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rial accessorie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고려시대 사람들의 삶과 전통의상에 대한 고찰 (A Study of People's Lives and Traditional Costumes in Goryeo Dynasty)

  • 최규성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6호
    • /
    • pp.1060-1069
    • /
    • 2004
  • We can study and judge the costume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through an ancient tomb murals and various burial mound(clay) figures, however, it is quite difficult to search for costumes of the Goryeo period ($960{\sim}1392$), because dresses from this era were rarely found, related antiquities are limited and hard to survive. This is the reason why people say that the Goryeo Dynasty is the period of undiscovered era for its history of costumes in Korea. Fortunately, these days, there are various kinds of buddhist statues discovered with its burial accessories such as costumes and dyed fabrics of the Goryeo era. Through these, we can glimpse through the Goryeo cloths and develop our researches on this field. In addition, a man called Seo Geung(서긍, the Chinese scholar Xu Jing) wrote a book in the 12th century about peoples lives in Goryeo and in this book, there are few documents about the people's costumes which help us to understand the period's traditional dresses. In this paper, we will look for the traditional costumes which were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people's lives in Goryeo, using remains from various burial accessories in buddhist statues as well a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costumes written in ${\ll}$Goryeosa 고려사${\gg}$. Moreover, costumes of a period usually developed and influenced by the atmosphere of people's lives both economically and mental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dresses of the bureaucratic officials and their wives, who led comfortable lives and latitude of mind. Through the records, like Silla, Goryeo exported Sehjeo(세저) and Sehjoongmapo(세중마포) to China. And we found out that Silla's skillful weaving techniques of hemp and ramie cloths were succeeded to Goryeo. According to above facts, Goryeo people made clothes with various kinds of fabrics such as, different sorts of silks, ramie, hemp cloths and cottons. They also have very skillful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certain textiles. Their official robes were generally influenced by Tang and Song Dynasty, but, like ordinary people, we found out that the government officials also wore baji(pants) and a jeogor(jacket), which were traditional costumes since the Unified Silla Kingdom with various coats. Especially, women's costumes such as jeoksam(unlined summer jacket) and hansam(한삼), which are sort of jeogori(jacket), baji(pants) and chima(skirts) were made of various kinds of silks and ramie cloths, that were generated from the Goguryeo Kingdom, with jikryeongpo(a long jacket and striped skirt).

  • PDF

가야시대 고분 및 부장품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다양성 조사 (Microbial Diversity inside Ancient Tombs and Burial Accessories from Gaya Age)

  • 하병석;고선철;조아름;김승락;김상우;노현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67-73
    • /
    • 2013
  • 가야시대(경남 의령, 아라가야) 돌덧널무덤 5호와 6호의 부장품 속에서 채취한 12개의 토양시료에서 곰팡이균 9종과 세균 70종을 순수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의 16S 및 18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5호 고분에서 곰팡이 5 균주, 세균 10 속, 22 균주가 발견되었으며, 6호 고분에서는 곰팡이 1 균주, 세균 6 속, 28 균주가 발견되었다. 5호 고분의 높은 미생물다양성으로 미루어 5호 고분이 6호 고분보다는 좀 더 미생물 성장에 좋은 기후조건(여름이나 초가을)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5호 고분에 부장된 대도의 표면에서 동물의 피부에 서식하는 Staphylococcus warneri와 갯벌에서 서식하는 해양성세균 인 Bacillus aquimaris와 같은 독특한 세균이 발견됨에 따라, 매장당시의 의식에 육류와 해산물이 사용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생물학적 연구가 역사학 연구의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여수반도 지석묘 사회의 계층구조 (Hierarchy of the dolmen society in Yosu Peninsula)

  • 이동희
    • 고문화
    • /
    • 제70호
    • /
    • pp.109-132
    • /
    • 2007
  • 본고는 위세품이 풍부하고 타 지역보다 많은 지석묘가 발굴조사 된 여수반도를 대상으로 지석묘사회의 계층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수반도에서는 약 20개소의 지석묘 군이 발굴조사되었다. 지석묘의 수.상석.무게.입지 부장유물 등을 분석해 보면 지석묘군집별 위계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대개 지석묘의 수가 많아 집단이 크고 상석이 대형이며 입지가 곡간 평지나 구릉의 하단부에 자리잡은 집단이 부장유물이 풍부한 중심적인 집단으로 추정된다. 다만, 개별상석의 크기와 부장유물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상석의 규모와 부장유물의 관계에서는 개별 상석보다는 지석묘군 전체를 검토하여야 한다. 다시 말하면 집단별로 어느 정도 크기의 상석을 옮길 수 있는지는 그 집단의 위상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단위 지석묘군내에서도 상석, 매장주체부, 부장품 등의 차이에 의해 지석묘간의 차별성을 확인 할 수 있다. 지석묘가 청동기시대 일부 주민의 무덤이라는 점에서,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석곽에 비해 동검이나 옥, 석검이 부장된 석곽묘의 존재는 하나의 친족집단내에서도 부나 권위에 근거하여 한 세대를 대표하는 유력자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지석묘 피장자 중 상석이나 매장주체부가 크고 위세품이 부장된 경우가 상층으로, 석곽이 비교적 작으면서 부장품이 없거나 빈약한 경우가 중층으로, 지석묘에 피장되지 못하는 다수의 계층이 하층으로 각기 자리매김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이 3계층은 각기 삼한시대의 대인, 하호, 생구와도 연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여수반도 지석묘사회는 단위 지석묘군내에서 계층구분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집단간에도 서열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고대(古代) Egypt 복식(服飾)에 나타난 상징성(象徵性) - Tutankhamen 왕조(王朝)를 중심으로 -

  • 정흥숙
    • 복식
    • /
    • 제6권
    • /
    • pp.121-143
    • /
    • 1982
  • Many studies have done on Egyptian Clothing because its unique characteristic culture. However, I was facinated by the exhibitions of Tutankhamen burial treasures which were shown in San Francisco and New York in 1978 and 1979. I found out myself that there are several interesting aspects of clothing to compare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and other dynasties in Egyptian culture. Therefore, I tryed to analized the Egyptian clothing including accessaries with theigr symbols durin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The most of people were shocked and amazed when they toured the exhibition of Tutankhamun articles which were the most incredible burial treasures in existence today. The body of the King has been embalmed, bandaged and fitted in eight layers of coffins with pure gold mask to represent the god Osiris. Among eight layers of coffins, one is pure solid gold in mummiform, two of mummiforms are made of compact wood covered with sheets of gold and inlaid with multi-colored glass-paste and semi-precious stones. The Egyptian belived that the soul continued to exist throughout eternity if it had passed on examination of its deeds on earth at a "Last Judgement" presided over by Osiris. They also believed that the mummified body could exist in the tomb as a habitation that the soul could revisited. Thus a proper burial was vital for a full existence in the hereafter. They buried dead person in the sealed vault of the tomb with some of the possessions he had used during his life time, such as his furniture, clothing and jewels. In this studies, I've tried to research to various clothings, and accessories with their symbols used during 18th dynasty king, Tutankhamun. The studies are shown as: I) Clothings of Tutankhamun dynasity of Kalasiris, Sheath skirt. Gala skirt, Loin skirt, Hike and Dalmatic. The Dalmatic was first seen in this dynasty. Probably the Roman Christian borrowed the Dalmatica from Egyptian Dalmatic. No where has the same design at the period. II) Egyptian of 18th dynasty Tutankhamun wore big headdress, broad collar necklace passium, pendants, armlets, rings and earrings with very beautiful, exquisite handcraft. They seem the first people who wore earrings in Egyptian history. III) The symbols of decorated items vulture, lotus...Upper Egypt Uraeus, papyrus...Lower Egypt scaravaeus, Nile Riber...rebirth man(Ankh), +...eternal life solar disc, gold...sun ostrich-feather...nobleness God, Horus' eye...protection against enemy IV) Also Egyptian prefered the straight line and a right angle which were the basic principles of architectural arrangement.

  • PDF

신선의 왕국, 도교의 사회 신라 -적석목곽분과 그 시대를 중심으로 - (Immortality,Taoism, and Tombs in the old Silla Kingdom)

  • 김태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181-226
    • /
    • 2003
  • In archeological aspects the 4th-6th centuries of the Silla kingdom has been callded the era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pebble and earth mounds(jeokseokmokwakbun). Moreover, the era is also regarded the age of the traditional and 'primitive' Korean religion which originated from inside the Korean Peninsula or the kingdom. However, the tombs and their burial accessories reveal that it is Taoism, not shamanism, that prevailed throughout the silla kingdom and its people during the jeokseokmokwakbun period. Above all things, almost all of the tombs excavated up to date yield in great quantities cinnabar and mica, which have been considered the best elixir of life in the Taoist world. Moreover the instruments to make the medicine for the deceased has been founded inside a tomb. The jeokseokmokwakbun tombs are famous for their great amount of buried articles and their grand scale. The tombs also have a large amount of gold, silver and beads, which are all thought to be the other cure-alls in taoism. Then why the silla people made the tombs and buried those elixirs of life for the deceased? The best answer we can imagine is this : for eternal living! In other words, cinnabar and mica are for the everlasting life of the deceased, the tombs were desingned as the 'eternal house' where the dead are living a immortal life. Needless to say, immortal living, even after he or she dies, is the ultimate purpose of taoism.

중국(中國) 하북성북부(河北省北部) "옥황묘문화(玉皇廟文化)" 연구 (A Study of the Yuhuangmiao culture of the mountain area of northern Hebei in China)

  • 정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91-120
    • /
    • 2004
  • 중국(中國) 하북성북부(河北省北部)의 연산산지(燕山山地)와 주변지역은 춘추(春秋) 전국(戰國)시기(B.C770~B.C221년(年)) 북방계청동문화(北方系靑銅文化)의 주요 분포지역으로 분류된다. 최근 군도산(軍都山)일대의 옥황묘묘지(玉皇廟墓地)에서 진행된 대규모 발굴조사를 통하여 그 구체적인 문화성격이 확인되면서 중국학계에서는 이 지역의 문화적 성격을 기존의 주변지역의 청동기문화와는 구별하여 독립적인 문화유형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문(本文)에서는 춘추(春秋) 전국(戰國)시기 하북성북부산지(河北省北部山地)일대의 "옥황묘문화(玉皇廟文化)" 관련 유적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묘제(墓制)와 장속(葬俗) 및 출토유물의 특징을 중심으로 옥황묘문화의 성격과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와의 다원적인 영향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하가점상층(夏家店上層)문화와 오르도스청동기문화 및 연국계(燕國系)중원문화와의 다원적인 형태의 영향관계는 옥황묘문화의 성격과 계기적 발전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상징적 형태의 석곽(石槨)이 결부된 수혈식토광묘(竪穴式土壙墓), 구(狗)위주의 동물순장(動物殉葬)과 복면장속(覆面葬俗), 단경고복관(短頸鼓腹罐), 삼족쌍이관(三足雙耳罐), 원병형수단검(圓餠形首短劍), 다량의 중원계청동용기(中原系靑銅容器)와 동과(銅戈) 및 차마구(車馬具)의 공반현상, 호형(虎形) 마형동물패식(馬形動物牌飾) 등으로 대표되는 특징들은 주변지역 북방계청동기문화와는 구별되는 옥황묘문화의 고유한 문화적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옥황묘문화의 시 공간적 범위는 대체로 주변의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와 오르도스청동문화 사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묘제(墓制)와 장속(葬俗) 및 출토유물에 반영된 고유한 문화적 특징과 주변문화와의 다양한 영향관계를 통하여 볼 때 전국중기(戰國中期)이후 연문화(燕文化)에 의해 대체된다.

안동김씨모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Charicteristics of Wonsam on An-dong Kim Clan's Tomb Relics in the later Chosun Dynasty)

  • 이태옥;김혜영;조우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1-74
    • /
    • 2005
  • Wonsam, a type of korean women's gown in Choseon Dynasty, was used as a small ceremonial costume for queens, crown princesses and princesses and as a grand ceremonial costume for royal concubines and wives of high rank officials. It was also worn as a wedding dress for commoners. In the families of illustrious officials, it was also used as burial accessories or garments for the dead. In this context, Wonsam is a formal dress for the people's most important four ceremonies of coming-of-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 worship. It is worth emphasizing the costume since it was widely and importantly used by all ranks of women, from royal families to commoners. Through the Wonsam of An-dong Kim Clan's, we can see what the society was like at the end of Choseon Dynasty. First, a status system that strictly divided costumes for each class, was, in many parts, broken down. Second, the highly wrought patterns and texture of fabrics of the Wonsam reveal that it was granted from Court, or, if woven by the Kim family, it is considered to be produced by the Court's craftsman or through technical transfer, considering that the weaving skills used are as good as those in Courts. Third, regarding the precise needlework that is uncomparable to textiles used by other illustrious officials families, the Wonsam is considered to be granted from Court or, produced through the needlework skills that were handed down from needlewomen in Courts. The Wonsam of An-dong Kim Clan's has noble beauty in it, with outstanding weaving skills, fabrics, needlework and shape. Thu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has those qualities to be the standard costume that inherits the tradition of Korean people.

  • PDF

금산 수당리유적 출토 철제유물의 금속학적 연구 (Metallurgical Study on the Iron Artifacts Excavated from Sudang-ri Site in Geumsan)

  • 박형호;조남철;이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34-149
    • /
    • 2013
  • 금산 수당리유적은 5세기 백제세력이 금산 진안을 통해 가야로 연결되는 내륙교통로를 장악하여 가야 세력과 교류를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이다. 출토된 철제대도와 철부, 철겸 등에 대한 금속학적 미세조직 분석을 실시하여 수당리유적에 대한 철기 제작기술을 확인하였으며 비슷한 시기 제작된 철제유물과 비교하여 5세기 전 후의 백제시대 철기 제작기술에 대한 특징과 기술체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금산 수당리유적에서 출토된 철제유물은 다양한 제작방법이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제작방법은 단순히 성형만 이루어진 것과 성형 후 제강공정이 이루어진 것, 성형 후 제강공정과 열처리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성형만 실시한 1호 석실분 철겸의 경우 인부와 배부 모두 연한 페라이트 조직이 주를 이루고 있어 무기로서 가지는 실용적 기능이 떨어져 피장자의 부장 의장용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형을 실시하고 침탄과 같은 제강공정을 실시한 1호 석곽묘의 철부, 12호 석곽묘의 철겸은 담금질과 같은 열처리는 생략하였지만 부위에 따른 제작 공정의 변화를 주게 되어 단순히 부장 의장용이 아닌 농경과 같이 실생활에서 사용할 목적을 가지고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성형을 실시하고 침탄, 열처리로 이어지는 제작방법은 5호, 12호 석곽묘 철제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열처리로 인하여 강해진 인부조직과 강하면서도 부러지지 않는 배부의 조직은 제작 과정에서부터 무기가 가지는 목적에 맞게 제작되어 피장자가 직접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산 수당리 출토 철제유물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비슷한 시기 백제권역에 조성된 고분군들 가운데 철제유물의 금속학적 미세조직 연구가 이루어진 천안 용원리유적, 서천 봉선리유적, 서산 부장리유적과 비교하여 철기 제작기술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실시한 철제유물의 수가 많지 않아 공통적으로 출토된 철제대도(목병대도)를 통하여 기술변화과정을 살펴본 결과 철제대도(목병대도)는 4세기 이후 담금질이라는 열처리기술이 적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의 재질 및 표면손상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Deterioration and Materials for Stone Guardian and Stone Memorial Tablets from Muryeong Royal Tomb of Baekje Kingdom in Ancient Korea)

  • 박준형;이찬희;최기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1-254
    • /
    • 2017
  •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은 같은 암종으로 심성화성암에 속하는 각섬석암(hornblendite)이다. 이 암석은 녹회색에 중립의 등립질 입상조직을 보이며, 주요 조암광물은 각섬석과 사장석이다. 석수의 전암대자율은 0.15~0.63(평균 $0.42{\times}10^{-3}SI\;unit$), 왕의 지석은 0.11~0.38(평균 $0.24{\times}10^{-3}SI\;unit$), 왕비의 지석은 0.10~0.33(평균 $0.18{\times}10^{-3}SI\;unit$)으로 거의 동일한 낮은 값을 보였다. 이 암석은 공주 부근에서 대규모 산출지를 찾기가 어려우나 암맥상으로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산출상태와 암상으로 보아 석수와 지석의 암석은 맥암과는 달리 심성암의 특징을 보인다. 석수와 지석의 표면에 분포하는 적갈색 및 담갈색 오염물의 분석 결과, 적갈색 오염물은 Fe에 의한 산화물로, 담갈색 오염물은 Ca의 용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갈색 오염물은 암석 내부 기원과 철제 부장품의 산화가 모두 작용하였으며, 담갈색 오염물은 왕릉에 사용된 석회질에서 유입되어 약간의 철산화물이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석수와 지석은 균열, 탈락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화학적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손상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모두 물리적 손상은 극히 적으며, 석수 일부분과 왕비 지석 앞면을 제외하고는 화학적 풍화에도 안정한 상태이다.

금령총 출토 장식편 재질 규명 (Identification of the Materials of the Decorative Pieces Excavated from Geumnyeongchong Tomb)

  • 이규혜;신승철;곽홍인;양석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0권
    • /
    • pp.89-100
    • /
    • 2023
  • 박물관 소장품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형과 제작 물성에 따른 다양한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초소형 유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령총에서 출토된 백색 초소형 물질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비파괴 조사(비중측정, 현미경조사, Nano CT, SEM-EDS, XRD, RAMAN)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된 고려시대 복장품과 비교 검토하였다. 비파괴조사 결과,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라고나이트(Aragonite)가 주구성광물로 확인되었으며, 진주의 성장선이 관찰되어 보석인 진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대 한반도에서 진주의 출현시기를 6세기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백색의 초소형 물질에 대한 과학적 검토를 통해 당시 사회문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