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line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39초

사료 내 생약물질의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Herbal Mixture on the Laying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김찬호;강환구;황보종;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1-67
    • /
    • 2015
  • 본 실험은 구기자와 감초 복합제를 수준별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및 면역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시험은 60주령의 산란계(Hy- Line Brown) 8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4열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4처리구(HM 0.0, 0.5, 1.0 및 1.5% 첨가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50수씩(2수 수용 케이지 25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조명=16hr)를 실시하였다. 산란율(hen-day egg production)은 7주 평균에서 HM 0.5%, 1.5%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HM을 첨가한 처리구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료 요구율은 HM 0.5%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P<0.05) 가장 낮았다. 난황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반면, 혈액 성상 중 leukocytes 함량들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장 IgM 함량은 HM 첨가구들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HM은 산란계의 산란율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면역성상중 IgM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Daidzein과 Genistein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의 골격발달에 미치는 영향

  • 김기대;지규만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33-135
    • /
    • 2002
  • DE와 GE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의 골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1일령된 Hy-Line Brown 수평아리 4처리$\times$4반복$\times$5수/반복 100마리에게 3주간 대조군으로 IF 함량이 매우 낮은 SPC를 급여했다. 실험군은 DE와 GE를 1. 0, 2.0mM 두 수준으로 첨가 급여하였다. 이때 사료의 Ca 수준은 골격발달에 좀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낼 수 있도록 요구량의 50% 수준으로 했으며, Phosphate는 정상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은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LP activity는 GE군과 대조군에 비해 DE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첨가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골의 회분 %는 대조군에 비해 DE, GE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두 IF간 및 첨가수준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골의 파괴강도는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즉 DE의 급여가 GE에 비해 ALP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지만, 경골의 회분 %와 경골 파괴강도에 있어서는 DE와 GE군 간에 급여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계란의 저장기간과 저장온도 및 암탉의 수정이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석윤오;권정택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4년도 제21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35-36
    • /
    • 2004
  • 난백의 높이와 하우유니트(HU)는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에 난백의 pH는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3\;^{\circ}C$에서 저장되었던 계란들은 $10\;^{\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보다 HU는 더 높게 나타났던 반면에, 난백의 pH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무정란은 유정란에 비해서 저장온도에 관계없이 난백의 높이 및 HU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의 난백의 pH는 무정란이 유정란보다 더 높았으나(P<0.05), $10\;^{\circ}C$에서 저장된 계란들의 경우는 유정란과 무정란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난각강도는 유정란이 무정란보다 두 온도역 모두 유의하게(P<0.05) 더 컸었다. 그리고 암탉의 수정에 관계없이 난백의 높이와 pH는 부(-)의 상관관계(P<0.01~0.001)가 있었고, 난백의 높이와 HU는 정(+)의 상관관계(P<0.001)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난백의 높이 혹은 HU와 같은 계란의 신선도 변화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암탉의 수정 유무보다는 저장기간과 저장온도가 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사료되며, 일반적으로 저장온도가 낮을수록 HU는 증가되는 반면에 난백의 pH는 반대로 감소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산란계 사료 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시 산란율, 계란 품질, 혈중 면역 물질 및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Acid Hydrolysates of Coco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Blood Immune Substance and Serum Cholesterol in Laying Hens)

  • 유종상;석호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1-316
    • /
    • 2009
  • 본 시험은 하여 산란계 사료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시 생산성, 계란 품질,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41주령 Hy-Line Brown 갈색계 240수를 공시하여, 4주간 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반 무첨가 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SP1(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05%), SP2(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1%), SP3 (일반 사료+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2%)으로 총 4개 처리구였으며, 처리 당 5반복, 반복 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과 난중에 있어서 전체 시험 기간 동안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수준에 따라 처리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각 특성을 나타내는 난각 강도와 두께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난황고와 Haugh unit에 있어서는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을 첨가 급여한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면역 물질인 IgG 함량과 WBC 함량은 누에고치산가수분해물을 첨가한 SP1, SP2, SP3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첨가 급여는 산란계에서 혈액 내 총 단백질, 알부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혈청 내 인지질,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함량을 높여주었다. 사료 내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 0.05% 이상 첨가 급여 시 계란의 신선도를 증가시키고, 산란계의 면역과 지질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케이지 사육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the Feather Condition, Egg Quality, Blood Parameters and Corticosterone Concentration of Laying Hens in Conventional Cage)

  • 손지선;김찬호;강환구;김현수;전진주;홍의철;강보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3-93
    • /
    • 2020
  • 본 연구는 케이지 사육 시 사육밀도가 산란계의 깃털 손상도, 계란품질,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란계(Hy-Line Brown) 700수를 공시하여 배터리 케이지에 750 ㎠/수 및 500 ㎠/수 사육밀도 처리구로 50 반복을 두어 32주부터 60주까지 총 28주간 실시하였으며, 사료와 물은 자유 급이 하였다. 사육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주령이 증가할수록 깃털손상도가 증가하였으며, 등과 꼬리 부위의 손상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계란품질(난중, Haugh unit, 난각 강도 등)은 사육밀도에 따른 처리구 간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구 성분 및 혈액 생화학 지표는 사육밀도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험종료 시점의 혈액과 깃털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ne 농도를 분석한 결과, 500 ㎠/수 사육밀도에서 사육 시 750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케이지에서 500 ㎠/수 사육밀도 사육은 산란계의 깃털손상도를 증가시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향후 산란계의 행동과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호염구세포주와 복강 비만세포에서 유색미 겨 추출물의 알레르기 염증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Pigmented Rice Bran Extract to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Basophilic Cell Line and Peritoneal Mast Cells)

  • 최선필;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15-321
    • /
    • 2005
  • 유색미 겨 추출물이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호중구 세포주 및 비만세포가 분비하는 염증매개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 및 염증 cytokine 생성에 대한 억제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호중구 세포주인 RBL-2H3 세포와 rat에서 분리 추출한 복강 비만세포(RPMC, peritoneal mast cell)를 이용하여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 분비에 대한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반미 겨 추출물은 RBL-2H3 세포에서 염증매개물질들의 분비량을 증가시킨 반면, 유색미 겨 추출물은 이들의 분비를 억제하였다(histamine 10.19% 억제, ${\beta}-hexosaminidase$ 110.03% 억제). RPMC에서는 유색미가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를 일반미보다 각각 8배와 3배나 높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염증관련 cytokine으로서 $IL-1{\beta},\;TNF-{\alpha}$ 및 IL-6의 발현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유색미가 일반미 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cytokine의 분비량을 측정한 실험에서도 유색미가 일반미보다 $TNF-{\alpha},\;IL-1{\beta}$ 및 IL-6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유색미가 염증반응의 원인 물질인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분비에 대한 억제효과 뿐 아니라, 염증 cytokine의 발현을 저해하는 효과도 일반미보다 우수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혼합 생균제가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면역반응 및 맹장 미생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 Mixture on Caecal Microflora, Immune Response, Egg Quality and Production of Layerunder Heat Stress)

  • 송영한;고용균;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87-796
    • /
    • 2018
  • 본 연구는 열 스트레스 (heat stress, HS)에 노출된 산란계에서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생산성, 계란품질,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및 분 암모니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400마리의 50주령 Hy-Line brown 산란계를 무작위로 각각 100마리씩 4 그룹, C (대조군, 실온 $25^{\circ}C$), HS (열 스트레스 $33^{\circ}C$), HSP (HS 플러스 혼합 생균제 500, 750 mg/kg)로 배치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비장 무게, 혈액 IgG 및 lymphocyte 농도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고, 코르티코스테론, heterophil과 lymphocyte의 비율 (H:L) 및 폐사율은 유의하게 낮았다. Lactobacillus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coli (E. coli), coliform bacteria 및 aerobic bacteria는 유의하게 낮았다.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은 HS 그룹이 HSP 그룹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혼합 생균제가 여름철 산란계의 더위 피해를 방해주고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균형을 경유하여 생산성, 계란품질 및 계분으로부터 악취 발생을 줄이는 데 효율적인 영양전략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가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ine Cone Meal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Serum Cholesterol and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Egg Yolk in Laying Hens)

  • 이정호;김규식;신승오;조진호;진영걸;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07
  • 본 연구는 잣 부산물의 급여가 산란계의 산란율, 계란 품질, 혈청 콜레스테롤 및 난황 내 총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양 시험은 51주령 Hy-line Brown 252수를 공시하였으며 5주간 실시하였다. 1) T1(기초 사료 + 미루나무톱밥 1%), 2) T2(기초 사료 + 잣 부산물 0.5% + 미루나무톱밥 0.5%) 및 3) T3(기초 사료 + 잣 부산물 1%)로 3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7반복, 반복당 12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산란율, 난중 및 계란 품질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HDL, LDL 콜레스테롤 및 triglyceride의 함량 및 변화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난황 내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난황 내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alpha}$-linoleic acid은 T1처리구가 T3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P<0.05), Total SFA, total PUFA, total MUFA 및 total UFA/SFA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산란계 사료 내 잣 부산물의 첨가 급여는 ${\alpha}$-linoleic acid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Tissue Distribution of Lutein in Laying Hens Fed Lutein Fortified Chlorella and Production of Chicken Eggs Enriched with Lutein

  • An, Byoung-Ki;Jeon, Jin-Young;Kang, Chang-Won;Kim, Jin-Man;Hwang, Jae-Kw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2-177
    • /
    • 2014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etary effects of conventional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on lutein absorptions, the tissue distributions and the changes in lutein content of eggs in laying hens. In Exp 1, a total of one hundred and fifty, 70 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five replicates and fed with each experiment diet (control diet, diet with 1% conventional chlorella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for 2 wk, respectively. The egg production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both chlorella powder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1). With chlorella supplementations, the yolk color significantly increas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ggshell qualities. The lutein contents of serum, liver and growing oocytes were greatly increased by feeding conventional or lutein fortified chlorella (p<0.01). In Exp. 2, a total of ninety 60 wk-old Hy-Line brown layer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with three replicates per group (10 birds per replicate). The birds were fed with one of three experimental diets (0, 0.1 or 0.2% lutein fortified chlorella) for 2 wk, respectively. The egg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dietary treatments. The egg weight in the group fed with diet containing 0.2% of lutein fortified chlorell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As the dietary chlorella levels increased, the daily egg mass linearly increased, although not significantly. The yolk colors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lutein fortified chlorella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01). The lutein in chicken egg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fed with 0.2% of lutein fortified chlorella (p<0.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ietary lutein derived from chlorella was readily absorbed into the serum and absorbed by the liver with growing oocyte for commercial laying hens. Particularly, the lutein fortified chlorella was a valuable natural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lutein enriched chicken eggs.

The Effects of Rhodobacter capsulatus KCTC-2583 on Cholesterol Metabolism, Egg Production and Quality Parameters during the Late Laying Periods in Hens

  • Lokhandea, Anushka;Ingale, S.L.;Lee, S.H.;Kim, J.S.;Lohakare, J.D.;Chae, B.J.;Kwon, I.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6호
    • /
    • pp.831-837
    • /
    • 2013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Rhodobacter capsulatus KCTC-2583 on egg-yolk and serum cholesterol, egg production and quality parameters during the late laying periods in hens. A total of 160 Hy-Line Brown layers (54 wk-old) were randomly allotted to 4 treatment groups on the basis of laying performance. Each treatment had 4 replicates with 10 birds each (40 birds per treatment). Two hens were confined individually with cage size $35{\times}35{\times}40$ cm and each 10 birds (5 cages) shared a common feed trough between them forming one experimental unit. Dietary treatments wer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 (control), 0.05, 0.10 and 0.15% R. capsulatus KCTC-2583. Experimental diets were fed in meal form for 56 d. Dietary supplementation of increasing levels of R. capsulatus KCTC-2583 reduced (linear, p<0.05) egg-yolk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d 28, 42 and 56) concentrations. Also,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d 21, 42 and 56) concentrations were linearly reduced (p<0.05) with increasing dietary R. capsulatus KCTC-2583. Laying hens fed a diet supplemented with increasing levels of R. capsulatus KCTC-2583 had increased (linear; p<0.05) overall egg production, egg weight, egg mass and feed efficiency. However, dietary treatments had no effect (linear or quadratic; p>0.05) on feed intake of laying hens. At d 28 and 56, breaking strength and yolk colour of eggs were linearly improved (p<0.05) in laying hens fed dietary increasing levels of R. capsulatus KCTC-2583. Dietary treatment had no effects (linear or quadratic; p>0.05) on albumin height, shell thickness and shell weight at any period of experi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of R. capsulatus KCTC-2583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laying hen performance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low cholesterol eggs during late laying period in Hy-Line Brown h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