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ly-Conformity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청소년 집단 따돌림에서 동조 행동의 영향 변인 (The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 류경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2호
    • /
    • pp.139-15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The study subjects were 75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variables affecting bully-conformity behavior were sympathy, close friends to confide in, anxiety, social skills, and family harmony. The variables affecting victim-conformity behavior were social skills, sex, attitude toward school atmosphere, anxiety, and sympathy. The variables affecting onlooker behavior were anxiety, sex, and close friends to confide in. 2. Sympathy,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ere higher in the victim-conformity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Anxiety was higher in the onlooker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case of the victim-conformity group compared to the bully-conformity group, the parents showed more generous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a more harmonious atmosphere existed within family members, and the group showed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Finally, the victim-conformity group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atmosphere,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 분석: 또래 괴롭힘 가·피해 및 분노 경험의 영향 (An Analysis of Response as Bystanders of Middle School Girls in a Simulated Cyberbullying Situation: Influences of Peer Bullying/Victimization and Anger Experiences)

  • 정아혜;최윤경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1호
    • /
    • pp.1-23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또한 가·피해 경험, 분노표출, 그리고 상태분노가 여중생의 주변인으로서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2, 3학년인 여중생(N=59)으로 구성되었다. 반응은 7개 범주(외현적 언어, 공격하기, 패스하기, 주제 바꾸기, 피해자 위로하기, 기타, 동조하기)로 분류되었다. 이 중 공격하기는 공격 표적에 따라 세분하였다(피해자, 가해자, 모두, 대상모호). 이는 다시 '공격반응', '도움반응'으로 분류되어 반응의 강도에 따라 채점 및 합산되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타(41.69%) 반응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뒤이어 외현적 언어(20.34%), 패스하기(13.56%), 가해자 공격하기(8.81%), 동조하기(8.64%), 주제 바꾸기(6.61%), 그리고 피해자 위로하기(0.34%) 순으로 이어졌다. 둘째, 피해자 공격에는 과거 가해경험 및 분노표출은 정적영향을, 과거 피해경험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분노는 가해자 공격 및 피해자 도움반응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가·피해자 모두 및 대상모호 공격에는 어느 변인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여중생들이 주변인으로서 적절한 개입을 하도록 돕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