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iness cycle

검색결과 735건 처리시간 0.031초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attern of Industry in Decline: Focusing on Korean Shoe Industry

  • LEE, Kang-Sun;CHOI, Kyu-Jin;KANG, Sung-Wook;CHO, Dae-Mye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90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activation pattern of declining industries by applying the Gompertz growth model using available resources based on the theory of industrial life cycle, classifying declining industries among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identifying resource input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mbining the Gompertz growth model that predicts the limit of output based on available resources under the industrial life cycle theory. Using Gompertz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life cycle of 39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production, number of employees, and fixed assets Results - According to a life cycle analysis of 39 manufacturing industries in Korea, the computer, textile, and shoe industries were classified as declining industries. Among them, research on resource input characteristics on the shoe industry showed that domestic production and the number of employees de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domestic R&D personnel and the number of research departments gradually increased. Conclusion - Among the declining industries in Korea, the shoe industry is considered to revitalize the industry, that is, to extend the life of the declining industry by offshoring its production site and improving constitution with a "R&D center for global" support.

경기변동에 따른 유가충격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Business Cycles and Impacts of Oil Shocks on the Korean Macroeconomy)

  • 백인걸;김태환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9권2호
    • /
    • pp.171-194
    • /
    • 2020
  • 본 연구는 유가충격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재고찰하고 이 영향이 경기변동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 우선 로지스틱 확률분포를 통해 1980년 이후 한국의 경기침체 확률을 추정하고 이를 통계청에서 발표한 경기순환주기와 일치하도록 교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가충격에 대한 거시경제변수의 반응을 경기확장국면과 경기침체국면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비교적 최근 논의되고 있는 평활국면전환 백터자기회귀(STVAR)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불황기의 유가상승 충격은 국내총생산에 중장기적으로 음의 영향을 미치나, 호황기의 국내 총생산은 유가상승 충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황기에 나타난 견고한 소비수요 증진과 경상수지 증가의 복합적인 요인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유가충격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물가상승의 지속성 측면에서 경기침체국면과 경기확장국면에 매우 상이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에너지경제학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국면전환모형(regime switching model)이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패션 소상공인 제품 구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 생애주기와 구매단계를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from Small Business Owners -Focusing on the Consumer Life Cycle and Purchasing Stage-)

  • 김송미;장세윤;이유리;진우준;김하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05-826
    • /
    • 2022
  •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by which consumers purchase products from small fashion business owners via online and mobile channels. In addition, group types were classified given that the purchasing process depends on the consumers' life cycle. The consumer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18 participants that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by age, work, and children. Results revealed that first, consumer journey comprised four stages. Factors influencing need recognition were "attention to information of social media influencer," "attention to information of affiliated groups," and "repeated advertising of SME products/brands." For information searching, "exploring purchase reviews," "environment for mobile shopping information exploration," and "continuous product tracking" were important factors. Purchasing and shopping stages were affected by "price-free, improvised purchase decision" and "convenient mobile payment system and point benefits." After the purchase, "active sharing and repeated purchase when satisfied" and "blocking relationships when dissatisfied" occurred. Second, six consumer groups based on the fashion life cycle are the "Platform lover," "Influencer follower," "Trust builder," "Novelty seeker," "Convenience seeker," and "New designer supporter." Ultimately, small business owners can develop the process of planning and selling fashion products more efficiently.

고용보조지표를 활용한 청년실업과 경기상관 분석 (Business Cycle Analysis on Korean Youth Labor Market using Alternative Unemployment Measures)

  • 김태봉;박근형
    • 경제분석
    • /
    • 제26권2호
    • /
    • pp.43-71
    • /
    • 2020
  • 본 논문은 최근 높아진 청년실업의 경기상관성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여, 거시경제학적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년실업은 경기상관성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보이며, 최근 잠재경제활동인구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을 경기변동 요인만으로 해석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잠재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한 확장된 개념의 청년고용보조지표는 장기적인 상승 추세를 보이며, 총산출과의 공적분 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세적인 증가는 다른 연령층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제성장 경로 상에 내재되어 있는 구조적인 요인들로 부터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기업 규모에 따른 임금 격차가 외환위기 이후로 꾸준히 커졌다는 점과 상대적으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기업 취업자 비중이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 상당히 낮은 수준이라는 점은 청년층 노동시장의 구조적인 변화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변화 속에서 청년층의 구직활동 기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앞선 실증분석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노동시장과 경기변동: 노동시장 마찰을 도입한 경기변동 모형의 베이지안 추정을 중심으로 (Labor Market and Business Cycles in Korea: Bayesian Estimation of a Business Cycle Model with Labor Market Frictions)

  • 이준희
    • 경제분석
    • /
    • 제26권4호
    • /
    • pp.39-64
    • /
    • 2020
  • 전형적인 경기변동모형의 경우 노동시간 선택 문제만을 고려하여 노동시장의 주요 거시 변수인 고용과 실업을 명시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뉴 케인지안 유형의 가격 경직성 모형에 노동시장의 탐색 및 매칭 마찰을 도입하고 이를 베이지안 방법으로 추정하여 우리나라 고용 및 실업의 움직임을 전체 경기변동의 움직임에 비추어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우리나라 실업률은 노동공급 충격과 더불어 노동수요 측면인 기술충격에 의하여 많은 부분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노동시장 변동에서 기업과 노동자 간의 임금 협상에서 기인하는 협상력 충격도 상당 부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협상력 충격은 경기 및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관광지 선택행동의 실증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and Destination Choice according to the Family Life Cycle)

  • 심상화;김월호
    • 산학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149-171
    • /
    • 1998
  • 관광의 영향력을 파급시키는 주체인 관광객이 어떤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아 어떻게 관광 목적지를 선택하게 되는지의 문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이들 관광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적, 사회 환경적, 판매 촉진적 영향 요인이 있으며, 이 가운데 개인적 영향요인(지자, 학습, 성격, 동기, 태도)에 대하여는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활발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바, 사회환경적 요인(가족, 사회계층, 준거집단)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인인 "가족"을 중심으로 가족의 동적인 영향력이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하나의 강력한 인구 통계적 집단 변수로서 가족생활주기(Family Life Cycle)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지 선택행동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생활주기와 국민 국내관광자의 목적지 선택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마케팅측면에서 관광시장 세분화 기준으로서의 가족생활주기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각 단계별로 유의한 영향변수를 파악하여 최근 관광시장의 양적 대량화 및 질적 다양화라는 이중 구조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에 일조하는데 있다.

  • PDF

Impact of Working Capital Management on Firm Performance in Different Business Cycles: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Co Tr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863-867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financial data of 38 economic groups listed on Vietnam's stock market for the period 2009 - 2019 and it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on the impact of working capital management policy on performance in all phases of the economic cycle of Vietnamese economic groups. The study uses FGLS estimation method with 2 dependent variables ROA, GOP,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INV, AR, AP, CCC, dummy variable representing different phases of the economic cycle, variables Control includes CAT, CR, LEV, SZ, GR. Research shows that the greater the level of investment by companies in liquid assets corresponding to a certain level of activity (shown by average days of inventory (INV), average days of collection. (AR), cash flow cycle (CCC)) the lower the rate of return on assets. The study also provides additional evidence of the negative effects of economic crisis on the performance of economic groups.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number of short-term asset cycles has a positive impact on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level of debt use has a negative impact on operational efficienc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nagers of economic groups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businesses through a reasonable working capital policy.

지역의 산업다양성과 지역경기변동의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ndustrial Diversity and Regional Business Cycle)

  • 우영진;김의준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산업다양성이 지역의 경기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지역의 경기변동은 고용시장과 생산활동의 측면에서 측정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16년 2월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도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지역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의 그룹평균 추정량과 통합그룹평균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산업의 구성이 다양한 지역에서는 단기적으로 실업률의 변동의 폭이 작았지만, 제조업 생산지수의 변동성은 장기적인 경우에만 낮게 나타났다.

경기변동과 고용 동학에 대한 분석: 집단 간 취업-미취업 이행확률 비교를 중심으로 (Business Cycle and Labor Market Transitions : A Comparison among Demographic Groups)

  • 고영근;안태현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2호
    • /
    • pp.31-59
    • /
    • 2018
  • 본 연구는 2000~2013년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월별로 재구성하여 취업과 미취업 간의 이행확률이 경기변동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노동시장 침체 시 취업 및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에서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기 침체 시 취업으로의 이행확률 감소보다는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 즉 노동시장을 이탈할 확률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고령층, 고졸 미만 집단은 각각 남성, 노동시장 주 연령층(36~55세), 고졸 집단보다 취업에서 미취업으로의 이행확률이 경기에 더 강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데이터마이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품수명주기 예측 : 의류산업 적용사례 (Prediction of Product Life Cycle Using Data Mining Algorithms : A Case Study of Clothing Industry)

  • 이슬기;강지훈;이한규;주태우;오시연;박성욱;김성범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91-298
    • /
    • 2014
  • Demand forecasting plays a key role in overall business activities such as production planning, distribution manag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Especially, for a fast-changing environment of the clothing industry, logical forecasting techniques are required.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ocedure to predict product life cycle using data mining algorithms. The proposed procedure involves three steps : extracting key variables from profiles,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procedure were demonstrated through a real data from a leading clothing company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