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ddha's Pavilion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불국토(佛國土) 사상에 따른 다불전(多佛殿) 사찰의 조영(造營) 개념 연구 - 불국사, 법주사, 부석사의 불전 배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Temple Structure with Multi-Buddha's Pavilions based on Buddha's Land Conception - Focusing on the Layout of Bulkooksa, Beobjusa and Buseoksa -)

  • 양상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41-55
    • /
    • 2005
  • Temple with Multi-Buddha's Pavilions is a temple consisting of more than 2 Buddha's Pavilions. Individual Buddha's Pavilions tend to form distinguished area, or to keep independent axis from other Buddha's Pavilions.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layout of individual Buddha's Pavilions located in the Temple with Multi-Buddha's Pavilion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to layout of individual Buddha's Pavilions on the basis of Buddhism doctrine makes us to understand philosophies about temple layout which temple constructors had. Bulkooksa, a temple having several pavilions placed in parallel, integrates diverse philosophies such as Vairocana Buddha-Ksetra from Vairocana Buddha's Pavilion, Sakyamuni Buddha-Ksetra from both Sakyamuni Buddha's Pavilion and two stupa, and Amitayus Buddha-Ksetra (Sukhavati) from Amitayus Buddha-Ksetra Pavilion. Sakyamuni Buddha's Pavilion and Amitayus Buddha's Pavilion are placed east to west in parallel, and Vairocana Buddha's Pavilion is placed behind them. Beobjusa, a temple having several pavilions placed cross axis, combines three axes such as the first, main axis linking Kumkang Gate - Chunwang Gate - Palsang Pavilion - Amitayus Buddha's Pavilion - Sakyamuni Buddha's Pavilion, the second axis linking Palsang Pavilion -Maitreya Pavilion, and the third axis linking Amitayus Buddha's Pavilion - Avalokiteshvara Pavilion. Relationship among each Buddha's land is clearly expressed by means of this cross axis layout of Buddha's Pavilions, reflecting a philosophy of rebirth in Nirvana that Wonhyo and Eusang propagated. Buseoksa, a temple having several pavilions placed the before and the behind, combines three Buddha's lands such as Maitreya Buddha-Ksetra, Amitayus Buddha-Ksetra and Vairocana Buddha-Ksetra, by means of arrangement of Maitreya Pavilion, Anyang Pavilion and Amitayus Buddha's Pavilion at bended axis, and east facing Amitayus Buddha. By investigating the philosophy of Temple layout with Multi-Buddha's Pavilions in this study, Buddha's Land conception, for people, that ancient Korean temples have, is understood.

  • PDF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읍치(邑治)의 공간구조와 관아(官衙) 조경 -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of Eupchi(邑治) and Landscape Architecture of Provincial Government Office(地方官衙)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Sukchunjeahdo(宿踐諸衙圖)' - Focused on the Youngyuhyun Pyeongan Province and Sincheongun Hwanghae Province -)

  • 신상섭;이승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86-103
    • /
    • 2016
  • 조선후기 문신 한필교(1807~1878년)가 관직을 역임했던 읍치를 대상으로 제작한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 화첩의 평안도 영유현과 황해도 신천군 읍치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실증사료로서의 가치추적, 공간구조 등의 전형성 정립, 관아조경 및 문화경관 특성 도출 등을 시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풍수형국도' 성격을 겸하며 사방전도묘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의 읍치도는 조선시대 지방고을의 터잡기와 공간구조는 물론 환경설계원칙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고을 치소(邑治)는 남북 중심축선에 위계를 설정한 배산임수 체계이며, 전조후침(前朝後寢)의 관아시설, 그리고 3단1묘의 제례처 등 도성에 준한 토지이용과 배치규범을 적용하고 있다. 교통요충지에 자리한 고을 치소는 어귀 장터마당을 결절점으로 안길을 따라 북쪽으로 향하면 관아 문루에 다다르는 노단경이 형성되고, 고갯길 또는 물길을 따라 외부 바깥길로 이어지는 체계를 갖는다. 즉, 동선체계는 바깥길-고갯길-어귀길-장터마당-안길-또는 샛길로 수용력과 위계에 따라 분절되며 3거리 길로 접합되는 양상이다. 지방관아의 토지이용은 3조(三朝)의 개념(외조, 치조, 연조)을 반영한 위계적 구성인데, 동헌의 후원과 객사의 별원을 포함하여 3문3조2원(三門三朝二園)의 공간체계를 보여준다. 고을의 뒷동산 소나무 숲, 명당수인 남천, 안산(案山)에 해당하는 조산(造山), 비보숲 읍수(邑藪) 등 풍수적 경관짜임이 작용되었는데, 겨울철 북서풍 차단과 여름철 상승기류 형성 등 에너지 보존, 색체 항상성, 자연재해 방지와 심리적 안정성 등 쾌적성 조건에 부합되는 환경지속성이 추출된다. 한적한 곳에 자리한 향교는 별도의 원림을 가꾸지 않았으며, 누정은 심신수양, 안분지족, 자연회귀 같은 상징적 가치, 정치적 행사와 윤리관 반영, 유흥상경 등 문화경관 양상이 다양하게 표출되는데, 객사에는 기와를 얹은 와정(瓦亭)이, 동헌과 내아에는 네모꼴 연못을 두고 소박한 모정(茅亭)이 도입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관아에 지표경관으로 문루가 자리하고, 군사훈련 및 심신수양을 겸한 사정(射亭)이 필수시설로 도입되었다. 아사의 앞뜰은 네모꼴 마당(庭)으로 조경처리를 하지 않은 반면, 정청의 뒤뜰(後園)과 객사의 별원(別園) 등은 장식적으로 가꾸었다. 이러한 관아조경은 공간 성격 및 위계를 반영하되 기능적 지속성(차폐와 방화, 미기후조절 등)과 심리적 건전성, 상징성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경관미학이라 하겠다. 한편, 소나무, 느티나무, 배나무, 버드나무, 향나무(또는 노송), 연(蓮), 화목(花木) 등이 조경식물로 활용되었는데, 환경심리적 가치가 부가된 배후숲, 조산숲과 비보숲 등과 함께 건전한 문화경관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조선시대 읍치의 공간구조 및 환경설계 원칙이 제도적 틀 안에서 정형성으로 작용되고 있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