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mide

검색결과 1,568건 처리시간 0.02초

Kinetic Studies on Bromine-Exchange Reactions of Antimony Tribromide with $\alpha$-Phenyl-n-butyl and $\alpha$-Phenyl-i-butyl Bromides in Nitrobenzene$^\dag$

  • Rhyu, Sok-Hwan;Choi, Sang-Up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5호
    • /
    • pp.408-414
    • /
    • 1987
  • The rate of bromine-exchange reaction between antimony tribromide and ${\alpha}-phenyl-n-butyl$ bromide in nitrobenzene has been determined, using antimony tribromide labelled with Br-82.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change reaction follows the first-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the organic bromide, and either the second- or first-order kinetics with respect to antimony tribromide depending on its concentration. The third-order rate constant obtained was 7.50 ${\times}10^{-2}l^2mol^{-2}s^{-1}$ at 28$^{\circ}$C. Similar study on the bromine-exchange reaction between antimony tribromide and ${\alpha}$-phenyl-i-butyl bromide has also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same kinetic orders as the ones observed with $\alpha$-phenyl-n-butyl bromide. The third-order rate constant observed was 2.40 ${\times} 10^{-2} l^2mol^{-2}s^{-1}$ at 28$^{\circ}$C. The activation energy, the enthalpy of activation and the entropy of activation for the two exchange reactions mentioned above have been determined. The reaction mechanisms for the exchange reactions are discussed.

Benzyl benzenesulfonate류의 구조-반응성 관계 (2보). 벤질 유도체의 친핵성 치환반응 (Structure-Reactivity Relationship of Benzyl benzenesulfonates (Part 2). Nucleophilic Substitution Reaction of Benzyl Derivatives)

  • 정덕영;김성홍;이명호;여수동;후지오 미즈에;츠노 유우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643-649
    • /
    • 1995
  • 35$^{\circ}C$와 50$^{\circ}C$ 에서 치환(Z)-benzyl계와 치환(Y)-pyridine 그리고 N, N-dimethylaniline의 Menschutkin형 반응을 아세토니트릴에서 전기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유사 1차 반응속도상수와 친핵체의 농도로부터 2차반응 속도상수를 계산하였다. $4-CH_3-$보다 전자 받게 치환기를 가진 benzyl bromide는 정상 $S_N2$ (직접 치환 2분자)반응속도만 관찰되었으나 3, $4-(CH_3/O)_2$-benzyl bromide와 $4-CH_3O$-benzyl bromide의 경우 밀착 이온쌍 중간체를 거치는 2분자 반응의 속도도 관측되었다.

  • PDF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소금물중의 무기음이온들의 분리정량 (Determination of Some Inorganic Anions in Saline Water by Ion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ion)

  • 한선호;박양순;박순달;조기수;엄태윤
    • 분석과학
    • /
    • 제12권2호
    • /
    • pp.99-104
    • /
    • 1999
  • 자외선검출법과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소금물 중에 함유하는 몇 가지 음이온의 분리정량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분리관은 음이온교환수지(Dionex, AS7)를 사용하였고 용리액으로서는 sodium chloride/sodium phosphate 완충용액을 사용하였다. 단계적용리법을 적용하므로서 최적분리가 가능하였으며 8가지 음이온(iodate, bromate, nitrite, bromide, nitrate, chromate, iodide와 thiocyanate)이 40분내에 분리되었다. 여러 가지 농도의 NaCl용액(0.0 M-1.0 M)속에 존재하는 음이온들의 거동을 살펴보았다. NaCl의 농도가 진할수록 bromate, nitrite, bromide와 nitrate의 피크의 모양이 점점 넓어졌으나 chromate, iodide와 thiocyanate는 1.0 M NaCl 용액의 농도까지 피크모양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 또한 여러 가지 농도의 NaCl용액에서 음이온들의 검량곡선은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으며, $50{\mu}L$ 시료용액에서 검출한계는 $10-720{\mu}g/L$ 이었다. 바닷물중의 bromide, nitrate와 iodide의 측정에 이방법을 적용하였다.

  • PD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에서 Eriochrome Cyanine R에 의한 스칸듐(III)의 분광광도법 정량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Scandium(III) with Eriochrome Cyanine R in the Presence of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차기원;박찬일;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9권2호
    • /
    • pp.139-144
    • /
    • 1996
  • 발색제로 eriochrome cyanine R(ECR)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에서 스칸듐을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하는 방법과 그 착물의 조성을 연구하였다. Sc(III)-ECR 착물의 흡광도와 최대 흡수 파장은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MAB)에서 크게 변하지만, sodium dodecyl sulfate(SDS)나 Triton X-100의 계면활성제에서는 변화가 없다. $1{\times}10^{-7}{\sim}3.0{\times}10^{-6}M$ Sc(III) 을 ECR 로 정량할 때는 pH 6.5 에서 $1{\times}10^{-3}M$ ECR 5ml와 $2{\times}10^{-4}M$ CTMAB 10ml가 필요했다. Sc(III)-ECR-CTMAB, 삼성분 착물의 몰흡광계수는 610nm에서 $5.6{\times}10^5mol^{-1}cm^{-1}L$이며 검출한계는 $1.0{\times}10^{-7}M$이었다. Sc(III)-ECR-CTMAB 삼성분 착물의 조성은 1:3:1 이었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도토리 종실의 해충사멸과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Quality of Acorn)

  • 권중호;김수진;정형욱;권용정;변명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99-206
    • /
    • 1998
  • 전분 추출용으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도토리 종실의 가해해충 사멸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충 사멸방법인 methyl bromide (M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법에 대하여 살충효과와 이들이 몇 가지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국내산 도토리의 가해해충은 도토리밤바구미 (Curculio drntipes Roelofs)와 복숭아명나방 (Dichocrocis punctiferalis Guenee)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해충의 사멸시험에서 상업적 조건의 MBr 훈증은 처리 직후부터 살충효과가 완전하였고, 감마선의 경우에는 조사 3일째에는 1-3 kGy, 조사후 1개월 경에는 0.5-1 kGy의 조사선량에서 해충의 치사율이 100%에 달하였다. 훈증처리된 도토리는 처리 직후 명도 (L값)의 감소와 황색도 (b값) 및 갈색도의 증가현상이 유의적이었으나 0.5-2 kGy 조사구에서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시료의 총페놀 성분과 환원당에 있어서도 훈증처리구는 대조구와 조사구에 비해 함량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시료를 통기포장하여 5-1$0^{\circ}C$의 조건에서 6개월간 저장 중 훈증처리구는 부패현상이 심하여 대체방안이 요구되었으며, 3 kGy 미만의 감마선 조사는 적용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한국산 생밤의 훈증소독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Fumigation Method of Harvested Fresh Chestnuts Produced in Korea)

  • 하재규;이천구;유기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3-137
    • /
    • 1982
  • 한국산 생밤의 효율적인 적정훈증소독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결과 Phostoxin에 의한 훈증소독은 처리기간에 관계없이 생밤을 급히 부패시키거나 각피를 변색시키는 등 약해를 나타내는 반면에 생밤의 밤바구미와 밤나방의 유충을 완전히 사멸시키지 못했다. 그러나 Methyl bromide를 $m^3$당 40g 투약하여 $21^{\circ}C$에서 4시간 훈증하면 약해는 나타나지 알았지만 생밤가해 해충의 방제에는 효과가 낮았고 Methyl bromide를 $m^3$당 50g 투약하여 $21^{\circ}C$에서 24시간 훈증하면 생밤을 가해하는 해충의 유충은 어느 것이나 모두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지만 과육의 표면을 암색 또는 진한 갈색으로 변색시키는 등 심한 약해를 일으켰다. 그렇지만 4시간 훈증한 것은 생밤의 밤바구미와 밤나방의 유충을 완전히 사멸시켰을 뿐만 아니라 아무런 약해도 발생하지 않았다.

  • PDF

새로운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 단량체를 사용한 습도센서 및 그들의 특성 조사 (Resistive Humidity Sensor Using New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 Monomer and Their Properties)

  • 이인호;박찬교;공명선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26-332
    • /
    • 2009
  • 새로운 감습성 단량체인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MANEPPB)를 N-methacryloyl-N'-ethyl piperazine(MANEP)와 1-bromopropane의 4차염화 반응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MANEPPB/MMA/AA=60/35/5, 70/25/5, 80/15/5, 90/5/5 및 95/0/5 조성의 전해질 공중합체를 감습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감습액에 아지리딘 가교제인 trimethylolpropane tris(2-methyl-1-aziridinopropionate)(TTAP)를 혼합하여 금 전극 위에 침적법에 의하여 도포하고 가교반응을 진행하여 습도센서를 제조 하였다. 상대습도에 대한 습도센서의 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20{\sim}90%RH$ 상대습도 영역에서 $10^3$의 저항 값이 변화하였으며, 이것은 상용 습도센서로서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요구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 밖에 온도 의존성, 주파수 의존성, 히스테리시스, 응답 및 회복 속도 그리고 내수성을 측정하여 습도센서로서 특성을 평가하였다.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Physiological and Chemical Quality of Apples)

  • 강호진;정헌식;조덕조;변명우;최성진;최종욱;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81-387
    • /
    • 2003
  • 감마선(0, 0.5, 1, 2, 3 kGy) 조사와 methyl bromide(MeBr, 2 g/kg, 4 hr) 훈증 및 이들의 처리시기가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검역처리를 위한 감마선 조사의 응용성을 검토하였다. 감마선과 MeBr 처리에 따른 사과의 생리화학적 품질평가에서 2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와 MeBr 훈증은 사과의 일부 생리화학적 품질특성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마선과 MeBr의 처리시기별로는 수확 직후보다는 저온($0^{\circ}C$)에서 40일 정도 보관한 후 처리한 것이 대체적으로 품질손상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지연조사는 사과 과실의 품질을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검역처리 기술로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거품제염을 위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CTAB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의 거품안정성 및 분리특성 평가 (Effect of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on Foam Stability and SiO2Separation for Decontamination Foam Application)

  • 최만수;김승은;윤인호;정종헌;최왕규;문제권;김선병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3-182
    • /
    • 2018
  • 원자력 시설 내 방사능을 포함하는 물질의 제염을 위한 방법 중 거품제염은 2차폐기기물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거품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실리카 나노입자를 여러가지 조건을 달리하여 합성하였다.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CTAB)는 거품제염제의 거품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거품안정성이 향상된 이유는 제염제 내에 공기와 용액간의 계면에서 실리카 나노입자와 계면활성제의 반응으로 생각된다. 또한, CTAB는 실리카나노입자의 분리특성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었다. 실리카 나노입자 분리시, CTAB의 탄화수소기에 의한 소수성과 전하중성화에 의해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현상을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