결과 60개의 절편으로부터 오직 2개의 경엽부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선 두 실험 시 서울의 기온이 $20^{\circ}C$ 안팎이었던데 반해 세 번째 실험시엔 $10^{\circ}C$ 수준으로 부정아 형성이 이뤄지기엔 다소 낮은 기온이 그 원인으로 보여 진다. 삽목 절편의 직경이 두꺼울수록 출현 경엽부의 직경도 두꺼웠으며(경엽부의 직경은 삽목한 절편 직경의 약 20% 수준이었다.), 이는 더 큰 초고 생장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되도록 두꺼운 갈대 절편을 삽목에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Lemanea manipurensis sp. nov. (Batrachospermales), a freshwater red algal species from North-East India

  • Ganesan, E.K.;West, J.A.;Zuccarello, G.C.;de Goer, S. Loiseaux;Rout, J.
    • ALGAE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15
  • A new macroscopic riverine red algal species, Lemanea manipurensis sp. nov. (Batrachospermales) is described from Manipur in northeast India. It has a sparsely branched, pseudoparenchymatous thallus with a single, central axial filament that lacks cortical filaments. Spermatangia occur generally in isolated, low and indistinct patches or form an almost continuous ring around the axis. Carposporophytes project into the hollow thallus cavity without an ostiole. The most striking morphological feature is the carposporophyte with very short gonimoblast filaments having cylindrical, narrow and sparsely branched sterile filaments, the terminal cell of each branch with a single, large, elongate carpospore. The widely distributed L. fluviatilis has spherical carpospores in long branched chains. Phylogenetic analysis of rbcL sequence data and comparison with other Batrachospermales clearly show that our specimens do not align with other species of Lemanea and Paralemanea investigated thus far. Five specific names attributed in previous literature (1973-2014) to Lemanea from Manipur, L. australis, L. catenata, L. fluviatilis, L. mamillosa, and L. torulosa are rejected until critical anatomical and molecular evidence is available for specimens from the Manipur river systems. Taxa referable to Paralemanea were not confirmed for India in this study. In view of the high demand for food and medical uses of L. manipurensis in northeast India, conservation measures are needed for its long term survival. The present paper constitutes the first combined morphological / molecular study on a freshwater red alga from India.

복합유용미생물 및 수생식물을 활착시킨 흙블록을 이용한 자연정화 처리방법 연구 (Natural Purification Treatment using Soil Brick with Combined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Emergent Plants)

  • 심학재;오용걸;박철휘;강원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3-550
    • /
    • 2015
  • In this study, using soil brick with combined effective microorganisms and emergent plants was identified which it can increase the effect of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water. Lab-test was consist of four kind of reactors and each of reactors were A(rawwater), B(soil brick), C(emergent plant) and D(soil brick+emergent plant). Iris pseudoacorus, Phargmites australis, Typha angustifolia and Zizania latifolia were used for emergent plant. Evaluation of application on various environment were performed on agricultural waterway and pond. The pH measurement test of soil brick was performed due to evaluate whether a strong alkaline water flows out of the soil brick. Result of lab-test, removal efficiency of D was better than removal efficiency of A presenting 20.9%, 27.9% 21.5%, 33.8% and 58.4% for $COD_{Cr}$, $BOD_5$, TN, TP and TSS respectively. Removal efficiency of soil brick on agricultural waterway was revealed to be 49.5%, 45.0%, 43.7%, 37.3% and 28.6% for $COD_{Cr}$, $BOD_5$, TN, TP and TSS respectively. And removal efficiency of soil brick on the pond was revealed to be 12.7%, 10.5%, 9.32%, 10.4% and 36.3% for $COD_{Cr}$, $BOD_5$, TN, TP and TSS respectively. Result of pH measurement test of soil brick was neutral which was about 6 to 8.

Analysis of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30 Cultivars of Korean Mulberry (Rosales: Moraceae) in Korea

  • Kwon, O-Chul;Kim, Hyun-Bok;Sung, Gyoo-Byung;Kim, Yong-Soon;Ju, Wan-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7권2호
    • /
    • pp.82-89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30 mulberry cultivars converved in Korea based on the ITS rDNA region, and they were compared to 40 reference sequences from GenBank. The size and the G+C content of the ITS rDNA gene regions from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and 40 reference sequences varied from 612-630 bp and 58.19-61.62%,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TS rDNA regions of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and 40 reference sequence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2, and 3) and two subgroups (Group 1A and 1B within Group 1). The sequence lengths of the Korean mulberry cultivar numbers 1-26 and 27-30 were 615 bp and 616 bp, respectively. At 205 bp location of ITS1 rDNA region, the cultivar numbers 1-26 contain the nucleotide thymine but the cultivar numbers 27-30 contain the nucleotide adenine. In addition, the insertion of the nucleotide adenine at 206 bp location was found only in the four Korean mulberry cultivars (numbers 27-30). Based on these sequence information and phylogenetic result, the 30 Korean mulberry cultivars were identified as M. alba and M. australi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genetic database constructions and accurate variety identifications for unidentified mulberry varieties in Korea.

고라니(Hydropotes inermis)의 분변이 습지 토양의 CO2 flux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effect on CO2 flux of wetland soil by feces of Korean water deer(Hydropotes inermis))

  • 박효민;전승훈;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3-292
    • /
    • 2015
  • 토양으로부터 방출되는 $CO_2$의 양은 전 지구적 지구 탄소 순환에서 가장 큰 방출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토양 내 미생물의 유기물질 분해 과정에 의해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토양의 탄소 저장량을 장기적으로 결정하는 요인이 되므로 그 양을 정량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토양에서 고라니의 분변이 $CO_2$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그리고 고라니의 분변이 토양의 $CO_2$ 배출에 주는 영향과 토지의 이용에 따라 변화하는 $CO_2$ flux를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고라니 분변 내 많은 유기물질은 토양 미생물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고 그로 인해 토양의 호흡 및 토양 내 물리 화학적인 변화가 발생되어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4개 지역의 토양(경작지, 휴경지, 버드나무 군락, 갈대습지)의 C/N ratio와 $CO_2$ flux는 분변의 유무와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P<0.01), 분변의 영향을 받은 토양의 $CO_2$ flux는 분변의 영향을 받지 않은 토양보다 2-20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고라니의 분변이 토양에 주는 영향과 야생동물 분변을 이용한 토양 물질 순환 연구를 통해 육상 생태계 및 토양권의 물질 순환과 그 영향의 정도를 정량화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파종기(播種期)의 차이(差異)가 대두(大豆)와 일년생(一年生) 잡초와의 경합양상에(競合樣相)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ybean Seeding Time on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Soybeans and Annual Weeds)

  • 변종영;김칠현;김소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2-56
    • /
    • 1981
  • 대두(大豆)를 파종기(播種期) 5 월(月) 20 일(日)과 6 월(月) 20 일(日)에 파종(播種)하고 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期間)과 잡초방제기간(雜草防除期間)을 각각 0, 3, 6, 9, 12 주(週) 또는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으로 할 때 작물(作物)과 잡초(雜草)와의 경합양상(競슴樣相)과 대두(大豆)의 감수(減收)를 적게 할 수 있는 최소잡초방제기간(最少雜草防除期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9년(年)과 1980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l. 본(本) 시험포장(試驗圃場)의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쇠비름, 중대가리풀, 개갓냉이, 명아주, 깨풀, 피, 바랭이와 여뀌 등이었다. 2.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重)은 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특히 만파(晩播)에 비하여 조파(早播)할 때 그 경향(傾向)은 더욱 현저하였다.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은 잡초(雜草)의 경합기간(競合期間)이 길어짐에따라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생육초기(生育初期)에만 경합(競合)하면 만파(晩播)할 때 감수율(減收率)이 컸지만 12 주(週)이후에는 조파(早播)한 경우에 감수정도(減收程度)가 심하였다. 3. 잡초방제기간(雜草防除期間)이 길수록 잡초(雜草)의 건물중(乾物重)은 두 파종기(播種期)에서 모두 감소(減少)되었으나 대두(大豆)의 수량(收量)은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었다. 대두(大豆)의 감수율(減收率)은 잡초방제기간(雜草防除期間)이 길어짐에 따라 적어졌으며 만파(晩播)한 경우에 감수정도(減收程度)가 더 심하였다. 따라서 만파(晩播)하면 잡초문제(雜草問題)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되며 적어도 대두(大豆) 파종후(播種後) 6주이상(週以上)은 잡초(雜草)를 제거(除去)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한 렙토스피라증 진단의 검토 (Diagnosis of Leptospirosis by Enzyme-liked Immunosorbent Assay)

  • 박경희;장우현;이정상;최강원;박경석;오희복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1-189
    • /
    • 1986
  • To apply ELISA to serodiagnosis of leptospirosis with killed whole cells from Leptospira interrogans serovars mwogolo (Mwogolo), copenhageni (M-20), WH-20, autumnalis (Akiyami A), cynopteri (3522 C), australis (Bacillico) and Leptospira biflexa serovar patoc (patoc 1),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as evaluated. The reactivity of IgM and IgG antibody in the sera from patients with leptospirosis,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and other febrile disease and normal healthy control to the killed whole cells was analys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activity (absorbance at 492mn) of IgM and IgG to L. mwogolo antigen in the sera of pattients with leptospirosis were $1.414{\pm}0.370$, $1.242{\pm}9.554$ respectively: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0.329{\pm}0.131$, $0.239{\pm}0.126$; other febrile disease, $0.196{\pm}0.071$, $0355{\pm}0.141$; normal healthy control, $0.136{\pm}0.016$, $0.208{\pm}0.077$. 2. The reactivity of IgM and IgG to L. copenhageni, WH-20, L. autumnalis, L. cynopteri and L. anstralis antigens were similar to that to L. mwogolo antigen, but that to L. biflexa antigen was not discriminated among above disease. 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AT titer and ELISA OD (IgM) to the above antigens was in the range of 0.071-0.518. 4. As absorbance above 0.60 was determined positive for the diagnosis of leptospiros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IgG was 25-89% and 91-96% respectively. And those of IgM was 98-100% and 89-100% except L. biflexa (29%)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