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HAVC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시스템 에어컨에 의한 실내 소음 평가 및 개선 설계 (Estimation of the Noise Caused by the System Air Conditioner and its Improvement)

  • 이제원;주재만;오상경;송용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862-865
    • /
    • 2004
  • The system air conditioner has an outdoor unit and a number of indoor units, which connected by several long pipes. In comparison with building HAVC system, the system air conditioner doesn't need lots of facilities, such as control of room, cooling tower, etc. At the beginning stage for the market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its main application was a school which size is small to use the building HAVC and large to use home air conditioning system, such as PAC (package air conditioner), RAC (room air conditioner). Therefore,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the system air conditioner mentioned above, the market is expanded rapidly. Sinc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noise caused by the system air conditioner because it has to be implemented before the finish of construction, the prediction or estimation of the noise by using CAE technology should be very important. In this research, using a commercial code, RAYNOISE, the noise is estimated to improve the design of building.

  • PDF

건축물 설계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비주거용 표준건물의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erence Building based on the Building Design Trends for Non-residential Buildings)

  • 정영선;정해권;장희경;유기형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1-11
    • /
    • 2014
  •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introduce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tandard which regulates the annual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This paper aimed to set up the reference building from database based on the building design trends for non-residential buildings. We surveyed the design data of 435 non-residential buildings which were granted building permission from 2007 to 2011. And we conducted estimation on the heating & cooling load and the energy consumption of the reference building using ECO2 program. From results, the reference building of non-residential buildings was office building which had a total 7 floors and $20,838m^2$ gross floor area. And it suggests the design reference data of building envelope, HAVC, heat source equipment and lighting system for the reference building. The total annual energy use of the reference building was $151.9kWh/m^2yr$.

제로에너지 스쿨을 위한 초등 교육시설의 에너지 성능평가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of A Primary School Building for Zero Energy School)

  • 윤종호;신우철;조진일;박재완;김효중;이철성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1-126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standard school's energy usage and patterns as the zero-energy goal of primary school building, and proposed the energy reduction process of school building using energy analysis computing simulation tool. As a analysis simulation tool, Visual DOE 4.0 is used. For analysis of actual energy usage, selected primary school that is standard in the nation's energy consumption. Standard of the school's energy consumption analysis were devided into electric and gas energy. Input parameters of the simulation program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 and field survey material. after, but it was calibrated to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chool's energy consumption. Finally, its energy usage analyzed by component and made the priority order of energy saving. Applied energy saving technologies are envelopment insulation, high efficiency lighting, high performance HAVC system and used active equipment system of solar collector and photovoltaic generation for additional savings.

  • PDF

퍼지시스템을 토대로한 디자인 결정모델에서 AHP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HP to Design Decision Model on Fuzzy System)

  • 우세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09-314
    • /
    • 2006
  • 건축설계자들의 디자인 결정을 보조하고 설계자료들을 지원하기 위한 총합건축설계 지원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과정으로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Fuzzy System을 토대로한 디자인 결정모델의 문제점들을 본 논문에서 보완하고자 한다. 특히, 공조설계자의 공조방식 결정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는 관련 설계요소들에 대한 특성과 영향정도를 논리적으로 결정과정에 반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의사결정방법의 하나인 AHP(Analystic Hierarchy Process)를 적정 디자인 값을 추론하는 과정에 적용하여 공조설계자의 공조방식 결정과정에 반영한 모델을 설정하였다

EnergyPlus를 이용한 건물 부위별 목질제품 적용에 따른 건축물 에너지 절감 기여도 평가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Building Energy Saving Performance by Component of Wood Products Using EnergyPlus)

  • 서정기;위승환;김수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55-663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온실 가스 증가에 따른 기후 변화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그중,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소비량은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건축물에서의 에너지 소비량 절감에 대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에너지 절감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재료 중 하나인 목재를 이용하여, 목질 제품 구성에 따른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난방에너지 요구량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도구는 미국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가 BLAST와 DOE-2의 장점을 결합해 만든 동적 에너지 해석 엔진인 EnergyPlus를 이용하였다. EnergyPlus는 다양한 건물 및 HVAC 시스템 구성요소(Object)에 대한 입력항목(Field)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건물, 공조시스템, 열원기기 사이의 피드백을 통해 통합된 동시계산을 수행하며, ASHRAE Standard 140-2007 표준에 따라 상용 프로그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된 프로그램이다.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상데이터는 EnergyPlus에서 제공하는 IWEC 인천 지역과 광주 지역의 epw 형식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대상 모델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시한 2012년 농 어촌주택 표준설계도면 중 '농림-12-26-가' 유형을 이용하였으며 총 10개의 실로 구성되어 있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별 목질 제품의 적용 범위를 실내마감재, 실외마감재, 창호, 목구조로 단계적으로 변경해 지역에 따라 각각 16 Case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실내외의 마감재로 목재를 사용한 것만으로도 에너지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