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cycling of Food Garbage - For Compost -

음식물찌꺼기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 퇴비화로서 -

  • Kim, Nam-Cheon (Dept. of Envirnnment Technology, Seoul Health Junior College)
  • 김남천 (서울보건전문대학 환경관리)
  • Published : 1994.03.30

Abstract

To compost the food garbage with the dry bean curd and sawdust as the bulking agents, the method of high-speed fermentation by the characteristic microorganisms group was applied. The results of experi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Korean food garbage, which is high in water content, is difficult to compost only by microorganism fermentation without the addition of bulking agents such as dry bean curd cake and sawdust. 2. Weight reduction rates are ranging from 35.6% to 64.5% and varying with the composition of food garbage. The less weight reduction rate is, the longer continuous-fermentation is. And the color of compost is changing sequentially as yellow -> brown -> black. 3. Comparing with the controlled microorganism group, the weight reduction rate and $H_2CO_3$ production rate in the characteristic microorganism group fermentation reactors are higher. And the fermentation rate is satisfactory when the characteristic microorganism group is added. 4. The value of fermented composting as fertilizer diminishes, and the contents of Total Nitrogen, $P_2O_5$, $K_2O$ increase on the condition that the fermentation continues. However, the organic contents and C/N ratio diminish as the fermentation continues. 5. The high-speed fermentation technology demonstractes the possibility of recycling as well as the reduction of composting time provided that it is applied as a pretreatment process for composting.

본보는 종합병원에서 발생되는 유기성쓰레기인 음식물찌꺼기를 미생물에 의해 고속발효공법을 동원하여 24~48시간 이내에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 전환시키기 위한 중간처리방법이 된다. 처리를 위한 발효조건은 함수율이 60%, 발효온도는 $50{\sim}60^{\circ}C$, 산소공급을 위한 송풍량은 $50{\sim}200L/min{\cdot}m^3$ 정도가 필요하다. 함수율을 60%정도로 조정하기 위해서 두부비지와 톱밥을 사용하였고 고속발효에 필요한 미생물균주는 호기성 균주로서 발효물의 전체중량의 1/300정도 투입하였다. 운전방법은 1차발효가 끝난 다음 감량 및 인출량을 체크하고 그 상태에서 새로운 음식물찌꺼기를 투입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비교군과 실험군에서 각각 56.6%와 35.6~47.7%를 나타내었고 발효물에 대한 감량은 bulking agent에 따라 차이가 다소 있었으나 대략 50% 수준이었다. 발효시에 발생되는 탄산가스 농도는 1,000~1,500ppm 정도였고 연속발효일수록 황색에서 갈색, 검은색으로 변하였다. 발효물에 대한 퇴비화의 이화학적 분석에서는 pH는 약산성, 함수율은 10%미만이였고, 수분조정제에 따라 퇴비화 시간과 T-N, $P_2O_5$, $K_2O$에는 차이가 있었고, C/N 비에도 차이가 컸다. 보편적으로, 음식물찌꺼기를 대상으로한 고속발효화는 퇴비 또는 토양개량제로서 가치는 있으나 완숙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중간처리 방법으로서는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