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ugar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7초

볶은 잡곡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별미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yeolmijang Prepared by Different Variety of Roasted Grain Powders)

  • 엄현주;권누리;강혜정;박혜진;김소영;김주형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06-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yeolmijang prepared several roasted whole grain powders (oat, brown rice, black soybean, corn) for eight weeks.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pH decreased from 6.10~6.12 to 4.48~4.92 and the total acidity increased dramatically from 0.41~0.48% to 1.67~2.24%.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moisture content.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decreased, in particular, brown rice sample(C) decreased significantly than the other samples during fermentation. In color, L and b-value decreased all samples, whereas a-value showed a tendency to slightly increase. The total cell counts and lactic acid bacteria revealed an increasing tendency during fermentation. In case of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s, it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especially control sample (A) showed the highest content significantly. The total polyphenol of all samples increased in the fermentation period. AB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lso increased, especially corn sample (E) had the highest levels. In by electronic tongue analysis, corn sample (E) revealed higher umami and sourness than the control. So, by adding roasted corn powder, it can enhance function and taste of byeolmijang.

용액 플라즈마를 이용한 콜로이드 및 나노 구조 MnO2의 친환경 합성 (Green Synthesis of Colloidal and Nanostructured MnO2 by Solution Plasma Process)

  • 김혜민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315-322
    • /
    • 2023
  • In the present work, we address the new route for the green synthesis of manganese dioxide (MnO2) by an innovative method named the solution plasma process (SPP). The reaction mechanism of both colloidal and nanostructured MnO2 was investigated. Firstly, colloidal MnO2 was synthesized by plasma discharging in KMnO4 aqueous solution without any additives such as reducing agents, acids, or base chemicals. As a function of the discharge time, the purple color solution of MnO4- (oxidation state +7) was changed to the brown color of MnO2 (oxidation state +4) and then light yellow of Mn2+ (oxidation state +2). Based on the UV-vis analysis we found the optimal discharging time for the synthesis of stable colloidal MnO2 and also reaction mechanism was verified by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 analysis. Secondly, MnO2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by SPP with a small amount of reducing sugar. The precipitation of brown color was observed after 8 min of plasma discharge and then completely separated into colorless solution and precipitation. It was confirmed layered type of nanoporous birnessite-MnO2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and electron microscopes. The most important merits of this approach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cess within a short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Moreover, the morphology and the microstructure could be controllable by discharge conditions for the appropriate potential application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supercapacitors, adsorbents, and catalysts.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갈조류, 미역의 전처리 인자 영향 파악 및 젖산 생산성 검토 (Validation of Factors Effect on Pretreatment of Brown Algae, Undari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Prospect of Lactic Acid Production)

  • 민창하;이두근;엄병환;윤정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4호
    • /
    • pp.453-460
    • /
    • 2018
  • 원유 가격의 상승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산업적으로 중요한 화합물을 생산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3세대 바이오매스인 해조류는 비식량 자원, 높은 생산 수율, 온실가스 저감 등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연구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체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4종의 해조류 중에 미역이 가장 많은 당류를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역의 효과적인 전처리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고체의 부하 및 촉매의 농도 증가가 총 당의 추출률과 관계 있음을 확인하였다. 4종의 락토바실러스 균주에서 미역의 전처리물을 이용하여 젖산 생산 수행하였으며 L. alimentarius와 L. brevis가 해조류 이용한 젖산생산에 적합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열처리 조건이 포도즙의 착즙 수율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t Treatment on Yield and Quality of Grape Juice)

  • 김재식;김성희;이원근;편재영;육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97-1400
    • /
    • 1999
  • 충북 영동 지역에서 수확된 포도(Campbell Early)의 가열조건에 따른 착즙수율, 맛 색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6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 처리한 후 포도를 착즙한 경우에는 착즙수율이 60% 이하로 낮았으나, $80{\cim}90^{\circ}C$에서 $20{\cim}30$분간 가열하고 착즙한 경우에는 수율이 75% 이상이 되었고, 맛과 색깔도 가장 좋게 나타났다. 반면 $100^{\circ}C$에서 30분 가열한 경우에는 이취가 발생하였고, 포도즙의 색깔도 적색이 아닌 암갈색 계열로 바뀌었다. 또한 당도와 산도가 각기 다른 포도를 $8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한 후 착즙하였을 때 포도의 당도가 $14^{\circ}Brix$ 이상이면서 당도와 산도의 비(당도/산도)가 20 이상인 포도즙이 가장 맛이 좋게 평가되었다.

  • PDF

Phys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nicate (Styela clava) hydrolysate obtained from pressurized hydrothermal process

  • Lee, Hee-Jeong;Chae, Sol-Ji;Saravana, Periaswamy Sivagnanam;Chun, Byu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7호
    • /
    • pp.14.1-14.8
    • /
    • 2017
  • In this study, marine tunicate Styela clava hydrolysate was produced by an environment friendly and green technology, pressurized hot water hydrolysis (PHWH) at different temperatures ($125-275^{\circ}C$) and pressure 50 bar. A wide range of physico-chemical and bio-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color, pH, protein content, total carbohydrate content, reducing sugar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produced hydrolysates were evaluated. The appearance (color) of hydrolysates vari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hydrolysates obtained at $125-150^{\circ}C$ were lighter, whereas at $175^{\circ}C$ gave reddish-yellow, and $225^{\circ}C$ gave dark brown hydrolysates. The $L^*$ (lightness), $a^*$ (red-green), and $b^*$ (yellow-blue) values of the hydrolysates varied between 35.20 and 50.21, -0.28 and 9.59, and 6.45 and 28.82, respectively. The pH values of S. clava hydrolysates varied from 6.45 ($125^{\circ}C$) to 8.96 ($275^{\circ}C$) and the values were found to b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The hydrolysis efficiency of S. clava hydrolysate was ranged from 46.05 to 88.67% and the highest value was found at $250^{\circ}C$. The highest protein, total carbohydrate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hydrolysates were found 4.52 mg/g bovine, 11.48 mg/g and 2.77 mg/g at 175, and 200 and $200^{\circ}C$, respectively. Hydrolysates obtained at lower temperature showed poor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highest DPPH, ABTS, and FRAP activities were obtained 10.25, 14.06, and 10.91 mg trolox equivalent/g hydrolysate (dry matter basis), respectively. Therefore, S. clava hydrolysate obtained by PHWH at $225-250^{\circ}C$ and 50 bar is recommended for bio-functional food supplement preparation.

아까시나무 꽃을 이용한 건강 차 개발 (Developed Health Tea Using Flowers of Robinia Pseudoacacia L.)

  • 박노복;정주교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67-74
    • /
    • 2018
  • 본 실험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5월에 개화하는 아까시나무 꽃을 이용하여 훈증, 저온건조, 덖음, 순간 침지를 하여 건강 꽃차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건조방법은 훈증처리 후 건조, 저온건조, 덖음, 순간침지로 하였다. 건강 차를 만들기 위한 실험을 다르게 한 후 꽃 무게의 변화, 꽃 색의 변화, 음료 색, 당도, 맛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실험한 결과, 꽃차 무게의 변화는 생체대비 11%~12.5%로 나타났으며, 색의 변화는 덖음 처리에서 가장 연한 갈색으로 나타났고, 그 외 처리구는 탁한 백색으로 나타났다. 음료 색은 덖음 처리한 차에서 노란색이 강하게 나타났고 훈증, 저온건조, 순간침지에서는 연한 노란색으로 나타났으며, 당도는 덖음 차에서 가장 높은 2.9brix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세처리구에서는 2.6~2.7brix로 나타났다. 맛은 덖음 처리에서 가장 좋았고, 순간 침지에서는 비릿한 맛이 났다.

Evaluation of Drought Tolerance for Biomass Production of Salix gracilistyla Miq.

  • Hyun Jin Song;Seong Hyeon Yong;Hak Gon Kim;Kwan Been Park;Do Hyeon Kim;Seung A Cha;Ji Hyun Lee;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4호
    • /
    • pp.246-253
    • /
    • 2023
  • Salix gracilistyla is widely distributed along riversides in Korea and very good for biomass production by SRC because of its excellent germination ability, but it is necessary to measure drying tolerance for cultivation. The drought tolerance of S. gracilistyla was tested using cuttings, and growth and physi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The growth inhibition of S. gracilistyla was observed from the day irrigation was stopped, and the soil moisture content decreased to less than 10% on the 25th day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Over 50% of the seedlings turned brown 25 days after watering was stopped. The chlorophyll content of S. gracilistyla decreased dramatically after 25 days of stopping of irrigation. RWC values were unchanged until day 12 after irrigation was stopped but decreased rapidly until day 21, but there was a slightly decreasing trend after that. RWL levels increased slightly during irrigation stops. The proline content of plants subjected to drought stress was 0.91-2.63 mg/0.05 g, 2.7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The sugar content of the drought stress treatment group was 29.77 to 350.66 mg/0.05 g, which increased 12.24 times that of the control treat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S. gracilistyla was found to have a drought tolerance almost comparable to tha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growing on the l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ource utilization S. gracilistyla, a native willow tree of Korea, and the mass production of biomass by SRC.

한국산 왕대, 솜대, 맹종죽, 조릿대 및 오죽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Wang-dae, Som-dae, Maengjong-juk, Jolit-dae and O-juk)

  • 이민자;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26-1232
    • /
    • 2003
  • 국내산 대나무 다섯 종의 줄기와 잎을 열수 및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TEAC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섯 종의 대나무 모두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나 왕대>조릿대>솜대>맹종죽>오죽의 순으로 TE 값이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을 비교하였을 때 잎 보다 줄기의 항산화 효과가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에서의 항산화능이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왕대 70%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극성별로 분획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디클로로메탄>에틸아세테이트>부탄올>물>핵산의 순으로 TE 값이 높았는데 특히, 디클로로메탄층의 TE 값은 1.713으로서 다른 식물성 추출물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를 이용하여 유리기 소거 효과를 측정한 결과와 nitrite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항산화 효과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서 줄기가 잎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왕대 용매별 분획물의 활성은 디클로로메탄층에서 가장 높았다.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높은 항산화 효과, 유리기소거 효과 및 nitrite 소거 효과는 메일라드 반응 생성물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져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70% 에탄올 추출물보다는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왕대 열수 추출물의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고 조릿대>맹종죽>오죽>솜대의 순이었으며 420nm에서의 갈색도도 이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당 함량이 높은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유리기 및 nitrite 소거 활성 검정에는 메일라드 반응에 의한 효과가 부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cetone 추출물 200ppm에서 98.19%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9mg$의 함량으로 S3(279.29mg), S1(188.23mg), S2(180.52mg), S6(179,60mg)의 순으로서 S3(한국하), S1(한국상), S2(한국중)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한국 말차가 Ca 함량이 더 높았다. Mg의 경우는 시료 100g당 $346.63{\sim}590.03mg$로 S3(590.03mg), S4(530.00mg), S2는 346.63 mg으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P의 함량은 S4 (398.47mg), S5(373.90mg), S6(371.55mg), S2(355.40mg), S1(346.66mg), S3(237.38mg)의 순으로서 $237.38{\sim}398.47mg$의 분포를 보여 S4(일본 상), S5(일본 중)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Na은 $141.78{\sim}231.54mg/100g$로서 S2(231.54mg), S1(292.95mg), S5(191.31mg)로 의 순으로 한국산 말차에 함량이 높았고, K은 $1,357.70{\sim}2,716.12mg/100g$으로 S4(2,716.12mg), S5(2,254.20mg), S6(2,221.45mg), S1(2,148.16mg), S2(1,842.36mg), S3(1,357.70mg)의 순으로 일본산이 훨씬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e함량은 $17.60{\sim}24.34\;mg/100g$으로서 S6 (24.34mg), S5(21.

천연물을 이용한 큰느타리 균사배양 및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 (Mycelial Growth Using the Natural Product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ctivity of Pleurotus eryngii)

  • 강태수;정헌상;이명렬;박희정;조택상;지성택;신명근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5-180
    • /
    • 2003
  • 새로운 건강기능성 식품소재를 개발하고자 현미, 가시오가피 및 인진쑥을 기질로 하여 큰느타리버섯 균사의 고체배양 조건을 검토하였으며, 배양산물의 성분분석 및 추출물의 AC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가시오가피와 인진쑥을 현미배지에 첨가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사의 생육속도는 감소하였으며, 특히 가시오가피의 첨가가 인진쑥에 비해 큰느타리 균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배양산물의 성분분석 결과, 수분함량은 $10.9{\sim}12.0%$ 범위이었고, 조단백질, 지질 및 섬유질은 현미배지에서 가장 높았으며, 무기질(칼슘, 칼륨 및 인) 함량은 가시오가피 첨가배지가 가장 높았다. 추출수율은 인진쑥 첨가배지가 4.80%로 가장 높았으며, 추출물의 pH는 현미배지가 pH 6.1로 가장 낮았다. 세가지 시료 추출물의 명도는 $85.8{\sim}87.1$ 범위이었고, 적색도는 현미와 가시오가피 첨가배지가 높았으며, 반면, 황색도는 인진쑥 첨가배지가 가장 높았다. 당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세가지 시료 모두 2개의 spot가 검출되었고, 이들은 각각 glucose와 maltose로 판단되었다.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대한 저해율을 측정한 결과, 가시오가피 첨가배지가 시료농도 $0.2{\sim}1.0\;mg/ml$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액 침지 발아현미를 첨가한 머핀의 식품학적 특성 (Food Quality of Muffin with Germinated Brown Rice Soaked in Mycelial Culture Broth of Phellinus linteus)

  • 정경임;조은경;최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75-884
    • /
    • 2011
  • 본 연구는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개발된 상황버섯 침지발아현미 머핀의 식품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성분, 전분 가수분해율, 유리아미노산 조성, 구성아미노산 조성, 단백질 소화율, 단백질 효율비 및 이화학적, 기계적, 관능적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SOD 유사활성, 아질산 소거능, xanthine oxidas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최적화 머핀은 대조구 머핀에 비해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총 당류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대조구 머핀 330.913 mg/100 g, 최적화 머핀 270.992 mg/100 g이었고, 총 구성아미노산은 대조구 머핀 8.02 g/100 g solid(96.61 g/16 g N), 최적화 머핀은 7.15 g/100 g solid(106.51 g/16 g N)이었다. 전분 가수분해율은 대조구 머핀, 단백질 소화율과 단백질 효율비는 최적화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 머핀의 중량은 최적화 머핀(p<0.01), 높이(p<0.01)와 pH(p<0.001)는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 경도(p<0.05)와 씹힘성(p<0.05)은 최적화 머핀, 응집성(p<0.01)은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으나 부착성, 탄력성, 검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향(p<0.05)과 맛(p<0.01)은 최적화 머핀이, 색(p<0.05)은 대조구 머핀이 높게 나타났으나 외관,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머핀의 항산화 활성 측정결과 아질산염 소거능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총 폴리페놀 함량(p<0.01), DPPH radical 소거능(p<0.01), SOD 유사활성(p<0.05)은 최적화 머핀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