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s Driving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33초

자동차 오염물질 배출계수 산정을 위한 CVS-75모드와 국내차속모드의 상관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Correlation between CVS-75 Mode and Korea Mode to Estimate Emission Factors from Vehicles)

  • 정성운;류정호;유영숙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83-391
    • /
    • 2006
  • In Korea, the major source of serious air pollution is motor vehicles. Air pollution from vehicles has been annually increased. Then the government will try to control the vehicle emission by applying the effective emission management policy for the manufactured and in-used car.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calculate the emission factor for successful propulsion of the vehicle emission control policy. In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of exhaust emissions from vehicles between CVS-75 mode and Korea mode was conducted. A total of 25 light-duty buses were tested on the chassis dynamometer system in order to measure CO, HC, NOx PM and fuel efficiency (F.E.). For the test modes, 10 different Korea modes and CVS-75 mode were used. A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ose modes, most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higher than 0.90. On the basis of high correlation between those modes, correction factors by driving conditions were estima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obtained essential basic data to correct difference from those modes.

교통사고 조사 및 재현에서 신형 전자식운행기록계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eliability of New Digital Tachograph for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and Reconstruction)

  • 박종진;조건우;박종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615-622
    • /
    • 2015
  • Recently Digital-TachoGraph(DTG) was mounted mandatorily in commercial vehicles(Taxi, Bus, etc.). DTG records accurate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unning state of vehicles related to traffic accident, such as Time, Distance, Velocity, RPM, Brake ON/OFF, GPS, Azimuth, Acceleration. Thus those standardized data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and reconstruction. To develope the accurate and objective method using the DTG data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ffic accident, we had conducted several tests such as driving test, high speed circuit test, braking test, slalom test at Korea Automobile Testing & Research Institute(KATRI), and collision test at Korea Automobile insurance repair Research and Training center(KART) with the vehicle equipped with several DTG.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enables the reading and analysis of the DTG data was followed. In the experiments, we have found velocity error, RPM error, brake signal error and azimuth error in several products, and also non-continuous event data. The cause of these errors was deduced to be related to the correction factor, the durability of electronic parts and the algorithm.

차대동력계를 이용한 대형 디젤 차량의 매연 배출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Emissions from Heavy Duty Diesel Vehicles Using a Chassis Dynamometer)

  • 진광석;이충훈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0
    • /
    • 2009
  • The characteristics of smoke emissions from diesel heavy duty vehicles which weigh over 5.5 tons was investigated by driving the vehicles with both the Lugdown 3 modes in the chassis dynamometer and tree accelerating mode under no load. The vehicles include commercial vehicles such as bus, microbus, trucks and specialized vehicles, etc. The total numbers of the vehicles tested were 200. The light extinc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moke emissions from the vehicles tail pipe. The values of the smoke emissions in the tree accelerating mode showed $0{\sim}20%$ band nearly independent of both the mileage and year of production of the tested vehicles, while those in the Lugdown 3 modes showed $0{\sim}99%$ of wide b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values of the smoke emissions with both the Lugdown 3 modes and the free acceleration mode were 0.12, 0.08, 0.12, respectively. The inspection with Lugdown 3 modes is better one than that with tree acceleration from the point of exact inspection of the diesel vehicles' smoke emission.

High Efficient 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Implemented for On Line Electric Vehicles

  • 허진;박은하;정구호;임춘택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9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5-110
    • /
    • 2009
  • The On Line Electric Vehicles(OLEV) that can pick up inductive power from underground coils on driving with high efficiency have been developed this year, and is now proposed in this paper. The IPS(Inductive Power Supply) system consists of power supply inverters, power supply rails, pick up modules, and a regulator. There are 3 generations of IPS have been developed so far, and the $4^{th}$ generation IPS is being developed. The $1^{st}$ generation has been demonstrated this Feb. 27, which is equipped with mechanically auto tracking pick-up module with 1cm air gap, and showed 80% power efficiency. The $2^{nd}$ generation IPS applied to an 120kW (average)/240kW(peak) motor powered electric bus has 17cm air gap with 72% power efficiency. For the $2^{nd}$ generation IPS, the Power supply inverter has 440V, 3phase input and 200A @ 20kHz output. The test power supply rail of 240m long is segmented by 60m each, where newly developed core structure and power cable are constructed under the road covered with asphalt of 5cm thickness. The pick-up modules which consist of core, winding wire, and rectifiers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us which can carry more than 40 passengers and can pick up max. 60kW. To remove parasitic component and to transfer maximum power between them resonant circuit topology is applied to the primary and secondary sides. The EMF level is below 62.5mG at 1.75m from the center of the road to meet the regulation. Several effective ways of reducing EMF levels have been developed. In addition, effective ways to solve problems related high frequency power cables buried in ground and it's proof from soil have been studied also. This development shows that the IPS system is capable of supplying enough power to the pick-up of OLEV and can reduce battery size, weight and cost, which means the IPS with OLEV is one of the best candidate for EV.

  • PDF

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Elderly Driver's Visual Function)

  • 김정복;황정희;추병선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5-511
    • /
    • 2018
  • 목적 :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와 50 ~ 65 세 이전의 예비고령 운전자의 시각적 기능을 검사하고, 일반인과 직업 운전자를 구분하여 그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만 65 세 이상 고령운전자(40 명), 만 65 세 이하 운전자(67 명)이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안과적 질환이 없고, 운전 경력은 5년 이상이었다. 기본적인 데이터(성별, 직업, 연령, 건강상태)와 함께 시각기능 데이터 (대비감도, 정적 및 동적 입체시, 시력회복시간, 눈부심 지수)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 명소시 조건에서의 대비감도는 전반적으로 버스군에서 가장 좋은 감도를 보였으며, 12 cpd와 18 cpd의 주파수에서 일반 1.57, 버스 1.70으로 그 차이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암소시 조건에서는 65 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일반군과 택시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p<0.05). 눈부심 후 시력회복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다만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은 보였다. 눈부심 지수에 관한 결과는 65 세 이상의 일반군에서 운전에 방해가 되는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3에 가까운 결과를 보였고, 택시 및 화물 운전군에서는 양호한 눈부심에 해당하는 지수 5에 가까운 결과 값을 보여주었다(p<0.05). 결론 : 고령자들의 시기능을 분석한 결과, 나이가 들수록 대부분의 시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65 세 이상의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위해서는 현재 시행되어지고 있는 시력, 색각 검사 외에도 운전 환경과 연관되어 있는 시기능인 대비감도, 눈부심, 입체시력 등의 시각기능 검사가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율주행차 사고심각도의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사고데이터와 교통인프라 정보를 결합하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Autonomous Vehicle Accidents: Combining Accident Data and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formation)

  • 김창훈;김정화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00-215
    • /
    • 2023
  • 자율주행 기술이 고도로 발전하고, 관련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어 머지않은 시기 내에 완전 자율주행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술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관련 사고 소식이 보도되면서 기술에 대한 우려는 증대되고 있다. 자율주행차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사고 사례를 분석하고 사고 원인을 규명하는 행위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율주행 사고데이터를 통해 자율차 사고의 심각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CA DMV에서 수집·배포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사고 레포트를 중심으로 사고 지점의 공간 정보, 교통 정보를 사용하였다. 중점 데이터가 사고 레포트임을 고려할 때, 사건 발생 횟수의 기댓값이 반영될 수 있도록 포아송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모형 분석 결과, 자율주행차 사고 심각도는 조도가 낮을 때, 자전거·버스 전용 차로가 존재할 때, 보행자와 자전거 사고 이력이 많은 지역에서 증가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자율주행차 안전성 개선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및 관련 교통 인프라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hearography를 이용한 Aluminum Liner 내부 결함의 변형량과 변형율 측정 및 FEM 검증 (Measurement of Aluminum Liner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Using Shearography and FEM Verification)

  • 최인영;홍경민;고광수;강영준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6-692
    • /
    • 2013
  • Today, environmental issues have become a matter of worldwide concern. In particular, automobile industries engage in considerable research and investment to develop high-efficiency and ecofriendly cars. Most ecofriendly cars use natural gas or hydrogen gas instead of fossil fuels. In this regard, low-weight and high-pressure vessels have gradually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 driving distance of a car. However, most pressure vessels installed in cars develop many defects over time owing to shocks sustained when the car is being driven. Such defects can cause the explosion of the pressure vesse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event such explosions due to internal defects. The use of shearography for measuring the internal defects of objects afford many advantages. It is a non-contact and non-destructive method, and it is not limited by the object shape. In this study, the internal defect deformation and strain of an aluminum liner that is used in a CNG bus for the fuel storage tank is measured using shearography. It is important to measure the strain and deformation in order to detect defects and repair the pressure vessel.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shearography measurement method, the measurement results of shearography, out-of-plane ESPI, and FEM are compared quantitatively.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도시권 외곽 및 구릉지 특성의 도로구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at Rural Multi-Lane Highways)

  • 이동민;김도훈;성낙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7-215
    • /
    • 2009
  • 도로구간에서의 주행조건은 연속적인 도로축 상에서 구간별로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로에서의 교통사고는 도로 기하구조 변수뿐만 아니라 도로주변 환경변수, 교통조건 변수 그리고 기타 다양한 변수들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장조사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도로기하구조 요소를 고려하여 동질성을 갖춘 구간 분할 후에 도로를 구성하는 도로 기하구조, 교통조건, 도로주변 환경 그리고 기타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반영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로구간의 주행조건을 결정짓는 주요인들에 의해서 주행조건 동질구간을 결정하고, 각 동질구간에서의 도로 및 교통조건 등을 고려하여 사고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 개발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대도시권 외곽과 평지 및 구릉지를 대표할 수 있는 수도권 외곽내에 지방부 도로구간과 전라북도 지방부 도로구간에서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속된 도로구간에서 사고건수가 "0"인 구간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과대 예측을 방지하기 위해 ZIP(Zero Inflated Poisson) 모형을 이용하였다. 사고예측모형 개발 결과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교통량과 도로구간 길이를 포함한 EXPO($365{\times}ADT{\times}Length{\times}Year/10^{-6}$), 곡선반경, 종단구배변화, 가드레일, 지형(산악지), 횡단보도개수, 버스정류장 개수가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차대차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종합제어장치(TCMS) 요구사항 분석과 개발 (Requirement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CMS)

  • 최병욱;서인명;김수호;박종헌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07-514
    • /
    • 2011
  • 최근 국내 협력 업체와 함께 국산 전동차를 제작하였다. 전동차에서 주 제어장치는 열차종합제어장치인 TCMS로서 시스템 성능, 편리한 유지 관리 그리고 서비스 관점의 유연성을 고려하면서 TCMS의 요구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내부 버스 구조와 RTOS로서 QNX를 적용하게 되었다. TCMS 기능을 서비스 장치와 제어/감시 기능으로 분리하여 열차의 성능 개선과 편리한 유지 보수 그리고 고객 요구를 만족하였다. TCMS는 하드웨어에 구현된 다양한 프로토콜을 통하여 열차에 장착된 제어 장치를 제어하고 관리한다. 시스템의 성능 검증과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EMC/EMI를 비롯한 다양한 시험을 KOLAS 인증 기관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 시행하였다. 현재 TCMS는 새로 개발된 열차에 장착되어서 시운전을 통하여 성능 검증을 수행하고 있다.

바이모달 트램용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Series Hybrid Propulsion System for Bimodal Tram)

  • 배창한;이강원;목재균;유두영;배종민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94-502
    • /
    • 2011
  • 바이모달 저상굴절 트램은 자동운전으로 일반도로와 전용구간을 주행할 수 있는 고무차륜방식의 저상굴절 차량으로서, 철도의 정시성과 버스의 접근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신교통수단이다. 바이모달 트램은 전자기 궤도를 사용한 자동운전, 전차륜 조향과 함께 CNG 엔진과 리튬 폴리머 배터리 팩을 사용한 친환경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모달 트램의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에 대해 기술하고 시험선및 일반도로에서 수행된 시험 결과를 분석한다. 또한 바이모달 트램 추진장치의 튜닝 및 시험데이터 취득을 위해 개발된 계측장비의 구성 및 동작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시작차량에 설치된 계측장비의 데이터를 기초로 전용 시험 선과 일반도로에서 주행시 직렬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의 동작을 확인하며, 차량의 연비 및 엔진 효율을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