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peptide

검색결과 1,078건 처리시간 0.021초

미국자리공 종실로부터 항균성 펩타이드의 분리 및 특성 연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fungal Peptide from the Seeds of Phytolacca americana)

  • 손대영;신봉정;윤대진;성기영;정영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3-208
    • /
    • 1998
  •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an antifungal peptide from the seeds of Phytolacca americana. Growth inhibition assay with Botrytis cinerea was used to screen inhibitory proteins from 60 different plant species. A 4 kDa antifungal peptide (Pa-AFP) inhibitory to hyphal growth of B. cinerea was found in the seeds of P. americana. The peptide Pa-AFP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chromatographies of Sephadex G-50, DEAE-Sepharose, Sephacryl S-300, and C18 reverse-phase HPLC.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a polyclonal antibody raised against the purified peptide cross-reacted with a 4 kDa protein in seeds but not in root and leaf tissues of P. americana. Pa-AFP inhibited the hyphal growth of Botrytis cinerea, Rihzoctonia solani, Fusarium oxysporum, and Magnaporthe grisea. Pa-AFP exhibited growth inhibi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BWG7a, which was sensitive to osmotin.

  • PDF

김 가수분해물로부터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저해 Peptide의 분리$\cdot$정제 (Separation and Purification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Layer Hydrolysate)

  • 이헌옥;김동수;도정룡;권대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4-172
    • /
    • 2001
  • 본 연구는 김의 Maxazyme NNP 가수분해물로부터 여러 단계의 column chromatography 및 HPLC를 통해 ACE 저해 peptide를 분리, 정제하여 이의 분자량과 amino acid sequence를 분석하였다. ACE 저해 효과가 큰 저분자 peptide의 함량이 많은 가수분해물을 얻기 위한 최적의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 Maxazyme NNP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효과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김의 효소 가수분해물로부터ACE 저해 peptide만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추출 조건 시험에서, 색소 제거를 위해서는 diethylether 처리가, 다당류 및 고분자 단백질 제거를 위해서는 $70\%$ ethanol 처리가 각각 선정되었다. 김 가수분해물로부터 ACE 저해 peptide를 분리, 정제하기 위한 첫 단계로 ultrafiltration을 한 결과, 분자량 3,000 이하 분획물의 ACE 저해 효과가 $69.4\%$로 가장 높았으며, 이 분획물을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Sephadex G-25) , reverse-phase HPLC (ODS & Vydac C-18) 및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Superdex Peptide HR)와 같은 단계별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최종적으로 단일 peptide peak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단일 peptide peak들의 분자량을 Electrospray-Mass Spectrometer로 측정한 결과, 각각 413.48 (S1O2V2V1P),346.86 (S1O2V2V2P) 그리고 320.32 (S2O6V3V1P) dalton이었으며, 이들 peptide의 amino acid sequence는 N-말단으로부터 아미노산 잔기를 분석한 결과, 각각 Val-Gln-Gly-Asn, Thr-Glu-Thr 및 Phe-Arg으로 확인되었다.

  • PDF

대장균에서 Bacillus subtilis의 Mannanase 유전자 과잉발현 (High-Level Expression of A Bacillus subtilis Mannanase Gene in Escherichia coli.)

  • 권민아;손지영;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12-217
    • /
    • 2004
  • Glycosyl hydrolase family 26에 속하는 Bacillus subtilis WL-7 mannanase를 코드하는 유전자를 대장균에서 과잉 발현하였다. 아미노 말단의 signal peptide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mannanase 유전자를 각각 pET24a(+)에 도입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ETMAN과 pENS7를 제조하였다. 이들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Escherichia coli BL21(DE3)에서 mannanase를 발현시킨 결과 signal peptide가 제거된 mannanase유전자의 발현량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배양온도 $37^{\circ}C$에서 pENS7를 함유한 재조합 대장균에서 과잉 발현된 mannanase는 대부분이 불활성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배양온도를 $31^{\circ}C$이하로 하였을 때 수용화 형태의 효소량이 증가하면서 효소활성이 높아졌다. IPTG에 의해 발현된 재조합 대장균의 균체파쇄 상등액 중에 존재하는 mannanase 활성은 배양온도 $25^{\circ}C$~28$^{\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전체 단백질량을 기준으로 볼 때는 배양온도 $31^{\circ}C$에서 비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상(正常) 한국인(韓國人) 혈청(血淸) 포도당(葡萄糖), Insulin 및 C-Peptide의 일중(日中) 변동(變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Diurnal Variations in Serum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of Normal Korean Adults)

  • 홍기석;최두혁;정준기;이홍규;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1-53
    • /
    • 1983
  • It is already well known that many factors are involved in maintaining normal blood glucose level. The amount and components of meal are also thought to be som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s. It is reported that as for Koreans sugar takes up over 75% out of 2,098 kcal, the average daily calorie intake per adult. It implies that Koreans take a high-sugar diet compared with Westerners who take $40\sim50%$ of sugar out of their total average daily calorie. For the purpose of studying diurnal variations in serum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of normal Korean adults based on ordinary Korean diet, we selceted 13 normal Korean male adults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Group I (7 persons) and Group II (6 persons). We put Group I on 3,100kcal and 75% sugar diet, and Group II on 2,100 kcal and 69% sugar diet per day for over 4 days. Serum glucose, insulin and C-peptide were checked every 30 minutes or every hour throughout 24 hours.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serum glucose level, in the prep ran dial fasting state in the morning, $mean{\pm}S.D.$ of Group I was $91.1{\pm}8.2mg%$, while that of Group II is $82.5{\pm}4.4mg%$. Both groups showed peaks of increased glucose level at postprandial 1 hour after each meal. The peak returned to the level shown during the fasting state at postprandial 1 hour after breakfast while the relatively high glucose levels were maintained respectively even for 2 or 3 hours.after lunch and dinner. 2. As for serum insulin level, Group showed $mean{\pm}S.D.$ of $14.7{\pm}3.0{\mu}U/ml$ while Group II shows that of $7.0{\pm}2.6{\mu}U/ml$ in the fasting state. Group I particularly showed the largest peak from preprandial a half or one and half an hour to postprandial one hour of lunch, and made relatively small peaks $(47.7{\pm}10.8{\mu}U/ml)$ at postorandial 1 hour after breakfast and dinner. No such large peak was marked in Group II, though it showed relatively similar patterns of peak after each meal. 3. As for C-peptide, in the fasting state, Group I and Group II showed $3.50{\pm}1.85$ and $1.66{\pm}0.53ng/ml$ of $mean{\pm}S.D.$, respectively. Group II showed peaks parallel to those for insulin level. None out of seven in Group I showed expected increase in C-peptide based insulin secretion at a half or one and half an hour before lunch. On the contrary, C-peptide increased in 5 subjects out of seven in Group I at 11:00 p.m. when insulin did not increase. 4.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ncentration method for a measurement of 24-hour total. insulin secretion rate, the $mean{\pm}S.D.$ of Group I was $76.4{\pm}15.2$ U and that of Group II was $58.6{\pm}21.1$ U.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Koreans, when given ordinary diet of 2,100 kcal and 69%, sugar, show insulin secretion pattern essentially similar to that of Westerners. On the contrary, when they are put on a high-calorie diet of 3,100 kcal a day, 75% of which is sugar, insulin secretion can be increased before lunch without increase in blood glucose. These results implies that insulin secretion can be affected by some other factors. The observation that an increase in C-peptide after 11 : 00 p.m. independent of insulin level supports an assertion that insulin secretion and C-peptide secretion can be thought as being physiologically dissociable, and these changes of diurnal patterns in the levels of serum insulin and C-peptide are thought to be resulted from the large meal and high-carbohydrate diet.

  • PDF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1 보)(第 1 報) 분리(分離) 및 그 생화학적작용(生化學的作用)과 성질(性質)에 대(對)해서 - (Studies on the inhibitory substance of yeast growth - (Part 1) Isolat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east growth inhibitor -)

  • 서정훈;고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1호
    • /
    • pp.19-25
    • /
    • 1972
  •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로 부터 항효모성물질(抗酵母性物質) Yeaststatic substance인 일종(一種)의 peptide (Astradix-P)를 얻었으며 이 물질(物質)의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다. 1) 이 물질(物質)은 일종(一種)의 peptide이며 그 PI는 8.2로 나타났다. 2) 이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증식(增殖)을 조해(阻害)하며 이 조해(阻害)는 정균효과(靜菌效果)에 기인(起因)한다. 3) 본(本) 물질(物質)은 열안정성(熱安定性)이 매우 커서 $100^{\circ}C$에서 10시간(時間), 혹은 $121^{\circ}C$에서 30분간(分間) 가열(加熱)하여도 거의 실활(失活)하지 않는다. 4) pH에 대(對)해서도 안정(安定)하며 $pH2{\sim}pH10$까지는 별(別) 영향(影響)이 없다. 5)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glucose, sucrose, maltose등의 당류(糖類)는 그 농도(濃度)에 관계(關係)없이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아니한다. 6) 본(本) 물질(物質)의 작용(作用)에 있어서 Mg, Ca, $PO_4$ 등 염류(鹽類)도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7)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류(酵母類)의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며 그 유효농도(有效濃度)는 ${\mu}g/ml$의 범위(範圍)에 있으며 예(例)로서, Saccharomyces carlsbergensis, S. cerevisiae 등 균주(菌株)의 $G.I.\;_{50}$$4{\mu}g/ml$이며, S. coreanus, S. sake는 13, $18\;{\mu}g/ml$이며, Candida pulcherrima는 $3\;{\mu}g/ml$, C. tropicalis는 $38{\mu}g/ml$로 나타났다. 8) 본(本) 물질(物質)은 효모(酵母)의 alcohol 발효(醱酵)에 대(對)해서 전연(全然)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는다.

  • PDF

천잠 cecropin-A 유전자 클로닝 및 재조합 발현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of a cecropin-A gene from the Japanese oak silkworm, Antheraea yamamai)

  • 김성렬;최광호;김성완;구태원;황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5-51
    • /
    • 2014
  • 면역 유도된 천잠(Antheraea yamamai) 유충에서 cecropin-A 유전자를 분리하였고 이 유전자를 Ay-CecA로 명명하였다. 전체 Ay-CecA cDNA 크기는 419 bp로 64개의 아미노산 잔기를 인코딩하는 195 bp ORF로 구성되어 있다. 천잠 CecA 유전자는 22개 잔기의 signal peptide, 4개 잔기의 propeptide 및 항균활성을 갖는 37개 잔기로 구성된 성숙 단백질(mature protein) 영역으로 구성되고 예상 분자량은 4046.81 Da으로 산출되었다. 천잠 CecA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른 나비목 곤충에서 분리된 cecropin와 매우 높은 상동성(62 ~ 78%)을 나타냈다. Ay-CecA 유전자의 C말단에 기존에 보고된 곤충의 cecropin에서와 동일하게 C말단 아미드화를 위한 glycine 잔기가 존재하고 있다. 이 펩타이드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대장균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활성이 있는 재조합 Ay-CecA 발현에 성공하였다. 발현 기주인 대장균에 대한 재조합 CecA 독성 중화를 위해서 불용성 단백질인 ketosteroid isomerase(KSI) 유전자를 CecA 유전자와 융합하였다. 융합 CecA-KSI 단백질은 대부분 불용성 단백질로 발현되었다. 발현된 융합단백질은 Ni-NTA immobilized metal affinity chromatography(IMAC)에 의해서 정제하였으며 CNBr 반응을 통하여 재조합 CecA를 절단하여 용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양이온 교환 chromatography 과정을 통하여 CecA를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재조합 Ay-CecA는 그람음성균인 E. cori ML 35, Klebsiella pneumonia 및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해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높은 항균활성 지닌 CecA는 천잠의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Screening Peptides Binding Specifically to Colorectal Cancer Cells from a Phage Random Peptide Library

  • Wang, Jun-Jiang;Liu, Ying;Zheng, Yang;Liao, Kang-Xiong;Lin, Feng;Wu, Cheng-Tang;Cai, Guan-Fu;Yao, Xue-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377-381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creen for polypeptides binding specifically to LoVo human colorectal cancer cells using a phage-displayed peptide library as a targeting vector for colorectal cancer therapy. Human normal colorectal mucous epithelial cells were applied as absorber cells for subtraction biopanning with a c7c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Positive phage clones were identifi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fluorescence detection; amino acid sequences were deduced by DNA sequencing. After 3 rounds of screening, 5 of 20 phage clones screened positive, showing specific binding to LoVo cells and a conserved RPM motif. Specific peptides against colorectal cancer cells could be obtained from a phage display peptide library and may be used as potential vectors for targeting therapy for colorectal cancer.

Characterization and cDNA Cloning of a Defensin-Like Peptide, Harmoniasin, from Harmonia axyridis

  • Kim, In-Woo;Lee, Joon-Ha;Park, Ha-Yan;Kwon, Young-Nam;Yun, Eun-Young;Nam, Sung-Hee;Kim, Seong-Ryul;Ahn, Mi-Young;Hwang, Jae S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1호
    • /
    • pp.1588-1590
    • /
    • 2012
  • We compared the mRNA expression profile of the Harmonia axyridis larvae that were either untreated or treated with LPS. The extracted mRNAs were subjected to ACP RT-PCR analysis using a combination of arbitrary primers and oligo (dT) primer. Among the 47 DEGs differentially expressed, we identified a cDNA showing homology with defensin-like antibacterial peptide. The cDNA showed a putative 32-residue signal sequence and a 50-residue mature peptide named harmoniasin. We also investig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harmoniasin analog, which exhibited poten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Gramnegative and -positive bacteria strains and it also evidenced no hemolytic activity.

누에에서 새로운 항세균성 펩타이드 유사 유전자의 분리와 염기서열 결정 (Molecular Cloning of a Gene Encoding a Putative Antibacterial Peptide from Bombyx mori)

  • 김상현;제연호;윤은영;강석우;김근영;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21-325
    • /
    • 1996
  • 누에에서 새로운 항세균성 펩타이드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E. coli K12로 체강 주사한 누에 유충의 cDNA 유전자 은행에서 차별화 선별로, 잠재 항세균성 펩타이드 유전자로 추정되는 BmInc8 클론을 분리하였다. BmInc8은 564bp의 크기를 가지며, 59개 아미노산을 coding하는 open reading frame과 2개의 잠정 폴리아데닐화 부위를 보유하고 있었다. BmInc8은 M. sexta에서 분리, 보고된 bactericidine 유전자와 61.2%의 DNA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연역된 펩타이드 구조는 항세균성 펩타이드의 일종인 cecropin과 유사한 2가닥의 $\alpha$-helix가 Lysine-Proline 경첩부위에 의해 포개져 있는 형태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cDNA 삽입 부위의 기능성 검정을 위해 원핵 발현벡터인 pT7-5를 이용하여 E. coli BL21(DE3) 균주에 형질전환하고 IPTG로 induction한 결과 E. coli BL21(DE3) 균주의 성장이 정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BmInc8은 DNA 상동성 비교, 연역 아미노산의 구조 추정 및 cDNA 삽입 부위를 이용한 transient expression 결과 항세균성 펩타이드를 coding하는 유전자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Bminc8의 cDNA 유전자 정보를 GenBank에 등록하였으며 등록 번호는 U30289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