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uis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4초

The Effect of Comfrey on Enoxaparin-Induced Bruise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 Randomised Clinical Trial

  • Bagheri, Zahra;Azizi, Azim;Oshvandi, Khodayar;Mohammadi, Younes;Larki-Harchegani, Amir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96-205
    • /
    • 2021
  • Objectives: Bruising is an important side effect of enoxaparin injection. Comfrey (Symphytum officinale) is used to treat different types of wounds, bone fractures, and bruising in traditional medicine in many countries for centuri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Comfrey ointment on the bruise size and color following enoxaparin injection. Methods: This double-blind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n 80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of 40, namely Comfrey and Placebo. Changes in bruise size and color in both groups were assessed dail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Comfrey and Placebo groups were homogeneous in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A downward trend was observed in the bruise size in both groups throughout the study. However, the bruise size was smaller in the Comfrey group than the Placebo group on day 2-5 of the intervention.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ruise color between the groups, with a shorter healing course in the Comfrey group. Conclusion: The Comfrey ointment accelerated the healing process of enoxaparin injection-induced bruising in patients with ACS. It is recommended as a safe and simple approach for these patients.

전방 십자 인대 파열시 손상된 대퇴골 외과 연골의 병리조직학적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y of Cartilage in the Bone Bruise of the Lateral Femoral Condyl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 배대경;윤경호;김희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4-161
    • /
    • 2005
  •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시 동반된 제 3형의 골멍의 조직학적 소견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5례의 급성 전방십자인대 파열 환자에서 MRI상 대퇴골 외과에 제 3형의 골멍이 동반된 14례와 골멍이 동반되지 않은 1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22례, 여자가 3례였으며 평균 나이는 25세였다. 수상 후부터 MRI 검사까지의 기간은 최소 1일에서 최대 30일이였고 수상 후부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45일이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연골과 연골하 골에 trephine biopsy를 시행하여 조직학적 및 면역조직학적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hematoxylin-eosin 염색시 세포에 대한 변화는 발견할 수 없었고, Masson's trichrome 염색에서 콜라겐의 분포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면역화학염색으로 관찰된 제 1형 콜라겐과 제 2형 콜라겐의 분포에서 아무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p>0.05). 그러나 Safranin-O를 이용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염색에서 골멍군의 표층과 중간층의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염색 분포가 정상 대조군보다 떨어졌다(p<0.05). 또한 골멍군에서 석회화층에 지방세포들이 같이 발견되는 빈도가 높았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시 동반되는 제 3형의 골임은 슬관절의 불안정성과 함께 추후 관절 연골의 손상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자기공명영상에서 나타나는 골멍과 전방십자인대 손상 정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Bruise in MR-Imaging and the Degrees of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정화재;신헌규;고천석;김장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25
    • /
    • 2012
  •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에서 나타난 골멍의 형태 및 크기와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골멍의 발자취(footprint)를 조사해 손상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6주 이내의 급성기에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골멍이 나타나는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멍의 형태는 Costa-Paz 분류에 따라, 골멍의 크기는 Kornaat의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의 전방십자인대 관상사면영상(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oblique coronal view)에서 손상 정도를 등급화 하였다. 결과: Costa-Paz 분류에 따른 대퇴골 외과의 골멍 형태와 전방십자인대 손상 정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 파열군(1, 2 등급)에서 제2형이 많고, 완전 파열군(3 등급)에서 제3형이 많았다(P=0.037). Kornaat 총 골멍 점수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등급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P=0.014), 손상기전은 축회전 손상(pivot shift injury)이 가장 많았고 편타 외반 손상 (clip valgus injury) 등이 뒤를 이었다.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시 골멍의 형태와 크기는 전방십자인대의 손상 정도와 관련이 있었고, 골멍의 발자취를 통해 손상기전을 유추할 수 있어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음압에 의해 생성된 멍 촬영을 위한 적외선 광원과 필터 조합에 관한 연구 (Combination of Infrared Light Source and Barrier Filter for Suction Bruise Photography)

  • 김주은;김지연;전소영;김은아;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93-698
    • /
    • 2016
  • 학대나 폭력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 중 하나인 멍은 크게 외력에 의한 것과 음압에 의한 것으로 나뉜다. 외력에 의해 생성된 멍에 관한 연구는 많지만, 음압에 의해 생성된 멍에 관한 연구는 적다. 적외선 광원으로 멍을 촬영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하나의 적외선 광원과 필터만을 사용하여 실험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험의 연구자들은 적외선 광원과 필터의 조합에 따라 멍의 촬영 결과물이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세 종류의 적외선 광원과 다섯 종류의 적외선 필터를 사용하여 음압에 의해 생성된 멍을 촬영하는데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750 nm 영역을 포함하는 텅스텐과 이 영역을 투과시키는 필터인 Kodak Wratten #18A를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관련된 골멍의 패턴 분석 (Analysis of bone bruise associated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정대원;김창완;백종민;서승석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4-50
    • /
    • 2012
  • 목적: 슬관절 손상 원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를 조사하여 전방십자인대 손상과 골멍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외상성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MRI 촬영 이후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진단된 환자 8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슬관절 MRI를 이용하여 동반된 구조물 손상 및 그에 따른 골멍의 위치 및 빈도를 분석하였다. 골멍의 위치는 대퇴골과 경골에 대해 전후방 및 측방의 MRI 영상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대하여 다시 내측, 중앙, 외측 3구역으로 분류하였다. 골멍은 Costa Paz가 제시한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일상 생활 손상은 전체 87예 중 32예(37%), 스포츠 손상은 22예(25%), 교통사고 손상은 33예(38%)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손상의 경우 대퇴골에서는 내과의 전방 부분, 경골에서는 고평부 전방의 내측부에 골멍이 나타났다(각각 p=0.024, p=0.021, p=0.025, p=0.029). 스포츠 손상은 대퇴골에서는 외과의 중심 부분과 경골에서는 고평부 후방의 외측부에서 골멍이 나타났다(각각 p=0.014, p=0.015, p=0.018, p=0.017). 교통사고 손상은 대퇴골과 경골에서 골멍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다(각각 p=0.264, p=0.254, p=0.229, p=0.267). 결론: 일상 생활 손상이나 스포츠 손상의 경우 손상 기전이 교통사고 손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골멍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골멍이 경골 외측 고평부 및 대퇴골 외과에 있는 경우에는 스포츠 손상에 의한 전방십자인대 손상을 강력히 의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슬관절 외상 후 자기 공명 영상에서 관찰되는 잠재성 골 병변과 동반 손상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Bruise in MRI and Associated Injuries after the Knee Joint Trauma)

  • 경희수;인주철;김풍택;오창욱;여준영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9-96
    • /
    • 2002
  • 목적 : 슬관절의외상후자기공명영상에서관찰되는잠재성골병변과동반손상과의관계를손상에너지의정도에따라알아보고자하였다. 대상및방법 : 슬관절의외상을받은50예의환자들을대상으로2군으로나누었으며교통사고등고에너지손상을받은제I군은13예, 스포츠손상등저에너지손상을받은제II군은37예였다. 골병변은Costa-Paz의분류상제1,2,3형으로구분하였으며, 위치에따라대퇴골/경골, 내과/외과, 전/중/후로나누어동반손상과의관계를분석하였다. 결과 : 제 I군에서는슬관절내의병변의위치분포는호발부위없이고른분포를보였고전방십자인대손상과골병변만이존재하는경우가각각38$\%$씩으로나타났고, 제1형(52.6$\%$)이가장흔한형태였다. 제 II군에서는대퇴골외과의중간부위와경골외과의후방부위에호발하였으며, 전방십자인대손상이56.8$\%$, 다음으로는내측반월상연골이24.3$\%$로나타나차이를보였으며, 제2형(48$\%$), 제1형( 42$\%$)의순으로나타났다. 결론 : 고 에너지 손상에서는 골 병변의 위치는슬관절에 가해진 손상 방향에 따라분포가 다양하였고, 저 에너지 손상에서는 특정 부위에호발되는경향을보여 스포츠손상등 저 에너지손상에서는손상기전에따른동반손상과 골병변의위치가관련이있음을짐작케하나좀더많은증례로분석이필요할것으로사료된다.

  • PDF

일부지역에서 발생한 우발사고환자의 역학적 고찰 (Epidemiological Study of the Accident patients in Chun Chon area)

  • 백혜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9-54
    • /
    • 1976
  •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formulation of a public health plan, the epidemiological study conducted by the record of 834 accident patients during the year Jan.1975 to Dec.1975 at Lim's clinic Chun Chon city has been analysed in hospital treatment. The accident patients were divided into Common, Psychosomatic, Industrial and Traffic.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Common accident showed highest rate as 32.1%, Industrial showed 28.6% rate, Psychosomatic showed 27.2% and Traffic accident showed lower rate as 12.1%. 2. The age group from 16 to 20 years old showed the highest rate as 23.0% and the distribution of this same age group in the Kang Won Province area was 20.4%, sexual grouping shows men with the highest rate as much as 69.5%. 3. The highest rate of accidents (23.9%) occurred from 3Pm to 6Pm. The highest monthly accident rate (13.1%) occurred in July, in the most concentrated season, summer (31.3%) 4. The place of indoor accidents were highest 30.3% 5. Bruise and laceration form wounds showed highest with traffic accident victims suffering 35.0% of this bruise rate 6. Wound lesions of the upper limbs showed the highest type 28,6% by head lesions 28.2% 7. Among those completely cured after treatment(84.1% of the total), intoxication cases showed the highest rate (86.5% ) 8. From accident tims to treatment at the clinic, intoxication cases had the longest wait (77.2%) treated within six hours.

  • PDF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후지' 사과의 멍 검출에 관한 연구 (Study on Bruise Detection of 'Fuji' apple using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ery)

  • 조병관;백인석;이남근;모창연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6권6호
    • /
    • pp.484-490
    • /
    • 2011
  • Defects exist underneath the fruit skin are not easily discernable by using conventional color imaging technique in the visible wavelength ranges. Development of sensitive detection methods for the defects is necessary to ensure accurate quality sorting of fruits. Hyperspectral imaging techniques, which combine the features of image and spectroscopy to acquire spatial and spectral information simultaneously, have demonstrated good potentials for identifying and detecting anomalies on biological substances. In this study, a high spatial resolution hyperspectral reflectance technique was presented as a tool for detecting bruises on apple. The two-band ratio (494 nm / 952 nm) and simple threshold methods were applied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iscriminating the bruises from sound tissue of apple. The pixel wise accuracy of the discrimination was 74%. The resultant images processed with selected wavebands and morphologic algorithm distinctively showed the early stages of bruises on apple which were not discernable by naked eyes as well as a conventional color camera. Results demonstrated good potential of the hyperspectral reflectance imaging for detection of bruises on apple.

압연롤 검사를 위한 다중 센서 와전류 탐상 검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Multi-channel Eddy Current System for Inspection of Press Rolls)

  • 이재호;박태성;박익근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6-312
    • /
    • 2017
  • Press rolls are constantly exposed to physical and heat stresses on their surface and are prone to crack, bruise, and spall if the accumulated stress goes beyond the critical point. Such surface phenomenon can cause them to lose their functionality and eventually lead to a halted production line. Eddy current testing can be considered a useful method to investigate the surface of the roll. The method involves the application of a high intensity magnetic field onto the surface of the roll, and thereby finding any early stage of possible defects. When the method was applied for roll inspec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ensor was regulated as per the overall testing speed.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implied a better resolution but a longer testing time. In this paper, a convenient method to increase both overall system resolution and inspection speed of eddy current roll inspection is suggested by using a devised array sensor structure.

Multispectral Wavelength Selection to Detect 'Fuji' Apple Surface Defects with Pixel-sampling Analysis

  • Park, Soo Hyun;Lee, Hoyoung;Noh, Sang Ha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3호
    • /
    • pp.166-173
    • /
    • 2014
  • Purpos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image processing method to determine the external quality of Fuji apples by identifying surface defects such as scabs and bruises. Method: A CCD camera was used to capture filter images with 24 different wavelengths ranging between 530 nm and 1050 nm. Image subtraction and division operations were performed to distinguish the defect area from the normal areas including calyx, stem, and glaring on the apple surface image. All threshold values of the image were examined to reveal the defect area of pretreated filter images. Results: The developed operation methods were [image (720 nm) - image (900 nm)]/image (700 nm) for bruise detection and [image (740 nm) - image (900 nm)]/image (590 nm) for scab detection, which revealed 81% and 90% recognition ratios,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several optimal wavelengths and image processing methods to detect Fuji apple surface defects such as bruises and sca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