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친수공간조성을 위한 부산 북항 재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for Waterfront Revitalization)

  • 이한석;남기찬;이재완
    • KIEAE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3-40
    • /
    • 2005
  • This study is to propose key directions of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for revitalization of waterfront. Since 1960s, there have been a lot of port redevelopment projects around the world. In Korea,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is the first one which aims to make waterfront citizen-friendly within old port area. Many ports will be redeveloped soon after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At this time this is the basic research to lay groundwork for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port redevelopment. We analyze the good examples of the world through case studies and suggest the problems and important elements of success of port redevelopment. Also we propose the objectives for waterfront revitalization and the visages of waterfront within port area. And then we analyze the situation of Busan North Port and examine the blueprints issued by national and city government. After that we suggest some ideas, such as land use plan, on North Port redevelopment for revitalization of waterfront in Busan Port Area.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terfront Landscape Planning for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Area)

  • 이한석;정원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1-54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항만 재개발지역의 경관계획 특성을 알아보고 해외 항만재개발지역에서 경관계획사례를 살펴본 다음 북항 재개발지역의 경관현황을 분석하여 경관계획을 위해 선결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경관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부산항 재개발 대상지의 개발우선순위 평가 및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Development Priority Order & Scheme for Redevelopment Target Area in Pusan Port)

  • 여기태;박창호;김진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83
    • /
    • 2002
  • Korea has designated 28 trade ports and 22 coastal ports under the Ports Act. If fishery ports and small inlets are counted, the number amounts to hundreds of ports. However, untimely and inefficient maintenance and repair works face Korean ports with functional loss, decreasing efficiency, and even catastrophe. Thus, further examinations on the maintenance or redevelopment of forts in Korea are urgent. Since the Korean War and the higher economic growth period in the 1970s, Busan Port has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social conditions at any given time, without any development Philosophy or systematic long-term master plan. As a result, ports and coastal industrial facilities have rushed to gather around the present North Busan Port, which has taken on mixed functions between ports and cities, adversely affecting several of their interactions. To resolve these circumstances, several redevelopment schemes were suggested for centering the old zone in the Busan Port interim. However, comprehensive evaluation and redevelopment schemes combining functions of both ports and cities, and effectively utilizing coastal zones have never been present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sets the priority order of the extracted unit project.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functions and facilities of Busan Port, extracting facility zones through redevelopment which is certain to fail or to decrease in efficiency.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s of specified redevelopment unit projects of higher priority order, and pursues the integrated plan of efficiency for Busan Port.

  • PDF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Variation Landscape Enhancement Strategy through Coloring Plan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 권소현;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651-657
    • /
    • 2012
  •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의 과정에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녹지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의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시도시디자인계획(2010), 특히 색채계획과 해외의 경관색채계획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 색채계획을 반영한 경관조성방안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다른 재개발사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부산 북항-신항 연계발전 방안 (A Study on Succeeding Together-Busan North & New Port)

  • 송계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3-331
    • /
    • 2011
  • 동북아 항만의 Hub Port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고, 신항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공급과잉상태를 초래하게 되어, 부산 북항과 신항이 상생하기에 충분한 물동량 확보가 어려운 시점에서 부산항만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북항은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고 초대형선박이 접안하기에 필요한 수심 16m을 확보할 수 없으며, 또한 북항 재개발의 진행과 정책부재로 물동량은 자연스럽게 신항으로의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부산 신항의 추가적인 선석 개장운영과 더불어 부산 북항과의 역할정립 및 연계 발전 방안 모색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 북항과 신항의 연계발전 전략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북항-신항 연계발전을 위한 모델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항은 16m의 수심과 최첨단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극대형선(ULCC) 위주로 특화기능을 부여하고, 지속적인 개발과 첨단시설 유치로 세계적인 글로벌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반면에 북항은 항만리모델링을 통해 피더선 중심의 동북아 중심 항만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하고, 대부분의 공간은 북항 재개발 개념에 포함시켜 시민 친수공간으로 기능을 재부여 하여야 한다. 둘째, 북항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기능 전환하여 부산항만의 항만별 부두기능을 재배치함으로써 항만기능 집적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기하여야 한다. 셋째, 북항의 기능이 살아있는 한 북항과 신항의 효율적 연계교통망 확충을 통해 환적화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부산항만을 동북아 환적중심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신항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연계발전시켜 자체 수요 물동량 창출형 항만배후물류단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물동량 창출을 위해 화주고객, 운송사, 복합운송주선업자 및 관련 기관간 SCM을 구축하여 상호 협력적인 Win-Win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산북항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 및 해수교환 변화 모의 (Simulation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Change on the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 오동훈;이중우;금동호;전성환;김강민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61-867
    • /
    • 2006
  • 부산항(북항) 재개발사업은 노후화된 북항 일반부두를 해양관광의 중심지역 그리고 부산시민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는 실행단계로 진입하였다. 한편, 재개발로 인한 유동장 및 해수교환의 변화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에 따른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의 변화와 만 내 해수교환을 수치실험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조류속 변화는 북항 및 내항에서 감소가 나타나고 주수로상에서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해수교환 변화는 15일이 지난 준 정상상태에서 재개발 전후 공히 약 77% 내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북항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 및 해수교환 변화 모의 (Simulation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Change on the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 금동호;김강민;이중우;전성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425-431
    • /
    • 2006
  • 부산항(북항) 재개발사업은 노후화된 북항 일반부두를 해양관광의 중심지역 그리고 부산시민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는 실행단계로 진입하였다. 한편, 재개발로 인한 유동장 및 해수교환의 변화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에 따른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 ${\cdot}$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의 변화와 만내수의 해수교환을 수치실험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조류속 변화는 북항 및 내항에서 감소가 나타나고 주수로상에서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해수교환 변화는 15일이 지난 준정상상태에서 재개발 전후 공히 약77% 내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부산 북항 개발전후의 해수순환특성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ea Water Circu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hases of Busan Port)

  • 문영기;유창일;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9-9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 재개발의 개발 단계별 해수순환 특성을 살펴보고, 이와 동시에 북항으로 유입되는 4개의 하천의 유량을 갈수기, 평수기, 홍수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하천유량의 유입이 북항의 해수순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수치모의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산 북항을 중심으로 한 해수유동 수치모의 시 건설 전과 후에 하천유량이 증가할수록 신선대 방향으로의 Flux가 증가하고 이는 건설 전 후와 상관없이 유동방향이 변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건설 이전의 홍수시 하천 조건에서의 해수교환율은 60%, 건설 전 후의 해수교환율은 하천유량조건과 관계없이 거의 같은 간으로 해수교환율이 증가하였다.

  • PDF

부산시 북항의 항만 재개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독일 하펜시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ormation Proposal for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 Focused on comparison with Hafencity in Germany -)

  • 이선주;김성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63-74
    • /
    • 2007
  • In this Century, most of ports have been changing in order to keep up with change of the world. The ports are became larger and integrated with high technology because containers which pass through the ports are sharply increasing. Not to turn over the world wide competition of the ports, a renewal of Bukhang in Busan was promoted firstly in Korea. In this study, final draft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at this stage was compared with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in order to propose improved renewal plan of Bukhang in Busan. Renewal plan of Haffencity in Germany was very similar with Bukhang in Busan in terms of renewal period and direction. From the results of these comparisons, it was concluded that participation of private enterprise and international capital should be invested. Also, the facility plan of Bukhang was suggested to vitalize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bodimentof renewal plan. Prior to making a development plan enough consideration on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SSD). Also Korean tradition and culture should have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create the most Korean appearance.

  • PDF

부산항 안전항해환경 조성을 위한 지향등 설치방안 연구 (Study on Installation of Sector Lights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 Navigation Environment in Busan Port)

  • 정해상;이종철;김정록;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88
    • /
    • 2019
  • 유도표지의 일종인 도등과 지향등은 고정된 위치에서 안전한 입항침로를 시각적인 방법으로 제공해주기 때문에 항해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시야를 빼앗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어 심리적 안점감을 주는 매우 효과적인 항로표지이다. 부산항 북항은 부산항북항재개발사업 D-1 블록 신축공사 계획에 따른 부산북항도등 맹목구간 해소를 위해 지향등을 설치가 필요하고, 부산항 신항은 토도 제거로 선박 통항여건이 바뀌어 항로표지 정비가 필요하여 지향등 설치를 위해 기본설계를 하였다. 또한, 기본설계 결과를 항로표지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여 검증을 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항만에서 선박 안전유도를 위해 지향등을 설치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