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ton mushroo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9초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과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Sing.)의 저온 저장과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Low Temperature Storage and Storage Period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Lentinula edodes GNA01) and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Sing.))

  •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윤예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4-18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n storage by temperature between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Lentinula edodes GNA01) and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Methods: Dewdrop Pine Mushroom and button mushroom were prepared at low storage temperature. Results: Weight loss increased with time, whereas the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showed a decrease of less than 4% until 15days. Hardness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reduces less than button mushroom during storage. Color change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not altered during storage. For viable cell count,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proliferated less than button mushroom. For antioxidant activity, polyphenol content increased with storage period of both mushrooms. The electron-donating action of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maintained high antioxidant activity accounting for 80% until 12 days of storage.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evaluated as better than pine mushroom as it exceeded the middle of storage in sensory characteristics; such as appearance, color, aroma and overall acceptability, etc. Conclusion: In summary, new cultivar Dewdrop Pine Mushroom was stored for 12 days while button mushroom was stored for 9 days.

백색양송이와 갈색양송이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White and Brown Button Mushrooms)

  • 오연이;김민식;장갑열;오민지;임지훈;이종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9-126
    • /
    • 2022
  • 전염병확산에 따라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능성이 소비자들의 버섯 구매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양송이 소비촉진을 위한 기능성 정보를 알리기 위해 백색 느티만가닥버섯를 대조구로 백색양송이와 갈색양송이로 구분하여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색양송이는 갈색양송이에 비해 당도와 무기성분인 칼륨이 높았으며, 나트륨과 마그네슘, 비타민 C는 갈색양송이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Ergosterol 함량은 백색양송이가 갈색양송이 대비 약 2배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갈색양송이는 백색양송이에 비해 𝛽-Glucan, 유기산인 oxalic acid가 높았지만, 총 유기산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아미노산은 Ergothionein, Isoleucine, Leucine, Glycine, Alanine, 비타민은 B 그룹, 그리고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갈색양송이가 백색양송이보다 높았다.

경북지역 양송이버섯(Agaricus bisporus) 생산 감소 원인 연구 (The causes of production decrease in button mushroom of Gyeongbuk province)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숙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2
    • /
    • 2015
  • 국내 양송이버섯 생산동향 및 생산량 감소 원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2000년 이후 국내 양송이버섯의 생산량은 70%, 농가수는 37%가 감소하였으며 경북지역은 감소폭이 더욱 컸다. 국내 재배면적은 6%가 증가하였지만 경북지역은 30%가 감소하였다. 2002년 이후 중국산 양송이(조제)가 공급되면서 양송이버섯 시장은 농가수가 감소하는 등 큰 영향을 받았으나 양송이버섯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특히,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감소로 시장으로 공급되는 양이 수요량보다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나. 양송이버섯의 생산량이 감소한 원인으로는 농가경영여건의 악화, 수량보다는 품질에 중점을 둔 재배방식의 변화, 중국산 양송이버섯의 수입, 기후변화로 인한 재배환경 변화, 재배시설의 노후화, 양송이버섯 재배용 국산설비의 개발이 부진하였던 것을 뽑을 수 있다. 특히, 양송이버섯 재배용 배지의 원재료의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며, 선진국에 비해 배지의 생산기술이 떨어지지만, 1980년대 이후 정착된 불안정한 한국형 배지생산 시스템으로 인해 양송이버섯 배지의 품질이 낮아진 것이 국내 및 경북지역의 양송이버섯 생산량 감소에 주요 원인 중 한가지로 작용하였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Button Mushroom Cultivation Compost Post-Fermentation System"

  • Rho, Si-Young;Kwak, Kang-Su;Lee, Hyun-Dong;Yu, Byeong K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83-189
    • /
    • 2021
  • 이 연구는 한국형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 후발효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양송이버섯 농가의 노동력 절감, 생산 사이클 단축을 통한 농가 소득 증가를 목적으로 두고 있다. 한국형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 후발효 시스템은 국내 양송이버섯 농가의 현실을 반영하여 설계되었으며, 후발효 시스템 내의 발효 배지의 온도 차를 줄여 균일한 품질을 보장하는 양송이버섯 재배 배지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성능 실험 결과 배지 후발효 시스템이 40시간의 작업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양송이버섯 배지에 도움이 되는 호기성 세균 및 방선균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양송이버섯 품질을 저하시키는 사상균은 살균됨을 확인하였다.

양송이버섯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ous) Powder)

  • 이진실;정성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8-105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dding four different amounts (0%: control, 4%: M-4, 8%: M-8, 12%: M-12)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The bulk density and pH of the dough, and firmness, color, spread factor, consumer acceptability of cookies, and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shroom powder and cookies were measured. While the bulk density and pH of the dough as well as spread factor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irmness, L values and total phenol compound contents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oki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ushroom powder content(p<.05). The consumer acceptability scores for the button mushroom cookie groups ranked significantly(p<.05)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general acceptability, appearance, flavor, color, taste, and tex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button mushroom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the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okies.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of various cereal grains in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Lee, Byung-Eui;Seo, Geon-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37-243
    • /
    • 2014
  • Spawn is the vegetative growth of the mycelium and serves as the inoculum or seed for cultivating mushrooms. Various cereal grains, such as wheat, millet, barley, sorghum, brown rice, rye, and oat were assessed to compare their characteristics and suitability for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The mycelial growth rates, density, and the number of completely colonized grains were measured from the twentieth day of inoculation. Wheat grains showed fastest mycelial growth with 8.4 cm followed by rye, oat, barley with 8.2, 7.5 and 7.3 cm, respectively. In the mycelial density, foxtail millet, barley, and sorghum were best compared with that of wheat grains. Especially, the number of grains which were completely colonized by mycelia were greatest in foxtail millet with 5,123 grains followed by proso millet, and wheat with 3,052 and 914,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barley, foxtail millet, and sorghum grains would be appropriate substituting for wheat grain in spawn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

Plant-growth promoting traits of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media

  • Yeom, Young-Ho;Oh, Jong-Hoon;Yoon, Min-H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4-139
    • /
    • 2021
  • A diverse group of plant-growth promoting bacteria were isolated in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media to investigate the plant-growth promoting traits of compounds including indole acetic acid (IAA), ammonia,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deaminase, siderophore, and hydrogen cyanide. Twenty-one bacterial strains showing positive effects for all the test trait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to confirm bacterial diversity in the media habitat. Plant-growth promoting traits of the isolates were also assessed. All strains produced IAA ranging from 20 ㎍/mL to 250 ㎍/mL. Most of the isolates produced more than 80% siderophore. Four strains (Pantoea sp., PSB-08, Bacillus sp., PSB-13, Pseudomonas sp., PSB-17, and Enterobacter sp., PSB-21) showed outstanding performances for all the tested traits. In a bioassay of these four strains using mung bean plant, the best growth performances (23.16 cm, 22.98 cm, 2.27 g/plant, and 1.83 g/plant for shoot length, root length, shoot dry weight, and root dry weight, respectively) were obtained from the plants co-inoculated with Bacillus sp., PSB-13. The resultant data indicate that button mushroom media have got a diverse group of bacteria with plant growth promoting abilities. Thus, the media could be a good recycling resource for using to an effective bio-fertilizer.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History of Mushroom Industry in Korea)

  • 유창현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
    • /
    • 2003
  • 한국의 버섯재배는 1960년대 초에 정부에서 농산물 수출과 농민의 소득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양송이와 표고의 증산계획을 세워 시작하였다. 농촌진흥청 산림청 등 국가 연구기관에서는 유전적 소질이 우수한 품종의 육성, 양질의 종균보급, 고품질 버섯을 대량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농민에게 재배기술을 교육하고 현지 지도를 하였으며, 재배시설비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하였다. 재배방법이 개발되어 농가에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시작한 버섯종류는 표고, 양송이, 느타리버섯, 팽이, 영지, 큰느타리버섯 등이다. 현재 버섯을 재배하는 농가는 약 2만호, 생 버섯의 총 생산량은 약 17만톤으로 느타리버섯이 가장 많고 다음이 팽이, 표고, 양송이 순으로 많다. 버섯의 총 농업생산액은 7,000억원을 넘으며, 연중생산이 가능한 농가의 중요한 소득작목으로 발전하였다.

  • PDF

톱밥과 계분을 이용한 새로운 양송이 재배방법 (New cultivation method of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utilizing mixture of sawdust and chicken manure)

  • 이병의;이찬중;윤민호;김용균;이병주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79-183
    • /
    • 2016
  • 양송이은 탄소원인 밀짚을 기본으로 질소원으로 마분과 계분을 혼합하여 재배하는 유럽식 재배방법이 대표적인 시스템으로서 기계화를 통한 과학적 영농방식으로 대단위 산업화를 이루고 있다. 국내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재배가 시작되어 현재까지 밀짚대신 농촌지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볏짚을 이용하고 있으나 볏짚은 밀짚과 다른 물성으로 기계화가 어렵고 축산 조사료와의 경쟁으로 원활한 수급도 어려우며 계절적인 영향으로 양송이을 재배하기에 적합한 볏짚을 충분히 확보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안정적인 양송이 원재료를 확보하기 위한 대체배지 개발을 위해 실시되었다. 대체배지 원재료로는 일반적인 버섯을 재배하는 톱밥을 발효 공정을 거쳐 퇴비화시켜 재배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1차 야외발효과정과 2차 실내 발효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기존 양송이 재배와 동일한 방식을 재배시험을 한 결과 버섯발생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생산량이 기존의 볏짚보다는 1/3 수준으로 적어서 톱밥에 대한 안정적인 퇴비화 공정 개선과 톱밥배지에 적합한 C/N율 선정 등 표준공정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재배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며 향후 국내 실정에 적합한 양송이 대체배지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농촌지역의 인력문제와 고령화는 기존의 재배방식으로는 생산성 향상이 어려우므로 현 재배농가의 문제점을 감안한 기계화를 병행한다면 톱밥배지는 기계화 자동화가 기존의 볏짚배지보다 유리하므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새로운 양송이 재배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며, 조단백질의 함량이 기존의 볏짚에서 생산된 버섯보다 높으므로 고품질 버섯으로의 식품소재로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갈색양송이 인지도 제고를 위한 소비 성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brown button mushroom consumption for raising awareness)

  • 오연이;장갑열;오민지;임지훈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0
    • /
    • 2019
  • 갈색양송이는 백색양송이보다 병에 강하고 재배관리가 쉬워 농가에서 재배를 하고 싶지만, 아직 국내 소비자들의 인식이 부족하여 일부 친환경 농가에서만 재배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갈색양송이에 대한 1분정도의 동영상으로 사전 정보를 준 후 인지도와 선호도를 SNS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응답자의 200명을 임의로 선정하여 식미평가를 진행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83%가 갈색양송이를 접한 적이 없다고 했으며, 동영상으로 정보를 접한 후 98%가 '맛에 대한 호기심'(44%)의 이유로 구매 의사를 밝혔다. 식미평가에서는 갈색양송이가 32%가 '맛있다', 31%가 '식감이 좋다', 28%가 '향이 좋다'로 응답하였다. 또한 섭취 후에 95%가 갈색 양송이 구매를 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로 갈색양송이에 대한 대중적 인식, 선호, 식미와 버섯에 영양성분과 기능성에 대한 정보가 소비로 이루어 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