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청소년 집단 따돌림에서 동조 행동의 영향 변인

  • Ryu, Kyung-Hee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Changwon National Univ.)
  • 류경희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s' conformity behavior in bullying. The study subjects were 75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variables affecting bully-conformity behavior were sympathy, close friends to confide in, anxiety, social skills, and family harmony. The variables affecting victim-conformity behavior were social skills, sex, attitude toward school atmosphere, anxiety, and sympathy. The variables affecting onlooker behavior were anxiety, sex, and close friends to confide in. 2. Sympathy,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ere higher in the victim-conformity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Anxiety was higher in the onlooker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In the case of the victim-conformity group compared to the bully-conformity group, the parents showed more generous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a more harmonious atmosphere existed within family members, and the group showed better relationship with teachers. Finally, the victim-conformity group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atmosphere,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Keywords

References

  1. 강진령, 유형근(2000). 집단괴롭힘. 서울: 학지사
  2. 경향신문(2006). '왕따' 폭력에 투신 가출하는 우리 아이들. 11월 14일자
  3. 구본용(1997). 청소년 집단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 29.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4. 권은경(2000). 청소년의 동조행동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성희(2002). 집단 따돌림의 실태 및 원인에 관한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소영(2000).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집단따돌림 현상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길(2002). 집단 따돌림의 실태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용태, 박한샘(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의 실태조사.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 서울: 청소년 대화의 광장
  9. 김정수(1997). 부자간 갈등에서 나타나는 비양립성 지각과 비행.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준호, 김순형(1995). 가정환경과 청소년비행,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 김현주(2003). 집단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혜원, 이해경(2000). 학생들의 집단괴롭힘 관련 경험에 대한 예언 변인들의 탐색. 교육심리연구, 14(1), 45-64
  13. 노성호(1992). 청소년문제론, 서울: 한국청소년연구원
  14. 문성원(1998). 컴퓨터에 의해 매개되는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박경숙, 손희권, 송혜정(1998).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박성현(1989), 회귀분석, 서울:민영사
  17. 박혜경(2000). 집단따돌림에서의 역할구조와 전개과정에 대 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흥일(2004). 집단따돌림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부산일보(2006). 딸 '왕따' 비관 아버지 자살. 10월 14일자
  20. 서성식(1999). 중등학교 학생들의 집단따돌림에 관한 조사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서은영(2001). 집단 따돌림 하위유형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신재선(2001). 초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유형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오미경(1998). 감각추구성향과 사회화 요인이 남녀 청소년의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회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24. 옥수선(2000).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의 실태와 대응방안.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윤성우(2004). 집단 따돌림 방관자에 대한 또래지지 프로그램의 효과.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윤주영(2002). 권력 메커니즘으로서의 낙인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이규미(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 '왕따'현상에 대한 이해와 상담접근,개원 1주년 심포지엄 자료집. 서울: 서울특별시 청소년종합상담실
  28. 이민아(1999). 초등학생의 집단괴롭힘 유형과 심리적 특성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봉건,남재봉,이종연,이상익,황순택,김수현,이재신(2001). 또래아동의 비행 행동이 피해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및 그 개선방안 - 집단괴롭힘 소위 '왕따 (bullying)'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 413-441
  30. 이상균(1999).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이춘재,곽금주(2000).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 실태와 특성. 서울:집문당
  32. 이훈구(2001). 교실이야기. 서울: 법문사
  33. 장지영(2002) 집단따돌림 피해학생 판별도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정명숙(2002). 친사회적 도덕 추론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15(4),113-127
  35. 최재향(2003). 집단 따돌림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최윤희(1999). 집단따돌림 가해 패해 집단의 동조행동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한겨레신문(2006). 집단괴롭힘에 복수하겠다며 가출한 초등 학생.11월 14일자
  38.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6). 학교주변폭력의 실태와 대책. 서울:한국형사정책연구원
  39. 한명모(2002). 집단 따돌림(왕따) 현상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한영주(1999). 중고등학교 집단따돌림 가해자 및 피해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한준상(2002). 집단따돌림과 교육해체. 서울: 집문당
  42. 홍봉선,남미애(2000). 청소년복지론,서울: 양서원
  43. 홍영기(2000). 초등학교 집단 따돌림에 대한 학부모.교사.학생의 인식 비교.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Batsche, G. M., & Knoff, H. M. (1994). Bullies and their victims: Understanding a pervasive problem in the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23,165-174
  45. Carkhuff, R. R.(1969). Helping and Human Relations(Vol. one). New York :Holf, Rinebart, and Winston
  46. Craig, W., & Pepler, D. (1997). Observations of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the schoolyard. Canadi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2, 41-60
  47. Dusek, J. B.(1987). Adolescent development and behavior, New Jersey: Prentice-Hall, Inc
  48. Farrington, D. P.(1993).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Bullying. In Tonny, M, & Morris, N.(Eds.), Crime and Justice, 17.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9. Forsyth, D.K(1983) An introduction to group dynamics. Moterey, CA: Brook/ cole
  50. Gresham, F.M., & Elliot, S.N.(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51. Oliver(1994). The violent social world of black men. New York:Lexington
  52. Olweus, D.(1973). Personality and aggression. In J.F. Cole & D.D. Jensen(Eds.),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1972. Lincil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53. Olweus, D. (1984). Aggressors and their victims: bullying at school. In N. Frude & H. Gault (Eds), Disruptive behavior in schools. New York: John Wiley
  54. Olweus, D.(1994). Bullying at School. Long term outcomes for victims and an effective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iatry, 35(7), 1171-1190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55. Perry, D., Kusel,S., & Perry, L. (1988).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 807-814 https://doi.org/10.1037/0012-1649.24.6.807
  56. Ramboldt, C.(1998). Making violence unacceptable. Educational Leadership, 56(1), 32-38
  57. Robertson, J. F., & Simons, R. L.(1989). Family Factors, Self-esteem, and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1), 125-137 https://doi.org/10.2307/352374
  58. Roland, E.(1988). Reported in Council for Cultural Cooperation Report of the European Teachers Seminar on Bullying in Schools. Strasbourg: CCC
  59. Rigby, K.(1996). Bullying in Schools: and What to do about it.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60. Rigby, K., & Slee, P. T. (1991).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 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 615-627 https://doi.org/10.1080/00224545.1991.9924646
  61. Salmivalli, C. (1999). Participant role approach to school bullying: Implecations for interventions. Journal of Adolescence. 22. 453-459 https://doi.org/10.1006/jado.1999.0239
  62. Salmivalli, C. (2001). Peer-led intervention campaign against school bullying: Who considered it useful, who benefited? Educational Research, 43, 263-278 https://doi.org/10.1080/00131880110081035
  63.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 K., Osterman, K., & Kaukiainen, A.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2.1-15 https://doi.org/10.1002/(SICI)1098-2337(1996)22:1<1::AID-AB1>3.0.CO;2-T
  64. Smith, P. K. (1991). The silent nightmare; Bullying and victimization in school peer groups. Bulletin of the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4. 243-248
  65. Takahashi, S.(1998). When student violence erupts. Japan Quarterly, 45(3).77-83
  66. Tice, D.M.(1993). The social motivations of people with low self-esteem. In R. F. Baumeister(Ed.), Self-esteem:The puzzle of low self-regard(37-54). New York: Plenum
  67. Whitney, I., & Smith, P.K.(1993). A survey of the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 /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35,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