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la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3초

자연 기흉 환자의 혈액 내 TGF-beta 1 Ligand 양과 폐 기포 형성과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TGF-beta 1 Blood Levels and the Formation of Bullae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영삼;김광호;백완기;김정택;차일규;김지혜;송순욱;최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94-398
    • /
    • 2010
  • 배경: 저자들은 자연 기흉 환자의 폐 기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 (TGF-${\beta}1$RII)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TGF-${\beta}1$) ligand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조사하여 상기 유전 물질이 과 발현되어 폐 기포 형성에 관여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TGF-${\beta}1$ ligand는 혈액 내에도 존재하고 있으므로 혈액내의 TGF-${\beta}1$ ligand 양이 폐 기포 조직의 형성에도 관여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연 기흉으로 폐 기포 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19명에서 폐 기포 조직과 혈액을 채취하였다. 대조군으로 25∼27세의 정상인 5명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획득된 폐 기포 조직은 formalin 용액에 고정하였으며 파라핀에 포매하여 $5{\sim}6{\mu}m$ 두께로 블록을 만들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채취된 혈액에서 ELISA assay로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19명 중 16명에서 TGF-${\beta}1$에 양성이었으며 10명에서 TGF-${\beta}1$RII에 양성의 소견을 보였다. TGF-${\beta}1$에 양성인 16명 중 9명에서 TGF-${\beta}1$RII에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강하게 염색된 부위는 폐 기포 조직과 정상 폐 조직의 경계선 부위였다. 폐 기포 조직에서 TGF-${\beta}1$과 TGF-${\beta}1$RII가 동시에 양성인 환자 9명의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은 $38.36{\pm}16.2ng/mL$이었으며 대조군은 $54.06{\pm}15ng/mL$이었다. 결론: 폐 기포를 갖는 수술 환자 군의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이 대조군보다 높지 않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혈액 내 TGF-${\beta}1$ 양은 폐 기포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될 가능성은 적고, 폐 조직에서 국소적으로 과 발현되는 TGF-${\beta}1$RII and TGF-${\beta}1$ ligand가 폐 기포 형성에 더 많이 관계하는 것으로 예상한다.

자연기흉에서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2 mm Video-thoracoscopic Examination and High-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for Spontaneous Pneumothoarx Patients)

  • 이송암;지현근;황재준;조성준;이성호;김광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62-368
    • /
    • 2007
  • 배경: 자연기흉 환자에 있어서 폐기포가 존재할 경우 수술의 적응증이며, 폐기포 진단을 위한 많은 객관적 검사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자연기흉에 대해 기존의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진단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6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자연기흉으로 입원한 환자 중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를 모두 시행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기포의 크기가 5 mm 이상인 경우를 의미 있는 폐기포로 간주하였다.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상 의미 있는 폐기포가 발견된 18예와 출혈이 관찰되었던 1예에서 흉강경하 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5예는 폐쇄식 흉강삽관술만으로 치료를 하였다. 결과: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상 52.9% (18/34)에서 의미 있는 폐기포가 관찰되었다. 수술을 시행한 19명의 환자에서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의 진단 정확도는 94.7% (18/19)로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의 13.7% (14/19)보다 높았다. 평균 $30{\pm}3$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 수술군과 비수술군에서 재발은 없었다. 걸론 국소마취하에 시행하는 2 mm 비디오 흉강경검사는 기존에 사용되던 고해상 전산화단층촬영술보다 진단 정확도가 높으며, 자연기흉 환자에 대한 수술여부를 결정하는 데 유용한 대안적 검사법이라 생각된다.

자연기흉환자의 폐기포에서 TGF-${\bet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TGF-${\beta}1$ Protein Expression in Bullae of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광호;조정수;김영삼;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루시아;송순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05-809
    • /
    • 2006
  • 배경: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 단백질의 과발현이 폐기포 조직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본 연구팀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폐기포벽에서 발견되는 섬유화에 관계될 것으로 생각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TGF-${\beta}1$) ligand의 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자연기흉 환자에서 폐기포 절제슬로 획득한 폐 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명의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 폐기포절제술 시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획득하였다. 36명 환자 중 남자가 34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은 14세에서 38세였다.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였다. 결과: 36명 중 19예에서 TGF-${\beta}1$ 양성이었고 24예에서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가 양성이었다. 19예의 TGF-${\beta}1$ 양성 예 중 15예에서 TGF-${\beta}1RII$에도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이 같은 양성 변화는 폐기포조직과 정상 폐 조직과의 경계선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TGF-${\beta}1$의 과발현은 TGF-${\beta}1RII$ 발현의 변이 여부와 마찬가지로 폐기포벽의 섬유화를 초래하여 폐기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확실한 규명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및 기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연기흉에 대한 비디오흉강경수술의 조기성적 (Early Results of VATS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응중;박재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47-752
    • /
    • 1996
  • 최근 비디오흥강경의 발달로 인하여 많은 수의 외과의사들에 의하여 자연기흥에 대하여 비디오흥강 경을 이용한 기포절제술이 적절한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이 수술 후의 추적관찰 결과 등에 대하여는 크게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는 1994년 6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38회의 비디오흥강경을 이용한 기포절제술을 시행받은 자연기흥 환자 34례(1군)를 대상으로 그 수술결과와 조기 추적관찰 결과 를분석하였으며 동시에 이 결과를 같은 기간에 액와절개술을통해 기포절제술을시행받은환자 14례(2 군)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성별, 나이, 기흥의 위치와 정도, 수술적응증, 그리고 수술후 합병증 발생률은 두군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군에서 1군에 비해 기포의 숫자와 위치가 다발성인 경향이 있었으며 1군에 서 기포절제술시 사용한 자동봉합기의 숫자는 2개에서 4개 사이로 평균 2.6개를 차지하고 있었다. 흥관제거시까지의 기간은 두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3.7일, 3.9일)퇴원시까지의 기간은 1군(5.6일)에 서 2군(8.9일)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 수술후2개월에서 21개월까지 평균 12개월의 추적관찰기간중 1 군에서는 3례(7. %)의 기흥재발이 있었으나 2군에서는 기흥의 재발례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기흥에 대한 비디오홍강경수술이 액와절개술에 의한 수술보다 덜 침습적 이고 재원기 간이 팎아지는등의 장점이 있으나 수술후 기흥의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어 이의 적용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CN 유전자의 삼염기 결손 돌연변이를 동반한 일차성 자발성 기흉 1예 (A Case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with a Three Nucleotide Deletion Mutation of the FLCN Gene)

  • 박건;서홍주;장숙진;신봉석;홍란;이석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824-828
    • /
    • 2010
  • 일차성 자발성 기흉(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PSP)의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최근, FLCN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PSP의 한 원인인자으로 소개되고 있다. 반복적인 PSP를 주소로 한 47세 남성에서 고해상도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상 많은 폐기포와 다수의 큰 낭종과 함께 FLCN c.468_470 delTTC 돌연변이를 발견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영아에 발생(發生)한 거대(巨大) 기낭성폐기종(氣囊性肺氣腫) 2례(例) 보고(報告) (2 Cases Report of Bullous Emphysema in Infancy. Treated by Surgery)

  • 김주이;최수승;이정호;유영선;유회성;박문향;박효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1호
    • /
    • pp.78-82
    • /
    • 1976
  • Bullous emphysema is usually associated with extensive chronic obliterative pulmonary disease. It is the disease of old age but rare in children or infancy. The bulla in this disease is acquired one. In general the symptoms are due to not the mere presence of the bulla but the extent of underlying lung pathology as emphysema or bronchitis. Occassionally giant bulla of great size may cause symptoms and in this occassion it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diseases. Especially in children or infancy pneumothorax, congenital pulmonary cyst of lobar obstructive-emphysema should be excluded. Recently we experienced 2 cases of bullous emphysema in infancy with severe respiratory symptoms because of bullae of great size. We felt difficulties in differentiating with other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review our cases thoroughly and enhance considerations of this disease.

  • PDF

Von Recklinghausen 병에 동반된 폐암 1예 (A Case of Lung Cancer associated with von Recklinghausen's Disease)

  • 한요셉;강홍모;한민수;유지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604-608
    • /
    • 1998
  • Von Recklinghausen병에 동반되는 악성종양은 주로 신경섬유육종이지만 드물게는 폐암이 동반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고 ras 유전자가 양 질환의 발생에 영향이 있음이 알려져 있어 앞으로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Lung Entrapment between the Pectus Bar and Chest Wall after Pectus Surgery: An Incidental Finding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 Kim, Kyung Soo;Hyun, Kwanyong;Kim, Do Yeon;Choi, Kukbin;Choi, Hahng Joon;Park, Hyung Joo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5호
    • /
    • pp.375-377
    • /
    • 2015
  • We report a case of an entrapped lung after the pectus bar repair of a pectus deformity. The entrapped lung was found incidentally dur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 for pneumothorax. Based on VATS exploration, multiple bullae seemed to be the cause of the pneumothorax, but the entrapped lung was suspected to have been a cause of the air leakage.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수술(VATS) -42례 경험-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A Review of 42 Cases)

  • 백희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21-225
    • /
    • 1994
  •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 has recently evolved as an alternative to thoracotomy for several thoracic disorders. Between March 1993 and September 1993, 42 patients underwent VATS at Gil General Hospital. They were diagnosed as spontaneous pneumothorax in 34[81.0%], mediastinal mass in 5, congenital lobar emphysema in 1, traumatic hemothorax in 1, and sarcoidosis in 1. For pneumothorax, wedge resection of bullae or blebs was done in 18 patients, wedge resection and limited parietal pleulectomy in 13, and only pleulectomy in 2. And excision for mediastinal mass in 5, hematoma evacuation for chronic hemothorax in 1, biopsies of mediastinal lymph node and lung for confirming sarcoidosis in 1, and lobectomy of left upper lobe for congenital lobar emphysema in the child of 12 years. The period of chest tube drainage and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averaged 3.8 days [range, 1 to 11 days] and 5.9 days [range, 2 to 18 days]. Three complications occurred in 3 patients with pneumothorax [7.1%, 2 recurrent pneumothorax and 1 postoperative bleeding], and the conversion to open thoracotomy was done in 1 due to massive air leak. The causes of postoperative air leak were speculated and the techniques for saving expensive Endo-GIA staplers are described in this paper. VATS is safe and offers the benefits of reduced postoperative pain and rapid recovery. Our experience indicates a markedly expanded role for VAT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rious thoracic diseases.

  • PDF

폐 첨 쐐기 절제술 후 생긴 복합 국소 동통 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fter Wedge Resection of Apex of Lung)

  • 박일환;김부연;오중환;박정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98-101
    • /
    • 2004
  • 복합 국소 동통 증후군은 외상이나 수술을 받았던 환자에게서 수술과 상관없는 사지 말단 부위의 동통, 이상 통증과 피부 온도, 색깔과 일치하지 않는 혈관 운동 이상, 발한 이상, 운동 장애와 위축이 나타나는 경우를 말한다. 말초나 중추에 있는 통증 수용체의 catecholamine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되어 생기며 적외선 체열 검사를 통해 온도 차이를 확인하면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는 통증을 덜어주기 위한 치료와 장애가 있는 팔이나 다리의 기능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를 병행한다. 16세 남자에게서 수술 후 통증으로 야기된 수술 외 국소 부위에 생겨난 복합 국소 동통 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