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 weigh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9초

논밭 재배지 조건에 따른 양파 채종용 모구의 수량 및 저장력 변화 (Effect of Paddy and Upland Conditions on Yield and Storage of Onion Bulbs)

  • 조상균;이을태;오영진;최인후;김영진;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01-407
    • /
    • 2006
  • 본 시험은 논과 밭재배에 따른 양파생육 및 채종용 모구 생산, 저장력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후 토양의 화학적 성분을 보면 질소, 인산, 칼리는 밭토양에서 많았으며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은 논토양에서 많았다. 토양수분은 논토양에서 많았고 지중온도는 밭 토양에서 높았다. 2. 양파의 지상부 생육은 밭재배가 양호했으나, 구의 발달은 월동이후 초기에는 논재배에서 빨랐으나 구 비대기 이후에는 밭재배가 더 컸다. 3. 구의 평균 무게는 밭재배가 무거으며, 양파구의 수분함량은 밭재배가 더 많았다. 경도는 논재배가 더 단단했으며 당도는 밭재배에서 더 높았다. 4. 양파의 무기성분 함량은 질소, 인산, 칼리는 밭재배에서 많았고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은 논재배에서 많았다. 5. 구중 분포를 보면 밭재배에서는 구가 큰 양파가 많이 분포했으며 논재배에서는 작은 크기의 양파가 많이 분포하였고 양파 채종에 알맞은 모구 생산 비율은 논재배가 $63{\sim}70%$로 밭재배에 비해 $8{\sim}26%$ 더 많았다. 6. 부패율은 논재배가 $27.2{\sim}34.6%$이고 밭재배가 $37.5{\sim}51.4%$로 논재배가 $8.7{\sim}24.2%$ 적었다.

마늘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과 다변량 분석에 의한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Garlic Germplasms Based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Multivariative Analysis)

  • 이재선;박영욱;정재현;권영희;장후봉;이희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9-88
    • /
    • 2021
  • 본 연구는 국내·외 수집 유전자원의 작물학적 특성과 다변량 분석을 통한 품종군을 분석하여 고품질 마늘 품종육성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마늘 수집 유전자원 160종에 대한 엽 특성 중에서 출현일수의 변이계수가 84.8%로 가장 높았고, 초장과 엽수의 변이계수는 10.1 ~ 10.2%로 다른 형질에 비해 변이가 적었다. 중국 유전자원은 출현일수가 다른 국가의 유전자원 보다 빠른 경향을 보였고, 엽 특성이 다른 국가보다 가장 양호하였다. 구의 특성 중에서 구중과 인편수가 각각 24.3%, 25.7%로 수집종간에 높은 변이를 보였고, 구고와 구경은 각각 7.5%, 11.1%로 수집종 간에서 변이차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엽의 양적 형질 중에서 가장 양호한 생육을 보였던 중국 유전자원이 구 특성에서도 가장 우수하였다. 마늘의 12개 양적형질의 상관 분석에서 수량과 밀접히 관계하는 구중과 구경은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r = 9.0)를 보였다. 지상부의 초장, 엽초장 및 엽수가 구중과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지상부의 생육이 양호할수록 지하부의 생육도 양호하였다. 양적형질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한 결과, 고유값1이상을 기준으로 상위 제 5주성분까지의 5개의 주성분으로 전체변이의 77.11%를 설명할 수 있었고, 제 1 ~ 5주성분까지의 주성분 점수를 이용하여 6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II군집이 가장 많은 유전자원이 포함되었으며, 특히 국내 수집종 39자원 중에서 36자원이 포함되었다.

제주지역에서 구경크기에 따른 식용 Canna의 생육특성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Size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Food Canna in Jeju Island)

  • 조남기;송창길;조익환;강봉균;조영일;고미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3-128
    • /
    • 2004
  • 본 시험은 제주도 화산회토양에서 식용 Canna의 구경크기에 따른(10, 15, 20, 25cm) 생육특성 및 수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 5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구경크기 l0cm 파종에서 78.8cm 이었던 것이,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커져서 구경 25cm 크기에서는 129.1cm 커졌다($y^*=2.71x+60.7667$). 구경크기에 따른 엽장, 엽폭, 엽수, 분지수, 경직경 및 구경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초수량, 구경수량 및 총 생체수량(지상부중+구경중)은 구경 10cm 파종구에서 각각 14M7/ha, 15MT/ha, 29MT/ha이었으나, 구경크기가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구경 25cm 크기 파종구에서 생초수량은 31.2MT/ha, 구경수량은 35.6MT/ha, 총 생체수량은 66.8MT/ha로 증수되었다.

백합의 품종 및 구근크기가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lb Circumference and Cultivar on the Cut Flower Quality in Lily.)

  • 김재윤;홍종원;한고운;장유진;박천호
    • 화훼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7-201
    • /
    • 2011
  • 본 연구는 고품질 절화백합 생산을 하기 위해 실제 유통 중인 7품종을 구주를 달리 하여 식재하고, 채화 후 구주와 품종이 절화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절화품질을 측정한 결과, 화뢰장은 'Medusa', 품종, 절화장은 'Mother's Choice' 품종에서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줄기휨각도는 'Mother's choice' 품종과 'Ismael'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30^{\circ}$ 이상으로 나타났다. 화경장, 화서장, 경경, 꽃 수, 중량 모두 구주가 클수록 좋은 결과를 보였다. 절화품질 중 화뢰장, 절화장, 꽃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주의 크기이며, 휨각도는 품종과 구주의 크기 모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절화품질은 품종보다는 구주에 영향을 받으며 크기가 커질수록 좋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악골 결손부 환자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한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a maxillectomy patient using 3D printing assisted closed hollow bulb obturator: a case report)

  • 오미주;이종혁;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3호
    • /
    • pp.191-198
    • /
    • 2019
  • 본 증례는 상악골 결손이 있는 무치악 환자에서 3D printing을 이용해 closed hollow bulb obturator로 수복한 증례이다. Magic $denture^{TM}$ 시스템(Cozahn, Seoul, Korea)에서 제공하는 트레이와 인상법을 이용하여 구내 인상을 채득하였고, 시적의치상에서 수직고경과 안모, 유지력 등을 확인하였다. 환자가 요구하는 바와 오차를 시적의치에서 수정한 후 이를 반영하였다. 의치의 무게를 줄이고 균일한 두께를 부여하기 위해 상악골 결손부위를 closed hollow bulb로 디자인하여 최종의치상을 프린팅하였다. 치료 후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생육과 품질에 대한 적정 재식밀도 (Optimal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hlrabi in a Closed-type Plant Factory System)

  • 운찬일;조영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4-109
    • /
    • 2019
  • 식물공장에 재배 가능한 작물은 매우 다양할 것으로 본다. 식물공장에서 재식밀도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완전제어형 식물공장에서 콜라비의 재배에 적합한 재식밀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형태는 형광등을 이용한 완전제어형태로, 박막수경재배를 이용하여 재배하였다. 재식밀도는 $22plants/m^2(15{\times}30cm)$, $27plants/m^2(15{\times}25cm)$, 그리고 $33plants/m^2(15{\times}20cm)$로 처리하였다. 식물체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식물체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와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위면적당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또는 단위면적당 벌브의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에는 재식밀도가 높은 처리구($33plants/m^2$)에서 높게 나타났다. 재식밀도와 초장, 엽면적, 광합성, 경도 및 엽록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재식밀도와 벌브 높이와 지름 및 당도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재식밀도가 낮은 $22plants/m^2$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벌브 높이와 지름을 보였으며, 당도 또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경제성을 고려한 생육적인 측면에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재식밀도 $33plants/m^2(15{\times}20cm)$가 적정하였으나, 당도와 같은 품질적인 측면에서는 재식밀도 $22plants/m^2(15{\times}30cm)$가 적정하였다.

PIC 렌즈 전조등 렌즈면의 온도분포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ens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P/C Headlamp Using the Three Category of H4 Halogen Bulbs)

  • 박경석;강병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58-165
    • /
    • 2002
  • This Paper deals with the headlamp lens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p/c headlamp using the three categories of H4 halogen bulbs. Glass is gradually replaced by P/C for the lens material off vehicle headlamp due to the weight reduction and stream lined body of a vehicle. With this trend, the newly established standards for a headlamp with a P/C lens in Europe requires that the heat generated by a bulb should not distort the lens surface. Also the requirements fur the bulb of a headlamp are being enforced in U.S.A & Europe. However, such requirements are not established yet in Korea. By using three kinds (60/55w, 100/90w, 130/90w) of H4 halogen bulbs in this experiment,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Max. temperature on the lens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of requirement fur the bulb off headlamp.

장경간 Spliced PSC 거더교량의 개발 (Development of Long Span Spliced PSC Girder Bridges)

  • 심종성;한만엽;오흥섭;김정구;김민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III)
    • /
    • pp.680-685
    • /
    • 1998
  • Prestressed concrete I-girders were used in the bridge applications in the early 1950s. During the last four decades, the most widely used girder length of bridges have been below 30meter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alternative section for long span bridge which exceed 40 meters. The developed Bulb-Tee girder has a wide bottom flange to enh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to allow placement of a large number of strands in the bottom flange. New bulb-tee shaped PSC girder sections are proposed in this paper. Splicing the technique for long span bridge girder to reduce the self weight is also proposed.

  • PDF

피복재료가 고랭지 재배 Oriental 백합의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Flowering of Oriental Hybrids Lilies in Alpine Area)

  • 홍세진;김학기;박세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85-590
    • /
    • 2001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의 고랭지에서 1998년 5월부터 10월까지 백합의 생육 향상과 우량구근 생산을 위해 여러 가지 피복재를 재배에 이용하였다. 피복처리재는 톱밥, 흑색필름, 반사필름, 투명필름, 그리고 백흑이중필름을 사용하였다. 백합 공시 품종은 일본 수출에 유리한 'Casablanca'와 'Marco Polo'를 재식하였다. 흑색필름과 백흑이중필름 피복재배는 백합 잎의 생장과 발육을 지연시켰다. 피복재배는 'Casablanca' 품종의 지상부 생체중을 증가시켰다. 구근생장은 흑색필름과 백흑이중필름 피복구를 제외한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구근 생육상을 보여주었다. 톱밥과 반사필름 피복재배가 무처리구와 다른 피복처리구보다 백합 지상부 생육, 지하부 생육, 그리고 구근생육에 유리하였다. 흑색필름은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 그리고 개화 향상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투명필름처리와 백흑이중필름은 백합재배 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지상부생육과 구근 생산에 뚜렷한 증진 효과가 없었다. 한편 피복재가 대체적으로 생육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어 관행수확기보다 수확기를 다소 늦추는 것이 백합 구근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멀칭재료와 재식밀도가 Shallot(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의 생장과 구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ching Material and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Bulb Development of Shallot (Allium cepa var. ascalonicum Backer))

  • 조용조;이종태;박유경;정병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07-513
    • /
    • 2011
  • 본 연구는 멀칭재료와 재식방법에 따른 shallot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멀칭비닐 종류별 시험에서 투명 PE필름 처리구에서 흑색 PE필름보다 엽수, 초장, 엽초장, 엽초경이 더 좋았고, 상품수량도 21%나 증수되었다. 그러나 구의 크기별 분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Shallot의 재식밀도별 수량은 120 cm 5조(10 a당 20,833주)에서 1,332 kg으로 120 cm 2조(10 a당 12,500주)에서보다 1.7배가 증수되어 밀식재배가 유리하였다. 따라서 shallot의 재배는 투명 PE필름 멀칭에 휴폭 120 cm에 5조가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