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ffer management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5초

SSD를 위한 비대칭 버퍼 관리 기법 (An Asymmetric Buffer Management Policy for SSD)

  • 정호영;강수용;차재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41-150
    • /
    • 2011
  • 최근 다양한 기기에서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인 SSD가 활용되고 있다. SSD 기반 시스템에서 기존 하드 디스크 기반 버퍼 교체 알고리즘은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이는 시스템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SSD의 특성을 고려하여 읽기 버퍼와 쓰기 버퍼를 분리하고 각각의 버퍼에 서로 다른 크기의 교체 단위와 서로 교체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ABM (Asymmetric Buffer Management) 정책을 제안한다. 추가적으로 제안한 정책을 보완하기 위해 쓰기 교체 지연 정책, 동적 크기 적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안한 ABM 정책은 효과적으로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여러 알고리즘 중 가장 성능이 좋은 ABM-LRU-CLC의 경우 기존의 LRU에 비해 최대 32%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FR 서비스를 위한 성능 향상된 버퍼관리 알고리즘 (Performance Improved Buffer Management Algorithm for GFR Service)

  • 조해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248-254
    • /
    • 2005
  • 기존의 버퍼 관리 방법은 TCP 트래픽의 "burstness" 특성으로 인해 손실 없는 전송만으로는 GFR이 요구하는 최소 전송률 보장과 공평성을 제공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GFR이 요구하는 최소 전송률 보장과 높은 공평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버퍼관리 기법에 퍼지 이론을 적용한 버퍼관리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태깅정보, 버퍼 점유량, VC의 부하정도로 구성된 세 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패킷 폐기를 결정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MCR의 크기가 커질수록 제안된 알고리즘의 수율과 공평성이 우수하였으며, 스위치에서 버퍼의 크기 변화에서도 Double-EPD나 DFBA는 비슷한 성능을 보였고, 제안된 알고리즘은 좋은 수율과 공평성을 제공한다.

  • PDF

멀티미디어 통신 환경에서 Push/Pull 버퍼 관리 기법 (A Scheme for Push/Pull Buffer Management in the Multimedia Communication Environments)

  • 정찬균;이승룡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7권2S호
    • /
    • pp.721-732
    • /
    • 2000
  •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s require not only high-performance computer hardwares and high-speed networks, but also a buffer management mechanism to process many data efficiently. Two buffer handling methods, Push and Pull, are commonly used. In the Push method, a server controls the flow of dat to a client, while in the Pull method, a client controls the flow of data from a server. Those buffering schemes can be applied to the data transfer between the packet receiving buffer, which receives media data from a network server, and media playout devices, which play the recived media data. However, the buffer management mechanism in client-sides mainly support either one of the Push or the Pull method. Consequently, they have some limitations to support various media playout devices. Futhermore, even though some of them support both methods, it is difficult to use since they can't provide a unified structure. To resolved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and flexible Push/Pull buffer management mechanism at client-side. The proposed buffer management scheme supports both Push and Pull method to provide various media playout devices and to support buffering function to absorb network jitter. The proposed scheme can support the various media playback devices using a single buffer space which in consequence, saves memory space compared to the case that a client keeps tow types of buffers. Moreover, it facilitates the single buffer as a mechanism for the absorbing network jitter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proposed scheme has been implemented in an existing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so called ISSA (Integrated Streaming Service Architecture), and it shows a good performance resul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ffering methods in multimedia communication environments.

  • PDF

가변 크기 버퍼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타 버퍼 관리 기법 (A Multimedia Data Management Technique Using Variable Size Buffer)

  • 조영섭;김재홍;배해영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1375-1385
    • /
    • 1996
  • 멀티미디어 데이타에 대한 처리 요구가 급증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처리 하는 저장 관리자의 성능은 시스템의 성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멀 티미디어 데이타의 크기는 매우 크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디스크 입출력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시스템 성능 저하를 가져온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버 퍼 관리를 통해 디스크 입출력을 줄이는 것은 시스템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 은 멀티미디어 데이타 저장 관리자가 디스크 영역 관리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세그 먼트가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페이지들로 구성되어 디스크 입출력 단위로 사용된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버퍼의 크기가 세그먼트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인 버퍼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버퍼의 크기가 가변적이 됨에 따라 버퍼의 참조 행동뿐만 아니라 버 퍼의 크기를 고려한 버퍼를 교체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멀티미디어 데이타 버 퍼 관리 기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타 저장 관리자인 KORED/STORM에서 구현한다.

  • PDF

ATM-GFR 서비스에서 동적 임계치를 이용한 공평성 향상 알고리즘 (A Fairness Improvement Algorithm using Dynamic Threshold in ATM-GFR Service)

  • 김남희;김변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3호
    • /
    • pp.305-310
    • /
    • 2003
  • ATM 망에서 ABR(Available Bit Rate) 서비스 이상으로 단순한 구현을 통해 대역폭 보장을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GFR(Guaranteed Frame Rate) 구현의 성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GFR 서비스에 있어서 서비스 품질보장을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버퍼관리이다. 즉 ATM 스위치에서 untagged된 셀에 대해 MCR(Minimum Cell Rate)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버퍼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FR 서비스 보장을 위한 버퍼관리 기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각 VC간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 버퍼에서 셀 폐기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방식인 Double-EPD(Early Packet Discsrding) 및 DFBA(Differential Fair Buffer Allocation) 기법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goodput 및 공평성지표면에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 방지를 위한 취약 함수 변환기 구현 (Implementation of a function translator converting vulnerable functions for preventing buffer overflow attacks)

  • 김익수;조용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05-114
    • /
    • 2010
  • C language is frequently used to develop application and system programs. However, programs using C language are vulnerable to buffer overflow attacks. To prevent buffer overflow, programmers have to check boundaries of buffer areas when they develop programs. But vulnerable programs frequently result from improper programming habits and mistakes of programmers. Existing researches for preventing buffer overflow attacks only inform programmers of warnings about vulnerabilities and not remove vulnerabilities in advance so that the programs still include vulner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unction translator which prevents creating programs including buffer overflow vulnerabilities. To prevent creating binary from source including vulnerabilities, the proposed translator searches vulnerable functions which cause buffer overflows, and converts them into secure functions. Accordingly, developing vulnerable programs by programmers which lack in knowledge on security can be prevented.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적정 수변구역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an Optimum Riparian Buffer Zone Based o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 한혜진;박석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55-562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iparian buffer zone design model(RBZDM). The model was developed as a decision-making tool for watershed management, by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theory. Several factors for watershed management, such as pollution removal capacity, land aquisition cost, distribution of point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nd possibility of new pollution source location, were analyzed based on AHP theory. The vegetated buffer zone width was designed using GIS-based riparian buffer analysis.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the Kyoungan Stream watershed,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Paldang lake catchment area. The Kyoungan stream watershed was divided into sixteen subbasins. Six of them belong to the main stem, where the model was applied. Ten alternatives of buffer zone width and five hierarchial levels were designe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relative preference were computed by pair-wise comparison of evaluation criteria given in hierarchial levels. The buffer zone width was determined by linear function of the given alternatives and relative preferences. From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six buffer zone widths of Kyoungan main stems would be 1,594, 1,744, 1,856, 1,782, 1,338, 1,780 meter, from upstream to downstream.

QoS Buffer Management of Multimedia Networking with GREEN Algorithm

  • Hwang, Lain-Chyr;Ku, Cheng-Yuan;Hsu, Steen-J.;Lo, Huan-Yi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3권4호
    • /
    • pp.334-341
    • /
    • 2001
  • The provision of QoS control is a key of the successful deployment of multimedia networks. Buffer manag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QoS control.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ovel QoS buffer management algorithm named GREEN (Global Random Early Estimation for Nipping), which extends the concepts of ERD (early random drop) and RED (random early detection). Specifically, GREEN enhances the concept of "Random" to "Global Random" by globally considering the random probability function. It also enhances the concept of "Early" to "Early Esti mation" by early estimating the network status. For performance evaluation, except compared with RED, extensive simulation cases are performed to probe the characteristics of GREEN.

  • PDF

SLAM : 공간 데이타의 공간적 근접성을 이용한 효율적인 버퍼관리기법 (SLAM : An Efficient Buffer Management Strategy using Spatial Locality of Spatial Data)

  • 안재용;민준기;정진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5호
    • /
    • pp.393-403
    • /
    • 2002
  • 데이타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는 효율적인 버퍼관리이다.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에서 객체를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작업은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 I/O의 횟수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디스크 I/O 횟수를 줄이기 위한 많은 버퍼관리기법들이 제안되었지만, 그 기법들은 시간적 근접성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공간적 근접성도 존재하는 공간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데이타베이스의 시간적 근접성과 공간적 근접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새로운 버퍼관리기법인 Spatial Locality Area Measure(SLAM)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버퍼관리기법은 SLM-tree와 M-LRU, 두 개의 구조체로 구성되었으며 공간데이타베이스 환경에서의 다양한 버퍼크기와 참조빈도에 대한 실험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FMS의 Deadlock과 Workload를 고려한 최적 버퍼 할당에 관한 연구 (A Study of Buffer Allocation in FMS based on Deadlock & Workload)

  • 이정표;김경섭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71-74
    • /
    • 2000
  • Due to the complexity of parts flow and limited resources,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develops blocking, starvation and deadlock problems, which reduce its performance. In order to minimize such problems buffers are imposed between workstations of the manufacturing lines. In this paper, we are concerned with finding the optimal buffer allocation with regard to maximizing system throughput in limited total buffer capacity situation of FMS. A grouping heuristic to solve the buffer allocation problem is proposed. Computer simulation using Arena will be experimented to show the validation of the proposed algotith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