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tana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Efficient Preparation of 3-Fluoropyrrole Derivatives

  • Kim, Bo-Mi;San, Quan-Ze;Bhatt, Lok Ranjan;Kim, Sung-Kwon;Chai, Kyu-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호
    • /
    • pp.31-34
    • /
    • 2010
  • Noble N-substituted-3-fluoropyrroles derivatives were prepared from new precursor via ring formation. The addition reaction of ethyl iododifluoroacetate to vinyl trimethylsilane under the Cu(0) catalyst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ethyl-2,2-difluoro-4-iodo-4-(trimethylsilyl)butanolate, which reacted with diisobutylaluminium hydride at $-30^{\circ}C$ to yield 2,2-diflouro-4-iodo-4-(trimethylsilyl)butanal. Finally, a series of N-substituted-3-fluoropyrrol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by the reaction of 2,2-diflouro-4-iodo-4-(trimethylsilyl)butanal with $NH_4OH$ or primary amines followed by reaction with KF solution.

홍삼과 청국장 혼합 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 기호도 (Color, Volatiles and Organoleptic Acceptability of Mixed Powders of Red Ginseng and Cheonggukjang)

  • 권중호;신진기;문광덕;정헌식;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83-489
    • /
    • 2006
  • 홍삼과 청국장의 단일 및 혼합 분말의 향미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원료와 제조회사가 다른 홍삼(J사 6년근, P인삼조합 5, 6년근)과 청국장($A{\sim}E$사 제품) 단일분말 및 혼합분말의 색도, 휘발성 성분 및 관능적기호도를 조사하였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색상은 시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홍삼의 경우 L값은 $75.56\sim85.50$, a값은 $1.90\sim6.30$, b값은 $23.29\sim35.08$이었고 청국장의 경우 L값은 $64.96\sim71.69$, a값은 $4.64\sim8.30$, b값은 $30.45\sim36.50$을 각각 나타내었다.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휘발성 성분은 시료별 차이를 보였으나 홍삼분말에서 주요성분으로는 hexanal, $\beta-pinene$, methyl benzene, 3,5-methyl propyl nonane, 2-propanone, decane, 2,8-dimethyl undecane 등이, 청국장분말에서는 2,3-butanedione, decane, 2,2,7,7-tetramethyl octane, 3-methyl butanal 등이 확인되었다. 홍삼과 청국장 혼합분말의 휘발성 성분의 양은 홍삼의 혼합양이 적어지고 청국장의 혼합양이 많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혼합분말의 관능적기호도는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동량 혼합일 경우가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 이 경우 주요 휘발성 성분은 2-propanone, 2-butanone, pentane, hexanal, 3-methyl butanal 등이었다. 이로써 홍삼과 청국장 분말의 향미특성은 제조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두 분말의 적정 혼합을 통하여 새로운 가공소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ge & Trap 법에 의한 국내산 우유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w's Milk by Purge & Trap Method)

  • 전장영;김성한;곽병만;안장혁;공운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8-83
    • /
    • 2005
  • 국내산 원유 및 우유의 향기성분을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Purge & Trap 및 GC-MS에 의하여 분석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Purge & Trap에 최대한 취할 수 있는 우유시료의 용량인 30 mL를 취하여 2시간 동안 헬륨가스로 purging하여 Tenax Trap에 흡착시켜 농축시킨 우유의 향기성분들을 탈착 후 GC-MS로 분석한 결과 우유의 향기성분들로 보고 된 주요 향기 성분들을 검출해 낼 수 있었다. 실험에 사용된 경상도 지역의 국내산 원유에서는 acetaldehyde, ethanol, 2-propanone(acetone), dimethyl sulfide, isobutanal,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pentanal, 3-hydroxy-2-butanone, methyl disulfide, hexanal 및 2종의 미지 성분 등 총 14종의 휘발성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원유를 탈취하여 얻은 우유에서 acetaldehyde, 2-propanone, hexanal 및 미지 성분 92(M/sup +/) 의 4종은 탈취전의 우유와 비교하여 그 양에 변화가 없었으나, ethanol, dimethyl sulfide, pentanal, 3-hydroxy-2-butanone 및 methyl disulfide 등의 향기 성분 6종은 완전히 제거되어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3-methyl 2-butanone, 2-butanone, 3-methyl butanal 및 미지성분 81(M/sup +/)의 4종은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Comparison of Volatile Components in Fresh and Dried Red Peppers (Capsicum annuum L.)

  • Jun, Hae-Roung;Cho, In-Hee;Choi, Hyung-Kyoon;Kim, Young-Su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392-398
    • /
    • 2005
  • Fresh, and sun- and oven-dried red peppers were analyzed for volatile components. Also, their odor-active compounds were determined using 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GC-O). More diverse volatile components, such as aldehydes, ketones, acids, and esters, were found in dried samples than in fresh ones. They included hexanal, ethyl acetate, ${\alpha}$-ionone, and ${\beta}$-ionone. Some Strecker aldehydes, 2-methyl butanal and 3-methyl butanal, were found only in dried red peppers. More hydrocarbons of high volatility and terpene-type components, such as ${\gamma}$-terpinene and aromadendrene, were detected only in fresh red peppers. A considerable amount of naphthalene was formed during sun-drying, whereas 2-furancarboxaldehyde, 1-methyl-1H-pyrrole and benzeneethanol were detected only in oven-dried red peppers. Characteristic odor of fresh ones could be attributed to 3-penten-2-o1, 2-methyl-2-butenal, 2-methoxy phenol, 2-hydroxy-methyl-benzoate, and 2-phenoxy ethanol, whereas some odorants, including 2-pentyl furan, naphthalene, hexyl hexanoate, and ${\alpha}$-ionone, could be responsible for distinctive odor property of sun-dried red peppers. 2-Furancarboxaldehyde, benzeneethanol, 4-vinyl-2-methoxy phenol, and unknown played important roles in odor property of oven-dried red peppers.

전자선 조사 동결건조 김치분말의 품질 특성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ophilized Kimchi Powder)

  • 홍상필;김은미;양지나;안동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14-618
    • /
    • 2007
  •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를 동결건조한 후 방사선량 별로 나누어 이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잔존 미생물수 분석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김치의 양념소재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미숙성김치와 숙성김치는 pH 및 적정산도는 차이가 있었으나 이의 동결건조물의 방사선 조사 처리구들 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하기 전 숙성김치의 색도는 미숙성김치에 비해 L, a 및 b값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으며, 조사처리 후에는 조사선량의 강도에 의한 영향은 거의 받지 않았고 미숙성김치는 숙성김치보다 색상에서 다소 변화를 보였다. 미숙성김치분말보다 숙성김치분말은 미생물에 대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30 kGy 조사 시에는 특히 총균수와 젖산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숙성김치분말에는 ethanol, 1-propene-3-methyl, disulfide dimethyl 및 disulfide methyl propyl 등의 휘발성 성분이 다소 많았고 특히 disulfide dipropyl 성분은 숙성김치분말에만 존재하는 특성을 보인 반면 그 외의 성분에서는 오히려 미숙성김치분말에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을 조사함에 따라 숙성김치분말에서는 2-butanone과 acetic acid, 핵산 및 butanal 2-methyl 성분 등이, 미숙성김치분말에서는 hexane 및 butanal 2-methyl 성분이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황화물의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한 김치분말에 대하여 이미, 이취 및 매운맛에 대한 관능평가결과 모두 조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와 이취는 증가하였으나 조사랑 30 kGy 까지는 수용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wo Phase Oxidation of Aldehydes with Chromic Acid

  • Jae Soon Kim;Tae Soung Huh;Nung Min Yoon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5-68
    • /
    • 1971
  • The possibility of the two-phase oxidation of an aldehyde to carboxylic acid was studied. Thus the ether solutions of representative aldehydes (2.0M) were treated with 1.5 mole equivalent of chromic acid solution (1.0M)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Of the ten aldehydes tested,m butanal, benzaldehyde, tolualdehyde, o-, m-, p-nitrobenzaldehyde and cinnamaldehyde could be oxidized conveniently to the corresponding carboxylic acid giving an 80-90% yield. But furfural gave only a 30% yield of furoic acid and the oxidation of salicylaldehyde was unsuccessful.

  • PDF

라면의 저장중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의 종류 및 양적 변화 (Kinds and Changes in the Amount of Flavor Compounds Formed during Storage of the Ramyon)

  • 최은옥;강우석;장영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2-56
    • /
    • 1993
  • $148-150^{\circ}C$의 팜유에서 약 1분간 튀겨낸 라면을 라면 $65^{\circ}C$에 저장할 때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들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을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고 20, 40, $65^{\circ}C$에 저장중인 라면에서 생성되는 flavor 화합물들의 양적변화를 static headspace gas chromatography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라면은 $65^{\circ}C$에 저장되는 동안 pentane, hexane, butanal, heptane, 1-pentanol, hexanal, octane의 화합물을 생성하였는데 이들은 주로 라면의 linoleic acid와 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는 듯하다. 이들 화합물들은 저장온도가 20, 40, $65^{\circ}C$로 증가함에 따라 또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exanal이 관능검사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87).

  • PDF

여름 느타리 버섯 (Pleurotus sajor-caju) 저장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nents of Pleurotus sajor-caju During Storage)

  • 정순택;홍재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2-298
    • /
    • 1991
  •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tion method에 의해 국내에서 인공재배되고 있는 여름 느타리 버섯(Pleurotus sajor-caju)을 실온과 냉장하에서 저장하면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의 머무름시간 비교에 의해 향기성분의 변화를 검토하여 보았다. 총 aroma contentrates의 함량은 냉장 저장시는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온 저장시는 큰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확인된 38종의 휘발성 화합물중 실온 저장시 ${\delta}-decalactone$만 약간증가하였으나 기타의 성분들은 현저히 감소한 반면 냉장 저장시는 2-methyl butanal, 1-octen-3-ol, cis,cis-1,5-octadien-3-ol, pentadecanoic acid등은 감소추세를 보였지만 3-octanone, 1-octen-3-one, 3-octanol, 5-undecanol등은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중량 감소와 관능적 특성은 실온 저장시 냉장 저장보다 심한 변화를 보였다.

  • PDF

화산석을 충전한 Biofilter에서 Ethyl acetate와 2-Butanol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 임진관;주창식;감상규;이동환;이민규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4-37
    • /
    • 2003
  • 화산석 담체를 충전한 biofilter에서의 ethyl acetate와 2-butanal의 혼합가스의 제거특성에 관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유입농도 변화 실험에서 EBCT를 30 sec로 유지한 채 혼합가스의 유입농도를 50 ~ 550 ppm 까지 단계적으로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살펴본 결과 ethyl acetate는 300 ppm까지 99.9%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2-butanol은 250 ppm까지 99.9%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유입유량 변화 실험에서 혼합가스의 유입농도를 150 ppm로 일정하게 하고서 EBCT를 60, 30, 15, 10 및 7.5 sec로 단계적으로 감소시킨 결과, EBCT가 15 sec로 유지하여 운전하더라고 99.9%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다. 또한 ethyl acetate 및 2-butanol의 최대제거용량은 각각 180 b/㎥/hr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화산석이 biofilter의 충전 담체로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