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

검색결과 5,254건 처리시간 0.025초

솔잎 (Pinus Densiflora)부탄올 획분이 간장의 활성산소 및 제거효소에 미치는 영향

  • 김현숙;이지혜;최진호;김대익;박수현;백승진;조원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91-295
    • /
    • 2002
  • SD계 흰쥐를 사용하여 평균적으로 하루에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을 25, 50, 100mg/kg BW가 섭취하도록 사료에 첨가하여 45일 동안 투여하였다. BuOH-25 투여그룹을 제외한 BuOH-5- 및 BuOH-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s은 대조그룹 대비 11.6%, 20.1% 및 10.5%, 13.5%의 매우 유의적인 간장 내 콜레스테롤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mitochondria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2.9%, 13.3%, 18.5%의 .OH 라디칼 억제효과로서 BuOH-5-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높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microsome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15.7%, 20.0%, 20.6%의 매우 효과적인 .OH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 획분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5.2%, 8.0%, 11.1%의 $O_2$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 그룹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간장 mitochondria 획분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Cu/Zn-SOD 활성은 대조그룹 대비 각각 4.6%, 10.3%, 15.9%의 Cu/Zn-SOD 활성 증가효과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지만, Mn-SOD 활성은 세가지 BuOH 투여그룹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그룹의 간장 cytosol 획분에서는 대조그룹 대비 각각 9.0%, 19.4%, 25.6%의 매우 유의적인 GPx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따라서 솔잎의 BuOH 획분은 조직의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효과적으로 억제효과할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제거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노화과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Membrane Fluidity and Oxidative Stress in Liver Membranes of Rats)

  • 최진호;김대의;최민경;조원기;김창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1082-1087
    • /
    • 2003
  •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흰쥐에 45일동안 투여하여 간장 세포막의 유동성(MF), 기초 및 유도산소라디칼(BOR 및 IOR),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과산화지질(LPO) 및 산화단백질(OP), 리포푸신(LF)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F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16∼22%의 유의적인MF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1∼0.001), 간장 microsomes에서는 BuOH획분의 투여에 의한 MF의 유의적인 증가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BOR 및 IOR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11∼27% 및 11∼28%의 BOR 및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01), microsomes에서 BuOH-50, BuOH-100 투여군 및 BuOH-25, BuOH-50, BuOH-100 투여군은 각각 l1∼24% 및 l5∼24%의 유의적인 IOR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0.001, p<0.01∼0.001). LPO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서 BuOH-100투여군과 microsomes에서는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각각9%, 9∼l3%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P<0.05∼0.01), OP의 생성은 간장의 mitochondria에 서 BuOH-50 및 BuOH-100투여군에 서 10∼12%의 유의적인 OP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p<0.05), 간장의 microsomes에서는 유의성을 인정할 수 없었다. 그렇지만, 간장의 chloroform층에서 LF의 축적은 BuOH-50, BuOH-100투여군에서 8∼9%의 유의적인 LF의 축적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p<0.05). 따라서 솔잎 추출물의 BuOH 획분의 투여는 간장의 유동성을 촉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생리적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부탄올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Butanol Fraction o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김남주;백승진;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3호
    • /
    • pp.176-181
    • /
    • 2004
  • 솔잎 BuOH획분을 하루 25, 50, 100 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 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F의 침착, 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hE의 활성, 카테콜라민계 신경 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nodria 및 microsome 획분 중의 콜레스테롤이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 및 23∼34%의 통계적인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뇌조직에 대한 LF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0∼14%의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BuOH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각각 11∼17% 및 11∼23%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AChE의 활성도 BuOH-50 및 BuOH-100 투여그룹에서 14∼17%의 통계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뇌조직중의 MAO-B의 활성은 BuOH 획분의 거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그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솔잎 BuOH 획분의 투여는 뇌조직의 유동성을 축진하고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ACh와 그 관련효소의 활성을 촉진하여 기억ㆍ학습의 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잎의 부탄올획분이 SD계 Rats의 지질대사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tanol Fraction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on Serum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 김현숙;이지혜;최진호;박수현;김대익;김창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296-302
    • /
    • 2002
  •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솔잎 추출물의 BuOH획분을 하루에 각각 25, 50 및 100mg/kg B.W. 이 섭취될 수 있도록 BuOH 획분을 사료에 각각 0.025%, 0.05% 및 0.1% 첨가하여 조제된 사료로싸 45일 동안 투여하였다. 솔잎 BuOH획분의 투여는 체중변화 및 사료 섭취랑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렇지만,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12.8%, 19.1% 및 21.6%의 현저한 항콜레스테롤효과가 인정되었고, 또한 10.2%, 15.6% 및 23.7%의 유의적인 LDL-콜레스테롤의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24.8%, 30.4%, 36.2%의 매우 유의적인 동맥경화지수 (AI)의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BuOH-25,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각각 13.3%, 13.3% 및 16.7%의 매우 유의적인 LPO의 억제효과가 인정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9.8%, 19.7% 및 21.2%의 ·OH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 때문으로 기대된다. 또한 활성산소의 제거효소로서 BuOH-50 및 BuOH-100 투여군에서 SOD의 활성은 대조군 대비 12.1% 및 23.3%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솔잎의 BuOH획분의 투여는 성인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노화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동의보감(東醫寶鑑)·장부(臟腑)』의 단방약물(單方藥物)을 통(通)한 사상장부론(四象臟腑論)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 in Simple-herb of 『DongEuiBoGam·JangBu』)

  • 한경석;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
    • /
    • 2001
  • 1. Purpose Through analysing simple herbs of "DongEuiBoGam JangBu", we compare JangBu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with JangBu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o we can comprehend the JangBu's difference of traditional-oriental with sasang-constitional medicine. 2. Method We divide herbs into 4 sectors of sasang constitution by "DongMuYooGo", "DongEuiSuSeBoWon SinJunBang" and define constitutional herbs for each type of sasang constitution. On that base, we analyze herbs in "DongEuiBoGam JangBu" into sasang constitution, and compare with JangBu of sasang-constitution 3. Result (1) The simple herb of sasang-constition is over 50% at that of "DongEuiBoGam JangBu" (2) Only small intestine is consist of one-constitional herb, others is 2~4-constitional herb (3) At the simple herbs of "DongEuiBoGam JangBu", Soeumin's herbs many used at Spleen, Stomach, Urinary bladder, SamCho, Taeumin's herbs many used at Lung. At the Soeumin and Taemin, the Sasang JangBu of filling up BoMyungGiJu(保命之主) is connected with traditional JangBu. Soyangin's herbs many used at Heart, Gall bladder, Small intestine and there is no JangBu which Taeyangin's herbs many used. At the Soyangin and Taeyangin, the Sasang JangBu of filling up BoMyungGiJu(保命之主) is not connected with traditional JangBu.

  • PDF

황련해독탕 약침액으로 희석한 BU의 신체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al Reactions with Administration of BU Mixed Hwangryunhaedoktang(황련해독탕) Herbal Acupucture)

  • 최석우;노정두;설현;소웅룡;육태한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227-235
    • /
    • 2003
  • Objective : In the pain control, BU herbal acupuncture is highly effective but causes many phys ical reactions.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BU with BU mixed Hwangryunhaedoktang(HHT, 黃連解毒湯) herbal acupucture in decreasing physical reactions of BU. Methods : We injected BU Group(N=12) and BU mixed HHT Group(N=12) at four points of Fenmen(B12), Feishu(B13), Fufen(B41) and Pohu(B42). Then we observe the local thermal changes and the physical reactions at beginning, 1hour and 24 hours after administering herbal acupuncture through the D.I.T.I. and survey.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ignificant dermatothermal difference had been checked 1hour and 24hours in BU group, but 1hour in Bu mixed HHT. 2. In BU group,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had been continued highly until 24hours. But in BU mixed group,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had been continued highly until 1 hour but decreased nearly equal to beginning stage until 24hours. 3. The symptoms which appear following the herbal acupuncture administration were less appeared in BU mixed HHT than BU group.

  • PDF

장부병 변증에 대한 형상의학적 고찰 (Diseases of Jang and Bu in Hyungsang Medicine)

  • 김경철;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85-594
    • /
    • 2003
  • Clinical observation on the diseases of Jang(臟) and Bu(腑) comes to the conclusions as follows: Variation in Jang(臟) and Bu(腑) exists diversely with every man because man is a microcosmos resembling the great universe, 'Mother Nature'. If the patient has a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in configuration, the diseas must be caused by the problems of Jang(臟) and Bu(腑).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can be recognized by the shape and color of face, ear, eye, mouth and nose. Distinctive features of Jang(臟) and Bu(腑) should be examined preferentially when it comes to old people, children and persons who have past record of surgical operation on Jang(臟) and Bu(腑) organs.

Effect of Buffalo Follicular Fluid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PMSG and M199 on in vitro Buffalo Oocyte Maturation

  • Gupta, P.S.P.;Nandi, S.;Ravindranatha, B.M.;Sarma, P.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5호
    • /
    • pp.693-696
    • /
    • 2001
  • The effect of replacement of in vitro maturation medium completely with the buffalo follicular fluid (buFF) on in vitro oocyte maturation of buffalo oocytes was studied. 5 to 8 buffalo cumulus oocyte complexes were cultured in a single drop with each of the eight media studied i.e., M199+steer serum (10% v/v), M199+steer serum (10% v/v)+PMSG, M199+buFF (10% v/v), M199+buFF (10% v/v)+PMSG, M199+buFF (50% v/v), M199+buFF (50% v/v)+ PMSG, buFF (100%) and buFF+PMSG at $39^{\circ}C$ and 5% $CO_2$ in air for 24 h. Supplementation of M199 with Steer serum alone resulted in IVM rate of 35% only. When the above medium was supplemented with PMSG, the maturation rate rallied to 82%.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aturation rates were observed when M199 was supplemented with increasing levels of buFF. A further increase in the maturation rate was also obtained when PMSG was incorporated into the medium of M199 supplemented with buFF. The rate of maturation was to the tune of 91% when oocytes were matured in buFF alone which was increased non significantly on the addition of PMSG. Highest maturation rate (97%) obtained with M199+buFF (50%v/v)+PMSG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btained by either M199+buFF (10%v/v)+PMSG or buFF+PMSG. It is suggested that buFF alone without any supplementation can form the effective in vitro maturation medium for buffalo oocytes.

Effects of pegylation on phys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N-acetylphytosphingosine, a short chain phytoceramide

  • Park, J. H.;Park, C. Y.;Y. A. Hwang;Kim, E. J.;Kim, J. W.;Park, C. S.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498-498
    • /
    • 2003
  • Sphingolipids are important structural components of the stratum corneum lipids and serve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Recent investigations on biological activities of sphingolipids have revealed that they have a number of important biological functions in the cell such as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nti-inflammation, mediation of signal transduction and many more.(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