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usiness Innovation Platform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개방형 협업 플랫폼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음악산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Intention of Open Collaboration Platform : Focused on Music Industry)

  • 이동민;이룡;송영주;김광용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1-179
    • /
    • 2014
  • Added value of music industry in Korea is not distributed and calculated properly, and this obstacle brings various problems in a creative environment. Meanwhile, a new business model such as Open Collaboration, Crowdsourcing and platform that makes decisions and innovation from external resources has been appeared in commercial area. This new model like a composer delivers to consumers directly through Youtube.com, and multi collaboration is applied to the music industry, and it enables a new type of mechanism for creation, distribution, division, and calculation of music.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empirical study of the music market because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has been centered around fundamental concepts and application methodologies. This research defines Open Collaboration Platform in the music industry, and studies affecting factors of Participation Intention for example Justice,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Perceived Value. For a survey we apply PLS(Partial Least Square) to analyse Equity,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structural equation between Perceived Valu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Analysis results show Distributive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ffects Platform Trust, and Service Quality, Economic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ffects Platform Usefulness. Also Platform Trust and Platform Usefulness affects Platform Participation Intention. We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 based on research results.

농식품 오픈 마켓 특성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Agri-Food Open Market on the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 김상미;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53-165
    • /
    • 2021
  •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O2O(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 제품과 달리 농식품은 신선도가 중요한 의사결정 요인이며, 다름 품목에 비해 환불 및 교환이 어려운 특성과 새로운 거래 방식으로 인해 O2O의 플랫폼 중 오픈 마켓으로 성장하는데 제한적인 요소가 많다.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O2O(online to offline) 특성 중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 마켓을 중심으로 쇼핑몰 특성이 농식품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농식품 쇼핑몰 특성과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혁신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기법을 이용하여 2021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구글 설문을 통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농식품 오픈 마켓에서 구매경험자 총 270개의 분석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O2O(online to offline) 쇼핑몰 특성인 경제성, 상호작용성, 유희성은 농식품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성×혁신성, 유희성×혁신성은 재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혁신성은 새로운 시스템이나 모바일 거래에 대하여 소비자의 부담을 줄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농식품의 O2O 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들의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편리한 인터페이스 설계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농업인들의 IT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농식품 오픈마켓 쇼핑몰의 인프라 구축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클라우드를 이용한 경영혁신플랫폼 기반 중소기업 정보화 지원 사업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Current Status and Invigoration Plans for the Business Innovation Platform for SME Informatization based on Cloud Computing Technology)

  • 한현수;김기호;양희동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41-55
    • /
    • 2016
  • 본 연구는 2013년도부터 TIPA에서 진행해온 클라우드 기반 중소기업 정보화 프로젝트의 현황과 향후 방향에 대한 사용자 및 개발자 설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7개 산업 협동조합들을 시범 지원하면서 개시되었기 때문에, 과거의 사용 패턴과 향후 전략 및 구축 계획에 대한 사용자 기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설문 분석 결과, 사용자 만족도와 기대는 기본 솔루션과 산업별 특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반영된 산업 특화 솔루션간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으로서, 민간 클라우드 SW 시장에 대한 정부의 관여에 대한 시장의 우려와 중소기업의 정보화 진흥을 위한 정부의 지원 간의 조화 방법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의 성별 수용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actors Determining Acceptance of Blockchain-Based Financial Platform by Gender)

  • 김시욱;박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139-147
    • /
    • 2020
  • 정보통신기술의 융합에 따른 4차 혁명의 파고가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활용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에 초점을 맞춰 플랫폼 이용자의 수용의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에 대한 이용자 수용의도에 관한 결정요인 탐색에서 금융 플랫폼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 그리고 플랫폼 이용자 수용의도가 남녀 간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춰 살펴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블록체인과 관련해 이용자의 수용의도를 탐색하는 것은 금융업계뿐 아니라 블록체인 기술 개발자에게 매우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474명(남성 262명, 여성 212명)이 참여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이용자 수용의도 구조를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블록체인 기반 금융 플랫폼 이용자의 수용의도 결정요인으로서 혁신성, 편의성, 보안성, 선호성이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중 혁신성과 편의성 요인에서 남녀 성별 차이에 따른 수용의도 결정요인이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Play or Work?: Generativity in Online Games

  • Lee, BoKyung;Jeon, Seong 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37-47
    • /
    • 2017
  • The digital multi-sided platform has led the growth of industries. Accelerating this growth, generativity allowed innovation based on boundary-less modularity. Online games are a rich source of research but most of the research is dedicated in examining only the online game itself. However, there is a growing need to understand online games in an ecosystem level for a new phase of evolution is starting based on generativity. With generativity, online game users now make new graphics and quest that can be added and shared to the already existing game environment. The ecosystem is moving towards finding an amicable multi-sided distribution platform for these user generated game contents. Preliminary data suggest the possibility of actual connection between generativity and users' game engagement. Interviews and surveys will be prepared to find out the details of the possible relationship and how the ecosystem will shape accordingly.

  • PDF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사례 분석 및 구축 전략 (Big Data Platform Case Analysis and Deployment Strategies to Revitalize the Data Economy)

  • 김배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3-78
    • /
    • 2021
  • 빅데이터는 초연결·초지능·초융합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동력으로 이노베이션 창출, 비즈니스 모델 발굴을 위한 데이터 공유, 연계·활용이 중요하다. 그러나 빅데이터 플럇폼이 공유·연계를 고려하지 않고 폐쇄적으로 구축될 경우 양질의 풍부한 데이터 확보 및 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데이터 생산·구축 및 연계·유통을 활성화 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플랫폼의 다양한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빅데이터 플랫폼 인프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온라인 커머스 서비스 혁신을 위한 비즈니스 생태계적 접근 (A Business Ecosystem Approach for E-commerce Service Innovation)

  • 권혁인;박주연;김주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21
    • /
    • 2021
  • At a time when the e-commerce market is experiencing accelerated growth,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the problems of distribution of counterfeit products and consumer confusion caused by non-face-to-face purchases have increased. Hence, amid intensifying competition, it has become important for e-commerce companies deliver product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s, and secure credibility for consumers by reducing consumer damage from buying counterfeit products. However, even though consumer confusion and the inadvertent purchase of counterfeit products are intensifying in such a market scenario, there are no services that aim to solve such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conventional e-commerce industry in South Korea through a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ological (PEST) analys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consumers, to derive the pain and gain points of the industry. As a result, the inherent problems of the e-commerce industry were revealed. Through a service value network perspective, services aimed at resolving such issues were derived, and the e-commerce business ecosystem needed to solve this problem was deduced.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 support platform has become a major driving force within the e-commerce innovation ecosystem by enabling a new way to create and secure value using ICT. This entails a new exchange mechanism and transaction architecture and a new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breaks the barriers between industries.

인천공항공사 개방형혁신 플랫폼기반 창업지원체계 구축 방안 (Open Innovation Platform-based Business Startup Incubation Model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 노영주;손세창;양동헌;이충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20-128
    • /
    • 2017
  • More people travel oversea as the economic size of Korea is getting larger and more new jobs are requested to be created by the society. To respond to these trend and reques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oration (IIAC) is about to expand its processing capability with a new terminal; 54 million passengers to 72 million. IIAC is also introducing new strategies such as open innovation (OI) and creating shared value (CSV). With these changes, IIAC faces new challenges of restructuring its business and organization with new ideas. Most organizations including IIAC are becoming more dependent on external resources to keep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under the turbulence of global business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they focus on the OI paradigm which is reported as a convincing strategy to improve competitiveness in terms of budget and time-to-market. OI is to quickly react to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d is adopted to support startup incubation. In the previous research with IIAC, three major tasks were defined; utilizing the IIAC brand power for external vendors, building a technology road-map, and introducing a collaboration support system. This paper deals with the collaboration system as proposed in the previous research. We focused on the collaboration process for startup incubation. Cases were studied; the K-startup model by the government, a university model to explore youth startups, and a R&D institute model to study professional startups. Based on the case studies, we defined an IIAC model and proposed issues to take care of. The model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studied models since IIAC is a prospective customer of new technology.

공공정보 활용의 기술적 방법과 정보서비스의 정책적 함의 (A Study on plan for promoting innovation and utilization of information sharing)

  • 김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43-49
    • /
    • 2014
  • 정부는 공급자 중심의 시각이 아닌 이용자 관점에서의 개방적 네트워크 구현이 필요하며, 더불어 소통능력을 제고하고, 유연하고 신속한 업무 처리가 요구됨에 따라 일하는 방식의 변화도 수반되어야 한다. 정부의 기능성의 변화와 정부에 대한 새로운 국민들의 요구에 부합시키기 위해 민간이 정부의 역할에 참여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을 일으킬 수 있는 공공 플랫폼형 정부의 기능과 발전방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공공정보 공유기반의 혁신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특히 정부와 민간의 정보 및 시스템 등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효율적 역할 분담 등 플랫폼형 정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이 품질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mart Factory Technologies on Quality and Innovation Performance in SMEs)

  • 이록;김채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59-71
    • /
    • 2020
  • 본 연구는 중소벤처기업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이 품질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벤처기업에서의 스마트팩토리 기술적용이 품질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스마트팩토리 기술로서의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 기술이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플랫폼 기술은 정보품질과 시스템품질에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디바이스 기술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은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시스템품질은 혁신성과에 유의하지만 정보품질은 혁신성과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팩토리의 디바이스 기술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품질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소벤처기업의 4차 혁명시대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으로서의 상호 연결을 통해 수준 높은 정보 품질관리를 구현해야 한다. 또한, 제조설계에서부터 실행, 분석에 이르기까지 상호 컴포넌트 연동과 중소벤처기업의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로부터 수집된 체계적인 정보를 통합 관리함으로서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