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Water

검색결과 823건 처리시간 0.037초

Gray Mold on Carrot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Park, Kyeong-Hun;Ryu, Kyoung-Yul;Yun, Hye-Jeong;Yun, Jeong-Chul;Kim, Byeong-Seok;Jeong, Kyu-Sik;Kwon, Young-Seok;Cha, Byeong-Jin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4-368
    • /
    • 2011
  •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was found on a carrot seedling in a greenhouse and a field at Daegwallryeong, Gangwon Province in 2007-2009.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blight, or chlorotic halo on leaves and petioles of the carrots. Fungal conidia were globose to subglobose or ellipsoid, hyaline or pale brown, nonseptate, one celled, $7.2-18.2{\times}4.5-11\;{\mu}m$ ($12.1{\times}8.3\;{\mu}m$) in size, and were formed on botryose heads. B. cinerea colonies were hyaline on PDA, and then turned gray and later changed dark gray or brown when spores appeared. The fungal growth stopped at $35^{\circ}C$, temperature range for proper growth was $15-25^{\circ}C$ on MEA and PDA. Carrots inoculated with $1{\times}10^5$ ml conidial suspension were incubated in a moist chamber at $25{\pm}1^{\circ}C$ for pathogenicity testing. Symptoms included irregular, brown, water-soaked rot on carrot roots and irregular, pale brown or dark brown, water-soaked rot on leaves. Symptoms were similar to the original symptoms under natural conditions. The pathogen was reisolated from diseased leaves, sliced roots, and whole roots after inoculation. As a result,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arrot gray mold caused by B. cinerea in Korea.

발효 백미와 현미를 이용한 국수제조 및 품질특성 (Noodle Developmen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Fermented White and Brown Rice)

  • 서민정;강병원;박정욱;김민정;이혜현;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78-1383
    • /
    • 2012
  • 쌀을 이용하여 국수제조에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한 현미를 사용하여 이를 발효한 후 국수를 제조하여 특성을 확인하였다. 국수는 백미와 현미를 이용하여 백미국수, 발효백미국수, 현미국수, 발효현미국수를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국수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발효하였을 때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 되었으며, 조지방, 탄수화물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수분의 함량은 현미국수가 백미보다 2배 이상의 함량을 보였으며 발효하였을 때 약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색도는 발효함에 따라 약간의 변화는 있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리시 중량, 부피는 증가하였으나 백미로 만든 국수에서 그 변화가 가장 낮았으며, 조리된 국물의 탁도는 백미로 만든 국수에서는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국수에서는 일정한 탁도를 나타내었다. 조리된 국수의 texture은 조리시에 수분의 함유로 조직이 부드러워짐에 따라 대부분 감소되었으나, 발효함에 따라 탄성도는 증대되었다. 따라서 영양학적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현미를 이용한 발효현미국수를 제조함으로서 쌀을 이용한 국수제조의 단점을 개선하고 현대인의 기호도에 적합한 쌀 가공식품으로의 개발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수분활성도가 홍삼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ter Activity on the Storage Stability of Red Ginseng)

  • 도재호;노해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08-113
    • /
    • 1981
  • Major quality indices for deterioration of red ginseng including oxidation of lipids and change of brown color intensity were periodically investicated during storage of Red Ginseng under various water activity conditions at 3$0^{\circ}C$.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s were 3.25% and 6.3% for red ginseng and red ginseng powder, respectively, and the corresponding water activities were 0.14 and 0.16, respectively. 2. Oxidation of lipids as measured by TBA value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period 3. Under storage conditions above 42% R H., brown color intensity also increased in similar fashion to that of oxidation of lipids as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Period increased 4. It was concluded from above results that water activity of Red Ginseng should be kept less than 0.57 so that red ginseng could Preserve stable qualify.

  • PDF

콩, 두부 및 두부부산물중의 Isoflavone함량 및 항산화효과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Soybeans, Soybean Curd and their By-Products)

  • 배은아;권태완;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71-375
    • /
    • 1997
  • The content of genistein and daidzein which were known to be major antioxidative compounds in soybeans were detected by $C_{18}$ reverse phase HPLC. Most of isoflavones in soybeans were detected in the methanol extract but much less amount of isoflavones in the water extract. Among the four different kind of soybeans, the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brown soybean, followed by yellow, small black and black soybean, in the order. These isoflavones were known to be soluble in hot water, which means transfer of isoflavones in soy curd into whey during soy curd processing. To identify the change of isoflavo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soybean curd, soybean curd were made from yellow, brown and black soybean and isoflavone content were determined in each soybean curd, curd residue and whey. Most of soflavones were remained in the whey, it means most of useful antioxidative compounds were wasted.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technology to collect these isoflavones lost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 PDF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rown beech mushroom (Hypsizygus marmoreus) pileus and stipe)

  • 박민정;유찬열;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2-3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써 갈색 느티만가닥버섯(Hypsizygus marmoreus)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부위별, 추출 용매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수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7.15±0.19 mg GAE/g과 7.37±0.16 mg GAE/g이었으며 에탄올 추출물 갓과 대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23±0.14 mg GAE/g과 3.76.±0.19 mg GAE/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의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추출물의 DPPH, ABTS, ORAC 지수, 환원력도 10 mg/ml의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열수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고 대에 비해 갓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흰색 느티만가닥버섯에 비해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의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ORAC 지수, 환원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세포독성은 WST-1 assay (4-[3-(4-iodophenyl)-2-(4-nitrophenyl)-2H-5-tetrazolio]-1,3-benzene disulphonate)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로 확인하였으며 갈색 느티만가닥버섯 열수 추출물 처리구에서 대식세포주 RAW 264.7의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느티만가닥버섯은 품종에 따라 항산화 활성에 차이가 있고, 갈색 느티만가닥버섯은 다른 버섯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기 때문에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정동진 의사글레이층의 입도와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nulometr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sudo-Gleized Soil in Jeongdongjin Area)

  • 김종연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45
    • /
    • 2017
  • At the upper part of terrace deposits at Jeongdongjin area, there is a structure in which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laying horizontall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e existence of these structures within the deposits and sugges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formation process. However, the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such as particle size, classification, etc.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is scarcely done. In this study, the physico - chemical properties of gray - white and reddish brown beds are investigated. The mean grain size of the particles was less than $4{\varphi}$ in both layers and the reddish brown layer was more coarse. The results shows that the sorting of the grayish white layer is better. The chemical composition of both layers shows th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iO_2$, $Al_2O_3$ and $K_2O$ of the grayish white layer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reddish brown layer. The concentration of $Fe_2O_3$ of reddish brown lyaer was 3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grayish white layer. The degree of chemical weathering (CIA) is 90 or so in both the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layers, indicating a significant level of chemical weathering. In conclusion, reddish brown layers had been formed by the processes related to the migration of iron and the migration of water that induced aggregation after the formation of sediments (psudo-gleization). In this study area, a vertical layer of grayish white which cuts off horizontal reddish brown and grayish white color was found. The vertical layer or wedge similar to a ice-wedge or columnar structure that in a cold environment,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shape and size. The vertical layer appears to have occurred three or more cycles. The vertical layers begin to form at a certain height within the outcrop and descend downwards, which of course is difficult to see as directing certain times.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현미의 제분방법별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own Rice Flours Differing in Amylose Content Prepared by Different Milling Methods)

  • 이영택;김연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2호
    • /
    • pp.1797-1801
    • /
    • 2011
  • 아밀로오스 함량에 차이가 있는 일반 멥쌀 현미(아밀로오스 20.1%)와 저아밀로오스 현미(아밀로오스 7.3%)를 제분 방법을 달리하여 현미가루로 제조한 후 제분방법별 현미가루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 조사하였다. Pin mill로 건식제분 한 현미가루의 입자크기가 수침후 roll mill에 의해 습식제분 한 현미가루에 비해 작았고 입자크기는 습식제분 하여 건조한 현미가루를 2차 건식 재분쇄하는(습식/건식) 제분방식에 의해 더 감소하였다. 현미가루의 전분손상도는 건식제분 현미가루가 14.6~15.6%로 습식제분 4.2~4.8%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으나 습식/건식제분이 그대로 건식제분 하는 방법에 비해 입자크기가 미세해지면서 현미가루의 전분손상도는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가루의 수분흡수지수는 습식/건식 현미가루에서 가장 낮았으며 수분용해도지수는 건식>습식/건식>습식제분 순이었다. 습식제분 한 현미가루가 건식제분보다 최고점도가 낮은 반면에 paste의 최종점도는 증가하여 setback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분방법별 일반 현미가루의 평균 최고점도, trough, breakdown, 최종점도, setback이 저아밀로오스 현미가루에 비해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전분의 노화 정도에 서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Characterization of a Brown Rot Fungus Isolated from Dwarf Flowering Almond in Korea

  • Shim, Myoung-Yong;Jeon, Young-Jae;Kim, Seong-Hwan
    • Mycobiology
    • /
    • 제35권1호
    • /
    • pp.30-35
    • /
    • 2007
  • The fruits showing brown rot symptom on dwarf flowering almond were found in Gongju, Chungchungnam-Do in Korea in July 2005. Small water-soaked lesions on the fruits were initiated, and gradually developed to soft rot covered with gray conidia. Then the diseased fruits were shrunk and became grayish-black mummies. A fungus was isolated from the diseased fruit and its morphological, cultural and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ypical blastospores of Monilinia spp. were observed under a light microscope both from tissues of the diseased fruits and from PDA-grown cultures. The fungus grew well at $25^{\circ}C$ and on PDA. The ITS ribosomal DNA region (650 bp) of the fungus was amplified by PCR and analyzed. Comparative data on ITS sequence homology among Monilinia spp., ITS sequence-based phylogram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fungus is Monilinia fructicola. This is the first report on Monilinia fructicola causing brown rot on fruits of dwarf flowering almond in Korea.

효소식품으로서 현미코오지의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Microwave Vacuum Drying of Brown Rice Koji as an Enzymic Health Food)

  • 김석신;노회진;김상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25-630
    • /
    • 1999
  • 효소식품인 현미코오지를 제조한 후 마이크로파 진공건조를 적용하여 건조하고 그 건조특성과 효소활성을 열풍건조, 진공건조, 또는 동결건조의 경우와 비교해 보았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열전달속도가 빨라 건조 시작후 $5{\sim}10$분만에 $40^{\circ}C$에 도달한 후 건조시간 내내 $40{\pm}2^{\circ}C$를 유지하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시작 10분 경과 후, 진공건조의 경우는 40분 경과 후 $40^{\circ}C$에 도달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 건조 2시간 후 수분함량 0.08 kg water/kg solid까지 감소하였으나, 열풍건조의 경우 건조 시작후 2시간이 경과했는데도 겨우 수분함량 0.70 kg water/kg solid까지만 감소하였다.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경우는 초기 건조속도는 0.06 kg water/kg solid/min이었으며 처음부터 건조속도가 계속 감소하는 감률건조를 보였다. 열풍건조의 경우는 건조 초기 건조속도가 0.0045kg water/kg solid/min으로서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1/10 이하였으며 건조개시 40분까지 항률건조를 보이다가 임계수분함량 0.89 kg water/kg solid 부근부터 감률건조가 시작되었다. 건조시료의 ${\alpha}-amylase$ 활력, diastatic activity 및 protease 활력은 마이크로파 진공건조, 동결건조, 진공건조 및 열풍건조의 순서를 보여 마이크로파 진공건조의 품질보존효과를 알 수 있었다.

  • PDF

전기투석을 이용한 현미부산물로부터의 미네랄성분 추출 및 나트륨감량형 미네랄 소금 제조 (Mineral extraction from by-products of brown rice using electrodialysis and production of mineral salt containing lower sodium)

  • 노남두;박은정;김미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59-866
    • /
    • 2015
  • 무기이온이 풍부한 생식물 중 버려지는 부산물을 이용하여 미네랄 확보를 위한 발효최적조건을 설정하고 발효물에 함유된 미네랄 여과 및 정제 조건을 확립하였다. 생식물 가공 후 부산물을 활용하여 다량의 미네랄을 확보하고, 생식물 미네랄 배지조성을 위하여 백미 도정 후의 현미부산물인 미강을 고체 발효시켜 열수추출한 결과 칼륨 2,019.2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얻을 수 있었다. 추출물에 대한 순차적인 여과로 칼륨 1,769.70 mg/100 g을 포함한 미네랄을 확보하여 정제한 후 미네랄을 염수와 치환하기 위한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유량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유량이 변화하여도 전기투석효과에 영향이 없었으며, 유속이 200 mL/L로 빠를 때 생산제품인 정제수실 반응액이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인가전류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전류를 높게 인가할수록 전기투석효과가 높게 나타났고, 그 증가곡선도 역포물선으로 인가전류가 높을수록 효율이 높음을 나타냈다. 시간과의 상관관계 결과 90분 이내에 95%의 추출액 이온이 정제수로 회수 되었으며 비례적으로 추출 이온별 농도의 변화가 있었다. 정제수실의 이온 농축수에 정제염수실에서 조성된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pH 7.4 의 안전한 염화화합물을 조성할 수 있게 되었다. 전기투석 공정의 원리를 이용하여 생식물 발효 조성액에 함유된 미네랄을 정제염수와 이온치환하여 나트륨 함량 40% 대비 최저 5.7%~최고 30%까지 나트륨이 감량된 소금을 제조하여 미네랄 저염소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