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king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유기성 폐기물의 자원화 체제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Resource Recovery System for Organic Wastes)

  • 양재경;최경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90-308
    • /
    • 1999
  • In this study a system for the treatment or recyling of organic wastes from both urban and rural area was recommended. It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ource recovery system regarding human being by four tectnologies; forage, methane production, high-grade composting and complete decomposition. High quality compost can be produced by combining several kind of wastes produced from urban and agricultural areas. High quality compost must possess not only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dinary compost, but also a superior ability to improve the soil properties and must contain more nutrients for plant. Cedar chips were recommended as the main bulking agent to adjust moisture contents and air permeability. Charcoal and zeolite can be used not only as the second bulking agent but also as fertilizer for improve the soil amendment. Complete decomposition of organic wastes is defined by organic matter being completely converted to $CO_2$ and water. All the input water was evaporated by the heat produced through the oxid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present study, the complete treatments were successfully achieved for Shochu wastewater, swine wastes, thickened excess sewage sludge, wastes produced by Chinese restaurant and anaerobic digested sludge. First of all, recycling center of organic waste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protect the environments and effective recovery of organic resources. This may means the way to derive the recovery of human value.

  • PDF

음식물류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에 있어서 목재세편의 투입비에 따른 곰팡이의 균락형성단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Colony Forming Units of Fungi by Input Ratios of Wood Chips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1-455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put ratios of bulking material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on variation of colony forming units(CFU) of fungi. Wood chips were used as a bulking material. Volume ratios of food wastes to wood chips in reactor of Control, WC-1 and WC-2 were 10/0, 10/5 and 10/10, respectively. Reactors were operated for 24 days with I hour stirring by 1rpm and 2 hours of the forced aeration rate of $80L/min{\cdot}m^3$ per day. WC-2 reached high temperature range faster than WC-1, and the maximum temperature of WC-2 was higher than that of WC-1. WC-2 reached high pH range faster than WC-1. and the maximum pH of WC-2 was higher than that of WC-1. WC-2 reached high Log(CFU/gram) range faster than WC-I, and the maximum Log(CFU/gram) of WC-2 was higher than that of WC-1. These all mean that the reaction velocity of composting of WC-2 was faster than that of WC-1. The profile of fungi changes in Log(CFU/gram) was similar to that of temperature changes (r=0.8861) not pH changes (r=0.1631).

돈분의 퇴비화에 있어 악취 제거 기능성 물질의 첨가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 이상환;김인호;홍종욱;권오석;김정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3-12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with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Treatments were T1 & T5 ; Swine mature+Vermiculite, T2 & T6 ; Swine manure+Perlite, T3 & T7 ; Swine manure+Vermiculite+Perlite, T4 & T8 ; Swine manure+Bark. T1, T2, T3 and T4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0 of composting, T5, T6, T7 and T8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3 of composting. Functional ingredients were Fermkito and Yucca.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changes of temperature were showed traditionally composting trend. Volatile fatty acids were de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s in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Organic matter, T-N and C/N ratio were showed higher bark treatments than other treatments. pH and EC were ne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P$_2$O$_{5}$ and $K_2$O were showed level of 1-3%. In heavy metal, Cr were showed higher in vermiculite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vermiculite and perlite treatments were greater composting effects than bark.

  • PDF

목질 벌크향상제 분획별 적용에 따른 라이너지의 건조효율 및 물성변화 (The Changes in Drying Efficiency and Paper Properties of Linerboard by the Application of the Fractions of Wood Powder as a Bulking Agent)

  • 김동섭;윤도현;성용주
    • 펄프종이기술
    • /
    • 제46권5호
    • /
    • pp.61-68
    • /
    • 2014
  • The energy efficiency of papermaking process becomes more significant because of various new regula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and the green house gas emiss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wood powder addition on the drainage and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OCC based paper products, linerboard, were deeply investigated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The fractionation of wood powder depending on the size were conducted. The bigger size of wood powder resulted in the higher bulk and the higher drainage efficiency, but the lower paper strength. The drying efficiency were in detail evaluated depending on the drying process level. In the first section of drying process until the 80% solid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drying efficiency by the addition of wood powder. However, after the 80 % solid level, the drying efficiency was greatly improved by the addition of wood powder. Those results showed the addition of wood powder could greatly affect not only the drainage in forming and wet pressing but also the drying process.

톱밥을 공극개량제로 사용한 음식쓰레기 퇴비화시 숙성도 지표의 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Maturity Index for Garbage Composting Using the Sawdust as Bulking Agent)

  • 남궁완;박상후;인병훈;박준석;이노섭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73-80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톱밥을 공극개량제로 사용한 음식쓰레기 퇴비화시 숙성도 지표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평균조성의 음식쓰레기(G20)였으며 여기에 톱밥을 첨가하여 초기 C/N비를 각각 30(GS30)과 50(GS50)으로 조절하였다. 또한 톱밥과 과량의 곡류를 첨가하여 초기 C/N비를 30(GSC30)으로 조절한 실험도 병행하였다. 숙성도 평가에 이용된 항목은 유기물 감소율, 물용출액 TOC, 수용성 당함량, 부식도 지표, 부식질 흡광도비 등이었다. 실험결과 유기물 감소율은 과량의 톱밥이 첨가된 GS50을 제외한 나머지 음식 쓰레기에서 적합한 퇴비숙성도 판단지표였다. 물용출액 TOC는 퇴비화기간 동안 뚜렷이 감소한 후 숙성단계에서 완만히 감소하여 적합한 퇴비숙성도 판단지표였다. 수용성 당함량은 톱밥과 과량의 곡류가 첨가된 음식쓰레기의 경우 숙성도 지표로 고려할 수 있었다. 부식도 지표와 부식질 흡광도비의 경우 일부 음식물쓰레기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모든 대상 음식쓰레기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과량의 곡류가 포함되고 공극개량제로 톱밥이 첨가되어 C/N비가 30정도로 제어된 음식쓰레기의 숙성도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지표로는 유기물 감소율, 물용출액 TOC, 수용성 당함량 그리고 부식질 흡광도비 등이 추천되었다.

  • PDF

퇴비화 첨가재인 톱밥의 공기투과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기여도 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n Affecting Factors and Contribution Rate for Air Permeability of Sawdust as Bulking Agent on Composting)

  • 김병태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4호
    • /
    • pp.52-6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공정에서 첨가재로 주로 사용되는 톱밥을 대상으로 톱밥 내 공기투과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요인별 특성과 총차감압력에 미치는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공기투과성 변화에의 영향요소로서 층류속도(v), 난류속도($v^2$), 수분함량(MC*v), 공기공극률(AFP*v), 입자크기(SIZE*v)를 선정하여 차감압력 산정을 위한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차감압력에의 증가요인은 층류속도(v)와 입자크기(SIZE*v)이며, 감소요인은 난류속도($v^2$), 수분함량(MC*v), 공기공극률(AFP*v)이다. 공기유입속도를 높이면 총차감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총차감압력 변화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증가요인은 입자크기(SIZE*v)이며, 감소요인은 공기공극률(AFP*v)이다. 또한 총차감압력에의 증가기여도는 낮은 유속에서는 층류속도(v)가 높은 유속에서는 입자크기(SIZE*v)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감소기여도는 공기공극률(AFP*v)이 가장 높았다. 반면에 수분함량 변화에 따른 총차감압력 변화는 그리 크지 않았다. 따라서 총차감압력은 증가요인보다는 감소요인인 공기공극률(AFP*v)과 수분함량(MC*v)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로서, 효율적 퇴비화공정을 위하여는 적정 수분함량 유지와 함께 공기공극률이 높은 첨가재를 선정하여 공기투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적절할 것이다.

유효미생물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효율적 처리 (Efficient Treatment of Sewage Sludge by Effective Microorganisms)

  • 최충식;주길재;이동훈;최충렬;이인구;최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7권
    • /
    • pp.45-52
    • /
    • 1999
  • 하수슬러지의 퇴비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2월 및 8월에 하수슬러지를 채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하수종말처리장에서의 폐수처리시 유입수량 변동, 양이온성 polyacrylamide의 사용량 및 기후 변동을 포함하는 여러 조건의 변화에 따라 미생물 종과 미생물수의 변동이 많았으며, 미소후생동물의 종류 및 활동성도 계절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양이온성 polyacrylamide가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양이온성 polyacrylamide의 농도가 0.8% 이상일 때는 모든 균주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나 0.2% 이하에서는 균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았다. 하수슬러지의 퇴비화 과정중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균종과 균수를 조사하고자 하였으나 미생물의 생태적 생리적 특성과 퇴비화의 일정한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유기물 함량과 bulking agent로 톱밥을 투여하였을 경우 미생물의 균종과 균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하수종말처리장의 폭기조 투입직전 활성슬러지, 폭기조내 활성슬러지, 하수슬러지와 bulking agent로 톱밥을 혼합처리하여 관찰한 결과 Fragilaria sp., Proales sp., Vorticella sp., Schizothrix sp., Anabaena sp., Zoothaminium sp., Epstylis sp., Arcella sp., Balantidium sp., Actinophrys sp., Synedra sp., Euglypha sp., Ulothrix sp., Anacystis sp., 및 Clostium sp. 등의 다양한 미소 후생동물이 관찰되었다. 특히 전기간에 걸쳐 Fragilaria sp., Proales sp., Vorticella sp. 몇 Schizothrix sp.가 관찰되었다.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세균, 효모, 방선균, 곰팡이, 미세조류, 원생동물 및 하등동물은 하수슬러지의 퇴비화 또는 감량화 과정 중에 존재하여 공극의 확보와 같은 물리적인 퇴비화 촉진과 생물학적 분해작용에 의한 퇴비화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온도에 따른 사질토의 다짐 특성 (Temperature Effect on the Compaction Characteristic of Cohesionless Soil)

  • 이기철;지수빈;김호비;김동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53-62
    • /
    • 2016
  • 흙의 다짐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인자 중 하나인 온도는 지역과 계절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진다. 최근 동토지방에서 많은 토목공사가 시행되고 있지만, 온도와 관련된 흙의 다짐기준 및 지침을 정량화할 수 있는 문헌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도에 따른 흙의 다짐특성을 시험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험을 위해 러시아 시베리아, 캐나다 앨버타 주 오일 샌드 지역 등에서 자주 쓰이는 성토재료인 모래의 온도별 다짐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주문진 모래를 사용하였으며, 표준다짐시험을 흙의 다양한 온도조건($-10^{\circ}C$에서 $17^{\circ}C$)에서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영상 온도에서는 다짐 시 벌킹 효과로 인해 흙 공시체의 부피 팽창이 발생하였으며, 그 범위는 0%~6%이였다. $0^{\circ}C$에서 $17^{\circ}C$까지 온도가 증가하면서 최대 부피(최소 건조단위중량)에 해당하는 함수비는 감소하였고, 최소 부피(최대 건조단위중량)에 해당하는 함수비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다. 영하 온도의 경우 함수비가 추가됨에 따라 건조단위중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영하 온도에서는 벌킹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물의 단위부피보다 얼음의 단위부피가 더 크기 때문에 흙 공시체의 부피가 증가하였다.

돈분의 효율적인 지렁이 퇴비화를 위한 Bulking Agent의 이용 (Use of Bulking Agent for Efficient Vermicomposting of Swine Manure)

  • 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7-208
    • /
    • 2014
  • 본 시험에서는 가축분의 퇴비화에 수분조절제로서 사용되는 bulking agent 중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톱밥을 수준별(0(SSD0), 10(SSD10), 20(SSD20), 30(SSD30) 및 40%(SSD40))로 돈분과 혼합한 다음 지렁이 먹이로 이용하였을 때, 지렁이 생육과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지렁이 분립의 생산량 및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여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탄질율과 지렁이 생존율은 SSD0구가 각각 10.19와 35.2%이었으나, 톱밥 혼합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탄질율은 11.09~16.44로 높아졌으며, 실험기간 동안 지렁이의 생존율은 35.2~100%로 나타났다. 산자수는 SSD40구에서 16.6 마리로 나타났으며, SSD0구 및 톱밥을 30% 이하 첨가구에서는 새끼 지렁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포수와 난포중은 SSD30과 SSD40구가 각각 23.8~59.8개와 256~660mg의 범위로 나타났다. 지렁이 분립생산과 소화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p<0.05), 분립의 탄질율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져 SSD30과 SSD40구가 다른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중금속 함량은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돈분에 톱밥 혼합수준이 높을수록 지렁이의 생육과 증식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톱밥 30~40% 혼합 시에 돈분의 효율적인 vermicomposting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음식물찌꺼기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 퇴비화로서 - (A Study on Recycling of Food Garbage - For Compost -)

  • 김남천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1호
    • /
    • pp.51-64
    • /
    • 1994
  • 본보는 종합병원에서 발생되는 유기성쓰레기인 음식물찌꺼기를 미생물에 의해 고속발효공법을 동원하여 24~48시간 이내에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 전환시키기 위한 중간처리방법이 된다. 처리를 위한 발효조건은 함수율이 60%, 발효온도는 $50{\sim}60^{\circ}C$, 산소공급을 위한 송풍량은 $50{\sim}200L/min{\cdot}m^3$ 정도가 필요하다. 함수율을 60%정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두부비지와 톱밥을 사용하였고 고속발효에 필요한 미생물균주는 호기성 균주로서 발효물의 전체중량의 1/300정도 투입하였다. 운전방법은 1차발효가 끝난 다음 감량 및 인출량을 체크하고 그 상태에서 새로운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비교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56.6%와 35.6~47.7%를 나타내었고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bulking agent에 따라 차이가 다소 있었으나 대략 50% 수준이었다. 발효시에 발생되는 탄산가스 농도는 1,000~1,500ppm 정도였고 연속발효일수록 황색에서 갈색,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퇴비화의 이화학적 분석에서는 pH는 약산성, 함수율은 10%미만이였고, 수분조정제에 따라 퇴비화 시간과 T-N, $P_2O_5$, $K_2O$에는 차이가 있었고, C/N 비에도 차이가 컸다. 보편적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대상으로한 고속발효화는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서 가치는 있으나 완숙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간처리 방법으로서는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