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lb scal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자생나리의 기내 인편삽에 의한 Lily Symptomless Virus 제거 및 구근 재배조건에 따른 재감염 분석 (Elimination of Lily Symptomless Virus by In Vitro Scaling and Reinfection Rates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in Korean Native Lilies)

  • 김민희;박인숙;박경일;오욱;김규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91-899
    • /
    • 2015
  • 본 연구는 자생나리에 있어서 기내 인편삽의 계대배양이 lily symptomless virus(LSV) 제거에 미치는 영향과 구근 재배 조건이 LSV 재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LSV 무병주 대량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식물재료로는 날개하늘나리(L. dauricum), 말나리(L. distichum), 참나리(L. lancifolium), 중나리(L. maximowitzii)등 자생나리 4종을 사용하였다. LSV에 감염된 식물체의 인편에서 소인경을 얻은 다음 이들 소인경을 5회 이상 계대배양을 했을 때 LSV가 완전히 제거되었다. 특히 날개하늘나리와 말나리에서는 1회 기내 인편삽으로도 LSV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내배양을 통해 생산된 LSV 무병주라도 구근의 재배기간이 길수록, 봄 정식구보다 가을 정식구에서, 소식구보다 밀식구에서, 해안지역보다는 내륙 지역에서 재감염률이 높았다. 그리고 재감염률은 중나리가 날개하늘나리와 참나리보다 높았다. LSV 감염주는 무병주에 비해 엽록소 함량이 낮았다. 따라서 자생나리 구근의 수회 계대배양을 통해 LSV를 제거할 수 있으며, 구근 생산과정에서 낮은 재식밀도, 봄 정식, 해안지역 정식 등 재배적 방제를 통해 LSV 재감염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Ascorbic acid, citric acid 및 AgNO3가 나리 기내식물체 생장촉진 및 갈변화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corbic acid, citric acid and silver nitrate on the growth of in vitro lily plantlets and reduction of browning)

  • 노희선;이상일;강윤임;김미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0권4호
    • /
    • pp.224-230
    • /
    • 2013
  • 본 연구 결과 질산은과 구연산 및 비타민 C의 처리는 레드플레임의 갈변화 방지에는 효과적이나, 레드플레임 인편의 재분화 및 생장에 있어 비타민 C와 질산은의 처리는 효과적 이지 못하였다. 반면 구연산의 경우 레드플레임의 재분화 및 생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50mg{\cdot}l^{-1}$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생육이 저해됨을 보여 $100mg{\cdot}l^{-1}$ 처리가 나리의 재분화 및 생장에 가장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절편체의 갈변화를 감소시키는 부분에서는 비타민 C $150mg{\cdot}l^{-1}$ 처리가 1.5%의 가장 낮은 갈변율을 나타내어 갈변화 현상 감소에 가장 적합한 처리구로 판단되었다. 본 실험결과는 향후 나리기내 식물체생산에 문제점으로 발생하는 갈변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인편 재분화 및 생장을 촉진시켜 우량 나리 기내 묘의 대량증식체계 확립을 통한 우량종구묘 생산체계 확립에 기여하여 농가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수선화 구근의 기내배양시 성장조절제의 조직별 재분화와 뿌리 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shoot regeneration and root form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of bulb segments from Narcissus (cv. Dutck Master))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69-271
    • /
    • 2005
  • 본 연구는 수선화 구근의 각 조직으로부터 기내배양시 캘러스형성과 신초재분화를 위한 성장조절제의 효과를 측정하기 써하여 시행되었다. 신초형성과 callus의 형성은 기저부를 포함하는 floral axis에서 $50\%$의 신초발아율을 관찰하였고 scale 에서는 신초형성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floral axis만을 치상한 경우는 아주 저조한 신초형성율이 관찰되었다. 지저부를 포함한 floral axis의 신초형성은 callus의 형성과 같은 NAA 0.5 mg/L과 BA 1.0 mg/L을 포함하는 MS 배지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신초형성으로부터 모든 신초가 형성되기까지는 약 140일이 소요되었다. 신초가 형성된 구근조직을 NAA 5.0 mg/L과 TDZ 0.02 mg/L을 포함하는 뿌리유도 MS배지에서 뿌리가 유도되는 결과를 얻었다. 본 실험에서는 수선화의 재 분화에 있어서 구근의 조직에 따라 신초형성이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 할 수 있었다.

  • PDF

기내배양에 의한 쪽파의 체세포 염색체 배가 (Chromosome Doubling of Allium wakegi Araki by In Vitro Cultures)

  • 임순희;안장순;정창남;한태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59-264
    • /
    • 2002
  • 쪽파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에는 2,4-D의 단독첨가가 보다 효과적이었으나, 2,4-D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형배의 배발생율이 높았다. BA를 혼합첨가하였을 때는 기형배가 보다 많이 발생하였다. 배형성을 위한 외식편으로는 경정이 가장 좋았으며 그 다음 인편, 엽조직 순이었다. 또한 0.09 M의 sucrose를 첨가한 배지에서 배발생 callus 유기가 가장 좋았다. 2,4-D와 BA의 농도가 상이한 배지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의 염색체 변이율은 8∼33.3%였으며, 4배체와 2배체+4배체의 혼수체가 나타났다. 염색체 변이율은 인편 유래의 식물체에서 18.7%로 가장 높았다. 경정 부위에서 유기된 배발생 callus는 33.5%로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았지만, 염색체 변이율은 7.0% 정도로 낮았다. 또한 0.26 M sucrose배지에서 배양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이 높았으며. 0.09∼0.20 M sucrose배지에서 분화된 식물체에서 염색체 변이율은 15.2∼16.6%로 거의 안정적이었다.

인편의 Thidiazuron처리에 의한 나팔수선의 기내증식 (In Vitro Propagation of Narcissus pseudonarcissus by Scale Cultures Using Thidiazuron)

  • 이병기;김영숙;박병모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3-57
    • /
    • 1995
  • 수선화의 기내증식에 미치는 TDZ처리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disk를 붙인 인편을 MS 기본배지에 NAA, BA 및 TDZ을 첨가한 배지에 배양하였다. 인편배양으로부터 자구의 형성 및 직접적인 신초형성에는 5.0 mg/L NAA와 1.0 mg/L BA가 반응이 양호했고 3 mg/L NAA와 0.02 mg/L TDZ을 혼용처리했을 때에도 비교적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분화된 유식물의 뿌리형성에는 5.0 mg/L NAA와 0.02 mg/L TDZ이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양호했다. 기내배양에서 얻어 진 식물체의 조직편을 이용하여 기내증식에 미치는 시토키닌의 영향을 조사했던 바 TDZ이 다른 시토키닌보다 효과가 있었고 조직은 인편을 배양했을 때가 자구형성 및 신초 분화가 가장 양호했으며 1.0 mg/L NAA와 0.5 mg/L TDZ을 첨가한 배지에서 여러 조직편으로부터 자구형성 및 신초분화가 가장 양호하여서 수선화의 기내증식 시 TDZ처리의 가능성이 있음이 인지되었다.

  • PDF

조직배양에 의한 네리네 대량증식 (Bulb Propagation on Nerine by Tissue Culture)

  • 한수곤;강찬호;최인영;최소라;임회춘;이진재;오남기;최정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4-138
    • /
    • 2008
  • 조직배양에 의한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 조건을 확립하고자 대량증식 배지선발,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첨가물질, 배양부위별 증식효율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네리네 기내 대량증식을 위한 생장조정제 처리결과 자구형성수는 단용처리보다 혼용처리에서 효과적이었다. 생장조정제 처리별 자구수에서 Nerine bowdenii ‘Favorite’ 와 Nerine sarniensis ‘Red’ 모두 NAA $0{\sim}0.5$ + BA $0.5{\sim}2.0mg\;{\cdot}\;L^{-1}$에서 무처리 1.2개보다 $66%{\sim}100%$향상된 $1.8{\sim}2.4$개로 효과적이었다. 자구비대 및 출현율 향상을 위한 최적 배지원과 농도는 Glucose 7%로 가장 양호한 자구비대 및 순화시기에 관련 없는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는 질산태와 암모니아태 질소 혼용 40mM에서 토양내 자구 출현율이 가장 높았다. 배양부위별 증식효율은 재료 확보가 제한적인 생장점 배양보다는 인편번식 배양이 54배 높은 증식효율을 보였으며, 인편번식 배양을 위한 부위로는 중인편이 양호한 생장 및 가장 높은 자구 형성(1.8개/절편)이 가능하였다.

비탈면에 적용된 다구근 앵커의 보강효과 연구 (A Study On The Reinforcing Effect Multibell Anchor Applied To The Cut Slope)

  • 차경섭;김선주;김태훈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286-1293
    • /
    • 2010
  • The ground anchor used in domestic area, which resists by adhesion between anchor body and the ground to the external force, seems not to be adequate for soft ground and urban area where the boundary between structures is close because the ground is disturbed and lost its strength during boring. In order to overcome such a shortcoming an expanded anchor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ground expansion is accomplished by means of Pulse Discharge Technology. In this technology, a high voltage of electricity is stored and discharged in milliseconds which induces high pressure acting on the ground. By making a couple of bulbs, a passive resistance as well as shaft resistance are mobilized, and therefore a higher pullout resistance comparing existing ground anchors is developed.In this study, a couple of full scale tests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gure out how much the resistance of an expanded anchor increases comparing to the straigh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remarkable increase in ultimate pullout capacity is observed for the soft ground and as the number of bulb increases. In addtion, as a result of applying to a cut slope reinforcement, it appeared that the length of fixed zone of anchor can be reduced effectively.

  • PDF

Spatial Changes in Work Capacity for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Potential Regional Impacts From Global Climate Change

  • Kim, Donghyun;Lee, Junbeo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20
  • Background: A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ntensifies, exposure to heat stress will grow, leading to a loss of work capacity for vulnerable occupations and affecting individual labor decisions. This study estimates the future work capacity under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8.5 scenario and discusses its regional impacts on the occupational struc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utilized for this study constitute the local wet bulb globe temperature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from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sing these data, we classify the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and estimate future changes in work capacity at the local scale,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structure. We then identify the spatial cluster of diminishing work capacity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Resul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52 occupations are at risk of heat stress, including machine operators and elementary laborer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welding, metal, and mining industries. Moreover, spatial clusters with diminished work capacity appear in southwest Korea. Conclus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work capacity associated with heat stress in terms of climatic impact, this study quantifies the local impacts due to the global risk of climate change.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ainstreaming an adaptation policy related to work capacity i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Development of an Indirect ELISA and Immunocapture RT-PCR for Lily Virus Detection

  • Kim, Jin Ha;Yoo, Ha Na;Bae, Eun Hye;Jung, Yong-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776-1781
    • /
    • 2012
  • Multiple viruses such as Lily symptomless virus (LSV), Lily mottle virus (LMo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are the most prevalent viruses infecting lilies in Korea. Leaf samples and bulbs showing characteristic symptoms of virus infection were collected from Gangwon, Chungnam, and Jeju provinces of Korea in 2008-2011. Coat protein (CP) genes of LSV and LMoV were amplified from collected samples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cloned into a pET21d(+) expression vector to generate recombinant CPs. The resulting carboxy-terminal His-tagged CPs wer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strain BL21(DE3) by isopropyl-1-thio-${\beta}$-D-galactoside induction. The recombinant proteins were purified using Ni-NTA agarose beads, and the purified proteins were used as an immunogen to produce polyclonal antibodies in rabbits. The resulting polyclonal antisera recognized specifically LSV and LMoV from infected plant tissues in Western blotting assays. In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nd immunocapture RT-PCR using these polyclonal antisera were developed for the sensitive, efficient, economic, and rapid detection of Lily viru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rge-scale bulb tests and economic detection of Lily viruses in epidemiological studies can be performed routinely using these polyclonal antisera.

Effect of Thermal Stress on Sexual Behaviour of Superovulated Bharat Merino Ewes

  • Maurya, V.P.;Naqvi, S.M.K.;Gulyani, R.;Joshi, A.;Mittal, J.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03-1406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study the effect of thermal stress on sexual behaviour of superovulated ewes. Fourteen adult Bharat Merino ewes with an average body weight of 29.4${\pm}$2.34 kg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wo groups of 7 each. All the animals were grazed on natural pasture in the morning and evening hours and housed in shed during night. Animals of Group-1 were housed in shed from 10:00 to 16:00 h while the animals of Group-2 were exposed to thermal stress in a hot chamber ($40^{\circ}C$ /6 h/day). All the animals were offered drinking water once a day at 16:30 h. Meteorological observations i.e. dry bulb, wet bulb,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were recorded daily inside the shed as well as in hot chamb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For superovulation of animals, standard protocol developed at the Institute, using FSH (Ovagen 5.4 mg in eight injections) and PMSG (200 IU) was followed. Various sexual behaviour parameters (circling, tail fanning, head turning, standing and approaching to ram) and estrus incidence (onset of estrus and estrus duration) were observed in both the groups. The different estrus symptoms were graded subjectively on arbitrary scale of 0-5 where 0 representing no sexual behaviour (0%) and 5 representing maximum intensity in sexual behaviour (100%). Estrus was detected with the help of a marked aproned ram of proven vigor at six hourly intervals. The average percent values for sexual behaviour parameters recorded in Group-1 and Group-2 animals were 53.7${\pm}$3.76 vs. 41.1${\pm}$2.18 for circling, 71.8${\pm}$5.42 vs. 49.0${\pm}$4.41 for tail fanning, 64.7${\pm}$3.30 vs. 44.5${\pm}$4.34 for head turning, 90.1${\pm}$3.16 vs. 75.8${\pm}$4.02 for standing and 63.8${\pm}$4.8 vs. 41.9${\pm}$4.58 for approaching to ram. Animals exposed to thermal stress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these sexual behaviour parameters. The animals kept in shed exhibited estrus earlier (25.4${\pm}$1.12 h) and duration was higher (37.7${\pm}$1.59 h) as compared to animals exposed to thermal stress i.e. 30.6${\pm}$1.16 h and 31.7${\pm}$3.57 h, respectively.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mal stress reduces the intensity of sexual behaviour in ewes and may result in failure of the animal to mate and conce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