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casting system

검색결과 3,574건 처리시간 0.039초

지상파 UHD HDR 실시간 방송 시스템 구축 및 검증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Terrestrial UHD HDR Real-Time Broardcasting System)

  • 조준호;김용수;서정호;정다운;이병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96
    • /
    • 2018
  • 2017년 5월 31일 지상파 UHD 본 방송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기존 HD 방송 대비 4배 이상 선명한 영상 제공을 통해 시청자는 현장감과 사실감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HD 방송과 차별화된 효과를 보다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2018년 러시아 월드컵 기간 동안 고명암비와 광색역 기술을 적용한 지상파 UHD HDR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상파 UHD HDR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련 기술들을 연구하고 송출 시스템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2018 러시아 월드컵 기간 동안 UHD HDR 방송을 송출함으로써 수신단과의 정합성을 입증하였다.

  • PDF

방송 콘텐츠를 위한 안전한 유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e Distribution System for Broadcasting Contents)

  • 이진흥;이혜주;신상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9-27
    • /
    • 2007
  • HBTV용 방송 콘텐츠 보호 시스템은 기존의 DRM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파일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가진다. 따라서 TS 등과 같은 방송 콘텐츠 포맷에 대하여 적응적이면서, 효율적인 암호화 기술과 임의 접근 모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방송 환경에 적합한 키 분배 메커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PEG 시스템을 변경하지 않고 인코더/디코더에 적용 가능한 암호 기법과 브로드캐스트 키 분배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HTML5 기반 융합 모바일방송 플랫폼 (A Hybrid Mobile Broadcasting Platform Based on HTML5)

  • 김현순;김상훈;경일수;정신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0-73
    • /
    • 2011
  • 2005년 12월 1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방송이 실시된 이후 다양한 형태의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가 시도되었다. 그러나 DMB가 성공적으로 시장에 정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방송사 등 시장 참여자들의 수익 창출의 어려움, 속도 및 요금 측면에서의 양방향 망의 한계, 방송사, 통신사의 시스템 및 망에 종속적이며 폐쇄적인 콘텐츠 제작 및 제공 방식 등으로 인하여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공으로 방송, 통신 서비스 시장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어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시도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상파 DMB가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중심 매체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융합 서비스 플랫폼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인 'HTML5 기반 융합 모바일방송 플랫폼'을 제안하고 실제 구현 예를 통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누구나 콘텐츠 제공에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망, 단말, 서비스 모델이 융합되며, 표준화되고 개방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하여 이를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으로, 방송 콘텐츠 및 이에 의해 파생된 다양한 리치 미디어 콘텐츠의 생성, 전달, 소비에 이르는 생태계 전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플랫폼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KBS(Korean Broadcasting System)는 서비스 시스템, 수신 프로그램 개발, 시험 서비스 구현 등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본 논문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Demonstration of Bidirectional Services Using MPEG-4 BIFS in Terrestrial DMB Systems

  • Shin, Ji-Tae;Suh, Doug-Young;Jeong, Yong-Chan;Park, Seung-Ho;Bae, Byung-Jun;Ahn, Chung-Hyun
    • ETRI Journal
    • /
    • 제28권5호
    • /
    • pp.583-592
    • /
    • 2006
  • Digital broadcasting technology has developed focusing on multi-channel/multi-media, high-definition quality, and mobility-support. Recently, there has been a clear trend toward bidirectional service with the convergence betwee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The broadcasting viewer is no longer simply a passive receptor but has also become an information generator. Currently, th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specifications are the major standard for portable digital broadcasting and have been establishing the overall guidelines for bidirectional service using the MPEG-4 system. While detailed specifications for DMB systems are not well-established for bidirectional service yet, they share the basic concepts underlying the European Eureka-147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system. This paper develops key scenarios for bidirectional service in DMB, describes the signal transaction of broadcasting and return channels, and demonstrates typical scenarios using binary format for scenes (BIFS) in the MPEG-4 system.

  • PDF

케이블 방송망에서 방송통신 융합 전송을 이용한 스위치드 디지털 비디오 구현 (Implementation of Switched Digital Video Using Convergence Transmiss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on Cable TV Broadcasting Network)

  • 정준영;조용성;최동준;허남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3호
    • /
    • pp.359-364
    • /
    • 2016
  • 케이블 방송망은 광대역을 가진 유선망이라는 매체 특성으로 동일한 망을 이용하여 방송뿐만 아니라 통신까지 제공할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여 방송/통신 융합을 위한 최적의 망으로 거론되고 있다. 최근 케이블 방송망은 방송 서비스의 고화질화, VoD 수요증가 및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대역 증가 등으로 인해 가용 주파수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케이블 방송망에서 주파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든 방송 채널을 전송하지 않고 실제 시청되는 채널에 한하여 전송함으로써 추가적인 전송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제안된 스위치드 디지털 비디오 (SDV: Switched Digital Video) 기술에 대한 새로운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SDV 방식에서는 통신과 방송 서비스가 동일한 주파수를 공유하면서 제공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복잡한 시스템 구축 없이 방송 채널의 스위칭을 제공하여 주파수 사용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병렬 스트리밍 서버 기반 실시간 3D 인터넷 방송 서비스 (A Parallel Streaming Server for the Realtime 3D Internet Broadcasting)

  • 강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879-884
    • /
    • 2020
  • 기존의 비디오 파일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파일들이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혹은 디스크 어레이를 보유한 고성능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 3D 인터넷 방송을 위해서는 비디오 파일을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하는 과정에서 실시간 처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5G 환경에서 많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3D 인터넷 방송 시스템의 설계를 보여준다. IP 멀티캐스트 기술은 라우터 환경의 제약으로 인하여 실제 대부분의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콘텐츠 전송은 유니캐스트 기반의 서비스가 대부분이다. 또한 VOD와 같은 On-Demand 환경의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등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막대한 시스템과 네트워크 자원을 요구하므로 3D 인터넷 방송 환경에 적용하기 어렵다. 사용자 시스템 자원을 통한 전송 방법으로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기법은 라이브 방송, 화상회의 등의 다수의 사용자 그룹 전송에 적합한 응용을 위해 최적화 되어 있어 IP 멀티캐스트 대안으로서 각광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스트 기반 멀티캐스트에서 발생하는 성능 저하 요인들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3D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구성한다.

XML 기반 디지털 방송용 메타데이타 관리시스템 (Metadata Management System for XML-based Digital Broadcasting)

  • 박종현;김병규;이용희;이민우;정민옥;강지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4호
    • /
    • pp.334-348
    • /
    • 2005
  • 차세대 디지털 방송은 다양한 서비스와 함께 방송 사용자와 제공자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새로운 방송 환경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분산되어있는 환경에서 여러 소비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운용성의 유지에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방송을 위한 메타데이타의 표준이 제안되었고, TV-Anytime 메타데이타는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차세대 방송 표준 메타데이타의 하나이다. TV-Anytime 메타데이타는 향후 다양한 서비스로의 확장을 위하여 그 말단이 MPEG-7으로 정의되어 있다. MPEG-7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기술하기 위한 메타데이타 표준으로, 방송용 컨텐츠를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면 내용기반 검색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송용 메타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실제 방송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방송용 메타데이타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단일의 XML 스키마를 기반으로 XML로 기술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은 기존의 XML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방송용 메타데이타를 관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인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범용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XML데이타를 관리하고 있으므로 방송용 메타데이타를 관리하기 위한 특화된 방법으로 보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용 메타데이타의 특성을 파악하여 방송 환경에 적절한 방송용 메타데이타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우리의 메타데이타 관리 시스템은 실제 방송 환경에서 사용되는 표준 메타데이타를 기반으로 구현하므로, 방송 환경에 최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우리는 방송용 메타데이타의 검색을 위한 질의어로 XML 표준 질의어인 XQuery를 사용하여 시스템 간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이용한 지상파 방송망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 Control System Based on Augmented Data Transmission Technology)

  • 박성익;서재현;음호민;김흥묵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29-33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ATSC 지상파 DTV 방송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부가데이터 송수신 기술을 이용한 방송망 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송망 관리시스템은 기존 송/중계기의 교체 없이 방송망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주파수 할 당 없이 수 Mbps의 데이터를 추가로 전송할 수 있다.

  • PDF

PC기반 지상파 DMB 미들웨어 수신 플랫폼의 구현 (Implementation of PC-based Receiver Platform for T-DMB Middleware)

  • 이광순;김광용;양규태;안충현;이수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459-460
    • /
    • 2006
  •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implementation of PC-based receiver platform to verify T-DMB middleware APIs. Recently, generic APIs in T-DMB middleware (called DMB MATE API) have been designed to enable inter-operable applications to be downloaded from both the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s in advance and to be executed on T-DMB receivers from any manufacturers. We also verify the designed MATE API through execution of several applications at the PC-based receiver. In future, the T-DMB middleware verified in PC can be implemented at various receivers such as T-DMB phone and portable T-DMB receiver.

  • PDF